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38년 전북 군산 출생<br>● 서울대 외교학과 졸업<br>● 1965년 제3회 행정고시 합격<br>● 재무부 이재국장, 대통령비서실 경제비서관, 경제기획원 차관, 농림수산부 장관, 제15∼16대 국회의원, 환경부 장관<br>● 2002년∼ 전북지사
게다가 경제규모를 나타내는 지역내총생산(GRDP)은 2004년 말 현재 인구점유율(전국의 4%)에도 못 미치는 3.1%로 전국 최하위권이고, 18.9%인 재정자립도는 전국 16개 광역시·도 가운데 15위로 전국평균(57.2%)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해 중앙의 지원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2005년 벽두부터 전북의 현주소가 이렇듯 암울하니 도민 누구라도 할 말이 많을 법하다. 1월28일 전북도청 집무실에서 강현욱(姜賢旭·67) 전북지사를 만났다.
재정자립도, 16개 시·도 중 15위
-민심이 여러모로 좋지 않은 듯합니다.
“전북 발전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하던 3대 국책사업이 정부의 미온적 대응과 정략적 발목잡기에 휘둘리면서 도민들이 분노를 넘어 실망과 좌절의 나락에 빠져 있습니다.”
-그래도 태권도공원 하나는 건졌군요.
“전북은 태권도공원이 처음 추진된 2000년부터 전국에서 맨 먼저 도내 후보지를 무주군으로 단일화해 치밀한 유치계획을 수립했어요. 태권도공원 유치에 성공했다고 무주의 민심이 크게 좋아진 건 없습니다. 그 동안 정책적 차별로 인한 지역경제 침체로 300만명이던 인구가 계속 감소해 급기야 마지노선인 200만명선이 붕괴되는 아픔을 겪으면서도 도민이 희망의 끈을 놓지 않던 터라 자괴심도 그만큼 큰 겁니다. ‘전북 홀대’로 인한 민심 악화는 어느 특정 시·군에 국한한 문제가 아녜요.”
-전북의 요즘 경제상황은 어떻습니까.
“무척 어렵죠. 경제는 매년 일정 규모 이상 성장해야 하는데, IMF 외환위기 이후 전북의 경제성장률은 전국평균의 절반 수준이에요. 특히 투자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 이는 기업들이 원하는 시장이 좀처럼 형성되지 않아 신규 창업 기업이 감소하고 기존 기업의 도산이 늘기 때문입니다. 일례로, 2002년 1572개이던 전북지역 신설 법인이 2004년엔 1179개로 줄었고, 부도법인은 2002년 76개에서 2004년 100개로 늘었어요. 이런 현상은 수도권을 제외한 모든 지방경제가 고사(枯死) 위기로 치닫는 주원인입니다.”
1차산업 비중 전국평균의 3배
-전북 발전을 저해하는 결정적 요소가 무엇이라 생각합니까.
“지역별 낙후도를 따질 때 흔히 전북·전남·강원을 대표격으로 꼽는데, 강원은 거의 산간지역이라 관광을 제외하면 이렇다 할 주산업이 없죠. 전북의 경우도 전형적인 농도(農道)여서 1차산업은 발달했지만 부가가치가 높은 2차 산업의 비중이 낮아요. 1차산업인 농림어업의 비중이 전체 산업의 11.7%로 전국 평균보다 3배나 높아요. 또 대도시가 없다 보니 아무래도 지역의 활력이 떨어지는 편이죠.”
-강원도 평창이 동계올림픽 국내 후보지로 결정된 데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
“결과에 대한 승복 여부를 떠나 이번 후보지 결정은 페어플레이 정신이 부족했다고 봅니다. 법과 원칙이 무시된 정략적 결정은 전북과 강원, 나아가 국가에도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국제대회인 1997년 동계 유니버시아드를 성공리에 개최하고, 동계올림픽 유치를 10년간 준비하며 동계스포츠 메카를 꿈꿔온 무주를 제쳐두고, 2000년 당시 준비기간이 1년도 안 된 평창을 2010년 동계올림픽 국내 후보지로 결정한 대한올림픽위원회(KOC)가 이번에 또다시 평창을 2014년 동계올림픽 국내 후보지로 서둘러 결정했어요.
경기시설 부문에 느닷없이 기후와 환경을 추가하고 국제스키연맹(FIS)의 실사(實査) 과정 막판에 관련 책임자를 강원도 자문역을 맡았던 인물로 바꾸는가 하면, 국가기관인 국립지리원의 공식자료에 기록된 남덕유산의 표고차 855m를 무시하고 700∼800m라는 주관적 의견을 받아들이는 등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한 KOC는 무책임한 행태에 대해 후보지 결정 여부를 떠나 그 진실을 반드시 밝혀야 할 겁니다.
또한 실사 결과는 전북에 대한 우선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었음에도, 기다렸다는 듯 신청절차도 밟지 않은 채 서둘러 평창으로 결정한 것은 동등한 위치에서 선의의 경쟁을 할 수 있는 기회마저 박탈한 명백한 월권행위이자 그간 끊임없이 제기돼온 사전담합 의혹을 여실히 드러낸 것이라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