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탐하기를 멈추지 않는다. 여전히 소년의 눈빛과 시인의 감성을 잃지 않은 건 이런 노력의 결과다.
또박또박 국어책을 읽는 듯한 대사 처리와 뻔뻔스러운 표정연기. 전국의 시청자는 어색함과 천연덕스러움이 기막히게 어우러진 한 남자의 연기에 배꼽을 잡고 쓰러졌다. 디자이너 장광효(50)씨는 MBC 시트콤 ‘안녕 프란체스카’에 출연해 우아한 척하지만 근본은 푼수스러운 ‘장샘’ 역할로 얼굴을 알렸다. 이로써 그는 패셔니스타(fashionista)들의 ‘스타’에서 대중의 ‘스타’로 거듭난다.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있는 장씨의 브랜드 ‘카루소’ 매장에서 만난 그는 드라마의 ‘장샘’보다 훨씬 차분한 모습이었다. 그는 대부분의 디자이너가 수년씩 거치는 무명시절을 경험하지 않았다. 굳이 꼽자면 제일모직 ‘캠브리지’에서 일한 3년을 들 수 있을까. 그의 경쟁력은 당시 ‘정식 공부’를 한 유일한 남자 디자이너라는 점이었다.
“원래 화가가 되려고 미대 회화과에 지원했지만 낙방했어요. 그 뒤 2차시험에서는 그래픽디자인과를 선택했죠. 의상은 부전공으로 공부했어요. 당시 의상과에서는 남학생을 뽑지 않았거든요.”
주먹구구식으로 복장학원을 거쳐 패션계에 입문하던 시절, 패션 전공으로 프랑스 퐁텐블루 예술학교 유학까지 마친 그는 타고난 기질과 뚝심으로 자신만의 디자인 역량을 차곡차곡 쌓아나간다. 귀국 후 국내 기성복업체에 들어갔지만 틀에 맞는 옷을 짓는 건 체질에 맞지 않았다. 그간의 공부가 아까웠다. 고민 끝에 1987년 압구정동에 개인 숍 ‘카루소’를 연다. 아내의 제안에 따라 지은 브랜드 이름은 이탈리아 성악가 엔리코 카루소의 이름에서 따온 것.

청담동 ‘카루소’ 본점 3층 작업실. 그가 디자인한 옷을 입은 모델과 명사들의 사진이 벽면에 가득하다. 외국인 모델에게 작품 가봉을 하고 있다. 디자인 스케치는 선과 색감을 살려 꼼꼼히 해야 한다. (왼쪽부터 차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