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안산시 원곡동 일대의 아시아 노동자들. 시화, 반월 공단, 후미진 작업장 한켠에서 한국인을 대신해 ‘어렵고 더럽고 위험한’ 일에 종사하고 있다. 불법 체류, 타향살이의 설움으로 하루하루가 불안한 나날. 그래도 사랑은 피어나고, 갓 태어난 코시안(한국인과 아시아 노동자 사이에서 난 자녀)의 검은 눈동자에는 상생(相生)의 미래를 향한 희망이 일렁인다.
코리안, 코시안, 아시안
글/사진: 조영철 기자
입력2002-12-03 14:07:00
[Special Report | 大서울, 욕망을 간질이다] 與, 상위중산층 욕망하는 ‘移住 세대’ 겨누다
고재석 기자
‘이커머스 샛별’이라 불리던 컬리의 기업공개(IPO)가 좀처럼 재개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1월 컬리는 IPO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기업가치를 제대로 인정받기 어렵게 되자 코스피 상장 계획을 무기한 연기했다.이후 시장 상황을 지…
김민지 뉴스웨이 기자
“제가 암컷을 비하하는 말씀은 아니고, ‘설치는 암컷’을 암컷이라고 부르는 것일 뿐입니다.”11월 19일 최강욱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 말이다. 같은 당 소속 민형배 의원의 책 ‘탈당의 정치’ 북콘서트에 참여한 그는 현 정권이 …
노정태 경제사회연구원 전문위원·철학
서울 송파구 잠실의 사무실에서 만난 한용외 전 삼성문화재단 사장(현 인클로버재단 이사장)의 하루는 분주해 보였다. 여기저기서 걸려오는 전화와 행사 참석 요청으로 시간을 쪼개 살고 있는 듯했다. 은퇴 후 다문화가정을 지원하는 인클로버재단을 만든 그는 ‘다문화가정 가족사진을 찍어주는 할아버지’로 통한다. 한 달에 두 번씩 지방을 다니며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가족사진을 찍어준 것이 14년째. 지금까지 6500여 가구가 넘는다. 박사 논문도 다문화가정 관련 주제로 썼다. 다문화가정 청소년 교육, 장학 및 연구사업도 한다. 2000년에는 대통령표창, 2006년에는 국민포장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