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46년 강원 동해 출생<br>● 동국대 행정학과 졸업<br>● 1974년 제15회 행정고시 합격<br>● 영월군수, 강릉시장, 경기 부천시장, 강원도 행정부지사<br>● 1998~ 강원지사
하지만 재정자립도는 2004년 기준 27.5%로 전국 16개 광역시·도 중 14위. 평창군이 2014년 동계올림픽 국내 후보지로 지정됐다지만, 도내 다른 시·군의 경제현실에는 여러 모로 모자란 부분이 많다. 그래서 강원도엔 ‘오지’ ‘변방’이라는 반갑잖은 닉네임이 아직껏 따라붙는다.
2월1일, 김진선(金振·59) 강원지사를 만나 지역현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아직도 머나먼’ 강원
-전국적으로 경제상황이 매우 좋지 않은데, 강원도는 어떻습니까.
“제 최대 고민거리가 민심일 정도로 좋지 않아요. ‘강원도’ 하면 그 관광지를 떠올리게 마련인데, 요즘 상가는 물론 몇몇 대형 리조트를 빼곤 숙박업소조차 ‘개점휴업’ 상태예요. 교통편이 편리해지니까 관광객들이 먹을 것 싸들고 와서 좀체 지갑을 열지 않아요. 어촌 사정은 더해요. 어장 축소, 수산자원 감소, 어업인 고령화로 1년에 한두 번씩 구휼을 해야 할 형편입니다.”
-지역내총생산(GRDP) 등 경제지표를 보면 강원도가 전국 최하위권이더군요.
“제조업 부문이 미약한 지역경제의 특성 때문이에요. 지역경제를 선도할 기간산업도 취약하고. 승부산업이랄 수 있는 관광산업이 성장세이긴 하지만, 핵심 기간산업으로 자리잡기엔 연계효과나 부가가치 효과 면에서 미약하죠. 게다가 아직 충분한 연구되지 않은 부문이라 통계청의 소득추계에 적절히 반영되지 않는 점도 있어요.
다행히 최근 경기 흐름을 나타내는 산업경제지표들이 꾸준히 향상되고 있어요. 2004년 기준으로 도내 실업률이 2.3%(전국 3.7%)로 낮고, 수출규모도 1997년의 5억8800만달러에서 2004년엔 7억2600만달러로 23.8% 증가했습니다. 도산 기업도 2003년 42개였는데 2004년엔 20개로 52% 감소했죠.
또한 강원도가 수도권 외곽이다 보니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이전하는 기업 중 3분의 1을 유치할 수 있었어요. 2000∼04년까지 562개 기업이 강원도로 이전했죠. 강원도를 흔히 기업과 연관이 없는 곳으로 예단하기 쉽지만, 이런 사례는 기업하기 좋은 곳이란 사실의 방증이죠. 열악한 교통망이 점차 확충되면 향후 5∼6년 내에 수도권과 1시간 남짓한 거리가 되면서 기업 이전이 가속화할 거라 봅니다.”
-그래도 외지인에겐 ‘강원=낙후지’란 등식이 아직 익숙한데요.
“과거 강원도는 ‘자원도’라 불렸어요. 석탄·시멘트·발전 산업이 주력이었죠. 그 가운데 석탄산업은 완전히 사양화됐죠. 한때 160개가 넘던 탄광이 지금은 8개만 남았어요. 탄광지역 인구도 44만명에서 20만명이 채 안 될 만큼 줄었고요. 전국 생산량의 70%를 차지하는 시멘트산업도 중국의 번성으로 영향을 받고 있고, 수력발전 비중도 급격히 낮아졌어요. 이런 요인들이 낙후의 결정적 계기가 된 거죠. 도내에 환경·군사시설이 많아 이에 대한 규제가 심한 것도 한 원인입니다. 전국 낙후도 조사를 보면 전남에 이어 전국 2위예요.”
-21세기는 지역경쟁시대라고들 합니다. 강원도의 발전을 위한 마스터플랜은 어떤 것이 있나요?
“대내외적 여건이 급변하는 지금이 발전의 기회이자 전환점입니다. 다행히도 환경과 삶의 질을 중시하는 패러다임으로 변화하면서 강원도의 가치가 점점 상승하고 있어요. 발전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도정의 큰 틀에서 보면, 청정환경을 기반으로 한 ‘생명·건강산업수도’ 육성, ‘동아시아의 관광허브지대’ 조성, ‘환동해권 물류중심지’ 조성, ‘광역순환교통망’ 조기 확충, 폐광지역 및 접경지역(DMZ) 개발 등 5가지로 집약할 수 있습니다. 모두 2020년을 목표로 한 개발전략입니다.
하지만 이들 비전의 실현은 지자체의 노력만으론 한계가 있고, 중앙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정부의 지원을 적극 이끌어낼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할 생각입니다.”
‘환경수도’로 자리매김할 터
-공해 없는 환경은 강원도의 큰 자산인데, 이를 적극 활용할 방안은 있습니까.
“앞으론 참살이(웰빙) 차원에서 산소(O2) 장사를 해야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어요. 아시겠지만, 강원도는 공기 중 산소 비율이 전국 최고예요. 따라서 도내의 많은 숲을 활용한 자연탐방, 삼림욕 등 관련상품을 적극 개발할 겁니다. 강원도가 ‘환경수도’로 자리매김하는 게 궁극적 목표입니다.”
-서울 강남과 50분 거리인 원주에 5만평 규모의 외국인 전용공단을 조성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압니다. 어려움은 없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