
● 1937년 출생<br>● 1960년 육군사관학교 졸업<br>● 1964년 서울대 문리대 지질학과 졸업<br>● 1971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지질학 박사<br>● 1964~87년 육군사관학교 교수<br>● 1996~99년 한국해양연구소 소장<br>● 2002년~현재 한국극지연구위원회 위원장
박 위원장이 말한 ‘스발바르 제도’는 북유럽 국가인 노르웨이의 최북단, 그린란드 동북쪽에 위치한 5개 섬으로 이뤄진 제도다. 면적은 한반도의 27% 정도인 6만1022㎢에 달한다. 전체 면적의 85%가량이 1년 내내 빙하에 덮여 있는 이 땅의 주권은 현재 노르웨이가 갖고 있다. 그러나 전세계 국가들은 지난 90여 년간 이 지역에서 아무런 제약도 받지 않고 자원을 개발하거나 경제활동을 해왔다. 물론 조건이 하나 있다. ‘스발바르 조약’에 가입한 국가에 한해서다. 박 위원장의 설명을 듣기 전에 먼저 스발바르 제도를 둘러싼 역사를 살펴보자.
스발바르 제도는 1596년 네덜란드 사람 바렌츠에 의해 처음 발견됐다. 1600년대 초만 해도 주로 고래잡이를 하던 지역이었을 뿐 경제적인 가치는 없는 곳이었다. 그러나 1600년대 말 석탄이 발견되면서 얘기가 달라졌다. 러시아, 네덜란드 같은 주변국 뿐 아니라 영국, 중국까지 이 지역에 관심을 갖게 됐다. 현재 스발바르 제도의 섬 중 하나인 서(西)스피츠베르겐 섬에만 약 80억t의 석탄이 매장돼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석탄 매장 사실이 알려진 뒤 이 지역은 열강의 각축장으로 변했다.
국제도시 스발바르
제1차 세계대전 직후인 1920년 전승국들은 북극에서 1000㎞ 떨어진 이 제도를 둘러싼 갈등을 없애기 위해 회의를 열었다. 그리고 당시 후진국이던 노르웨이에 이 제도의 주권을 넘기기로 파리에서 조약을 맺었다. 대신 조약국들은 스발바르 지역을 마음껏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갖기로 했다. 주권은 노르웨이에 주지만 사실상 국제도시로 만들기로 한 것이다. 이런 내용을 담아 1925년 발효된 ‘스발바르 조약’에는 노르웨이를 비롯해 러시아와 미국, 영국, 일본, 인도 등 모두 39개국이 가입해 있다. 그러나 한국은 이 명단에 없다.
박 위원장은 지난 10여 년간 이 ‘스발바르 조약’ 문제에 빠져 지낸 사람이다. 우리나라가 빨리 이 조약에 가입해서 스발바르를 포함한 북극 개발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여왔다. 그는 “정부관계자들을 만날 때마다 조약 가입의 필요성을 역설했고 지금도 매년 이 지역을 찾아 개발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극지문제 전문가인 박 위원장은 1960년 육사를 졸업했다. 그러나 그는 군인의 길을 걷지 않고 당시로서는 생소한 학문이던 지질학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서울대 문리대 지질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한 그는 1971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에서 지질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7년까지 20년 넘게 육군사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한 박 위원장은 1990년대 초부터 본격적으로 극지 연구에 뛰어들었다. 남극과학위원회 한국대표, 북극과학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낸 그는 1990년 설립된 한국해양연구소 소장을 두 번이나 지냈으며 현재 한국극지연구위원회 위원장, 국제북극과학위원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지금도 매년 북극을 방문해 연구활동, 국제 외교활동을 벌이고 있다.
‘신동아’는 박 위원장을 만나 일반인에게는 생소한 스발바르 제도를 둘러싼 얘기를 들었다. 그는 수십 년간 모아온 북극과 스발바르에 대한 자료를 한가득 펼쳐놓고 자신의 생각을 얘기했다. 젊은 사람 못지않은 열정이 느껴졌다. 그는 인터뷰 도중 여러 차례 “스발바르에 한국 사람이 100명만 들어가서 살았으면 좋겠어요”라고 말했다.

“간단히 말하면 북극에 있는 5개의 섬입니다. 노르웨이령으로 되어 있고요. 하지만 여러 나라가 이곳에 들어가 경제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사실상 홍콩 같은 국제도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태국 사람들은 이곳에서 식당도 운영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