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노무현 정부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민주당 공천심사위원(2008),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통령후보의 새정치위원회 간사(2012), 민주통합당 정치혁신위원회 위원장(2013) 등을 맡았다. 그 어떤 이보다 야권의 정치개혁에 깊이 관여해온 정치학자다. 광복 70년을 맞아 정 교수에게 한국 정치의 현주소와 향후 과제에 대해 물었다.
김호기 어디서 태어나고 성장하셨습니까.
정해구 1955년생인데 충남 서천이 고향이에요. 서천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다녔고, 고등학교는 서울에 와서 졸업했어요.
김호기 학부에선 정치학이 아니라 행정학을 공부하셨네요.
정해구 연세대 행정학과 75학번입니다.
김호기 그후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대학원에 진학하셨고요.
정해구 1985년이에요. 학부를 졸업한 후 군대 갔다 와서 결혼했고 직장 생활도 좀 했어요. 다른 사람들보다 늦게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김호기 지금도 그렇지만, 그때 고려대 정외과 교수진이 정말 훌륭하지 않았나요.
정해구 한배호, 최상룡, 최장집, 서진영 교수님 등 좋은 분이 많았어요, 그래서 다른 학교에서도 고려대 정외과 대학원에 많이 진학했어요.
최장집 교수를 만나다
김호기 1986년 ‘10월 항쟁’으로 석사학위 논문을 쓰신 것으로 기억합니다. 해방 공간에 대해 저도 논문을 쓸 때 읽었습니다만.
정해구 처음에는 국제정치를 공부하다가 비교정치에 관심을 두게 됐어요, 그때 현대사 연구가 한창 붐을 이루던 시절인데, 자연스럽게 최장집 교수님으로부터 한국현대정치를 배우게 됐고, 석사 논문 주제로 ‘10월 항쟁’을 잡았어요.
김호기 곧바로 박사과정에 입학하신 건가요.
정해구 한 학기 쉰 다음 1988년에 들어갔어요. 졸업은 1995년에 했고요. 그리고 2000년에 성공회대 사회과학부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김호기 저는 대학원 다닐 때 비판사회학회(당시 산업사회연구회)에서 당시 대학원생이던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등과 함께 공부했지요. 김진균 서울대 교수께서 돌봐줬고요.
정해구 저 역시 대학원 다닐 때 현대사를 공부하면서 역사문제연구소에 나가 공부했어요. 그러다가 정치학에서도 연구회를 만들자고 해서 1988년 전후에 한국정치연구회(한정연)를 만들었어요. 이성형, 김광식, 김창진 등 당시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대학원생들이 중심이 됐지요. 활동을 하면서 이수인 교수(영남대), 손학규 민주당 대표(당시 서강대 교수), 최장집 교수 등이 돌봐주셨어요.
김호기 박사 논문은 어떤 주제로 쓰셨습니까.
정해구 남북한 분단정권 수립에 관한 것으로 썼어요. 현대사를 정치학적으로 연구하려는 관심이 계속 이어진 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