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한나라당 떠도는 ‘당 해체’ 4대 시나리오

한나라당 떠도는 ‘당 해체’ 4대 시나리오

1/5
  • 親박근혜: 열린우리당식 주류 탈당→신당 창당
  • 영남 보수: 5공 극우: 인사 배제한 뒤 호남과 연합
  • 비주류: 대선후보 경선 전 이명박·손학규 이탈
  • 소장파: 한나라당-열린우리당 중도개혁파 연대
  • 하나의 유령이 한나라당을 배회하고 있다. 당 해체론이 그것이다. 소장 개혁파와 이들의 반대편에 있는 영남 보수파, 당 지도부와 비주류 모두 더 이상 해체론을 금기시하지 않으며, 오히려 자기 방식의 당 해체론을 밝히고 있다. 이명박 서울시장, 손학규 경기지사의 독자행보도 예사롭지 않다.
한나라당 떠도는 ‘당 해체’ 4대 시나리오

2005년 2월4일 충북 제천에서 열린 한나라당 의원 연찬회에서 박근혜 대표 등 의원들이 열띤 토의를 벌이고 있다.

2월4일새벽, 충북 제천 청풍 리조트. 자정을 훌쩍 넘겨 토론을 끝낸 한나라당 의원들이 삼삼오오 지하 맥주집으로 몰려들었다. 군데군데서 담배연기가 피어오르고 간간이 웃음소리도 터져나왔으나 분위기는 착 가라앉아 있었다. 그도 그럴 것이, 9시간 가까이 당의 진로에 대해 난상토론을 벌였지만 뭐 하나 뾰족한 길이 보이지 않았다. 출구 없는 당의 위기 상황만 거듭 확인됐을 뿐이었다. 홍준표 의원이 시니컬한 미소와 함께 입을 열었다.

“한나라당이 위기는 위기인 모양이다. 이방호가 당 해체론을 다 주장하고….”

주위에선 쓴웃음과 함께 동의하는 사람들의 탄식이 터져나왔다.

연찬회 전 이방호·이상배 의원은 한나라당의 발전적 해체를 통한 영남-호남-충청세력 연대론을 펼쳤다. 우연찮게 남경필 의원도 중도통합론을 한나라당의 지향점으로 언급했다. 천양지차 같지만 공통점이 있다. ‘현재의 한나라당은 해체수준의 근본적 변화가 필요하다. 그것 없이는 집권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이다. 위기상황이면 어김없이 등장한 ‘당 해체론’ 처방은 그렇게 다시 한나라당을 찾아왔다.

다음날, 연찬회 마지막 토론장에선 박근혜 대표와 당내 비주류 의원들 사이에 당명 개정을 놓고 신경전이 최고조로 치달았다. 박 대표는 마무리 발언을 겸해 발언대에 섰다.



“우리도 모르는 새 우리는 많이 변했습니다. 4·15총선 이후에 해먹은 게 있습니까? 부정적인 것 하나도 없습니다. 그래도 (국민이) 부정부패 정당이라고 보는 것은 옷을 안 갈아입은 데 이유가 있습니다. 기왕이면 향수도 뿌려 매력적으로 보여서 결혼해 달라고 해야지, 마음만 바꿨다고 애인이 알아주겠습니까. 옷 바꿔 입으면 행동도 더 잘하게 돼 있어요.”

그러면서 박 대표는 당내 비주류 의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4월 재보선이 끝난 뒤 당명 개정을 강행할 뜻을 내비쳤고, “찬반투표를 해보자”고 제안했다. 일순간 연찬회장이 벌집 쑤신 듯 소란스러워졌다. 비주류 의원들이 격렬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당명은 옷 바꿔 입는 것이 아니다. 당헌 제1조다. 대한민국이란 국호를 바꾸는 것은 옷 바꿔 입는 게 아니다. 당 자체의 존립 여부와 관련된 문제다”(김문수 의원), “지도부가 일방적으로 투표로 밀어붙이려는 것을 보고 박 대표의 오기 정치 아니냐고 한다”(이성권 의원), “오늘 투표 안 된다고 영원히 당명을 못 바꾸는 게 아니다. 정말 ‘결정적 계기’가 오면 바꿀 수 있다고 정리하고 마무리해야 한다”(이재오 의원)….

“당명개정 카드를 아껴두자”

결국 지도부는 구수회의 끝에 당명 개정 여부를 묻는 의원 투표를 포기했다. 재선 A의원은 “당명 개정 논란은 단순히 당의 이름을 바꾸느냐, 마느냐를 둘러싼 대립이 아니었다”고 해석했다. “당의 미래에 대한 서로 다른 시각, 특히 지도부와 비주류 의원들의 상이한 전망이 투영된 결과”라는 것이다. 지금 변화한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박 대표의 논리에 영남 보수파, 이재오·김문수·홍준표 의원이 주축인 국가발전전략연구회, 소장파 의원들이 하나같이 ‘결정적 계기’가 올 때까지 미뤄야 한다고 반박한 모양새라는 것이다.

그 결정적 계기란 무엇일까. A의원의 말이다.

“당이 근본부터 재탄생하는 순간에 당명 개정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한나라당은 ‘당 해체’에 버금가는 큰 변화가 필요하고, 2007년 대선 전 언젠가는 그 순간이 도래할 것이란 게 상당수 의원의 공통된 인식이었다. 그때를 위해 당명 개정 카드를 아껴두자는 것이다.”

당 해체론은 사실 오래 전부터 한나라당을 배회했다. 대선 링에서 무릎을 꿇을 때마다 “이대로는 안 된다” “뭔가 그림을 다시 그려야 한다”며 갖가지 해법이 분출했다. 쇄신, 혁신, 개혁…. 그러나 그 모두를 아우르는 가장 명료한 해결 방법은 당을 해체하고 새로운 당을 만드는 것이었다.

2002년 겨울 ‘절대 패할 수 없는 경기에 패한’ 한나라당은 추운 겨울을 보내고 있었다. 영남 출신 구(舊)여권세력과 수도권 중심 소장 개혁파 세력의 내부 갈등은 폭발 직전에 다다랐다. “개혁파가 이탈하고 당이 조만간 깨질 것”이란 전망이 비등했다. 다음해인 2003년 6·26전당대회를 통해 최병렬 대표가 등장한다. 그러나 최병렬 체제는 ‘차떼기’로 상징되는 불법 대선자금 정국에 휘말리면서 당 쇄신에 실패한다. 그러자 당 해체 및 재창당론이 다시 고개를 들었다. 2003년 11월 지구당위원장 국회의원 연찬회 석상에서 권오을 의원은 이렇게 말했다.

“한나라당은 부정부패 이미지를 씻을 수 없다. 기존 틀을 깨고 재창당해야 한다. 한나라당에 얽매이지 말아야 한다. 한나라당에 집착하면 다 없어진다.”

1/5
이동훈 한국일보 정치부 기자 dhlee@hk.co.kr
목록 닫기

한나라당 떠도는 ‘당 해체’ 4대 시나리오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