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재테크

“개미여, 펀더멘털 무시하고 파동 분석법으로 무장하라”

三試 패스 고승덕 변호사가 고시공부하듯 개발해낸 주식투자 성공비법

  • 고승덕 < 변호사 >

“개미여, 펀더멘털 무시하고 파동 분석법으로 무장하라”

1/6
  • 물리학에 상대성이론이 있다면 주식투자에는 파동원리 분석법이 있다? 주가 메커니즘을 알면 개미도 투자에 성공할 수 있다는 ‘천재 변호사’의 고감도 주식 강의.
한국 주식시장에서 개인투자자의 거래 비중은 대단히 크다. 거래소시장의 경우 매매대금을 기준으로 하면 개인의 거래비중은 기관과 외국인을 합친 것보다 2.5배 이상 많다. 외국인과 기관이 위험관리상 잘 들어가지 않는 코스닥시장의 경우에는 가히 절대적이다. 한국 주식시장은 개미라고 불리는 개인 투자자들이 먹여 살린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개미들은 무슨 생각으로 주식시장에 들어올까? 해답은 간단하다. 은행 이자보다 더 많은 수익을 얻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현실은 개미가 기대하는 것과 다르다.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국에서 10년 간 주식을 보유했을 때 은행이자보다 초과 수익률을 낸 주식은 30개가 채 안된다. 상장회사의 수를 감안하면 30개 미만이란 확률이 거의 없음을 의미한다. 특히 자금 규모가 작은 개미들이 선호하는 중소형주는 그 30개에 해당될 가능성이 제로에 가깝다. 그럼에도 이 확률 없는 게임이 계속 진행되는 이유는 뭘까? 그것은 개미가 주식시장의 현실을 모르기 때문이다.

주식 투자는 불평등 게임

이상적으로 본다면 주식시장은, 경제와 기업의 펀더멘털을 확신하는 투자자들이 주식을 장기 보유하고 경제와 기업의 발전에 따라 주가가 상승해 수익을 얻는 방식으로 굴러가야 할 것이다. 그것이 정부가 제시하는 주식시장의 기능이다. 또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 우리는 그들을 건전한 투자자라 부른다. 그런데 한국 주식시장은 건전한 투자자들이 투자해 수익을 낼 수 있는 재테크의 장이 아니다. 주원인은 ‘세력’이라고 하는 존재가 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큰손’, 시장이나 주식 흐름을 선도한다 해 ‘선도세력’ 혹은 ‘매매 주체’라고도 불리는 자들이다.



세력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소형주에는 자금규모가 몇십억원 정도 되는 작은 세력이 붙어 주가를 관리해 올렸다 내렸다 하고, 대형주에는 몇백억원 정도의 자금을 가진 더 큰 세력이 달려든다. 주식시장 전체로는 몇천억원 또는 몇조원의 자금을 움직이는 외국인과 기관이라고 불리는 세력이 장난을 치고 있다.

작은 세력은 주가 조작이 쉬운 중소형주에 붙어 주식을 매집하고 주가를 급등시켜 개미에게 물량을 처분하는 작전을 많이 하기 때문에 ‘작전세력’이라 불리기도 한다. 대형주에는 기관, 외국인과 같은 큰 세력이 붙어 주가를 흔든다. 주식시장 전체로도 큰 세력이 붙어 선물과 옵션을 대형주와 연계시켜 매매하면서 시장 흐름을 좌우한다. 외국인이 선물과 옵션을 투기적으로 매매하고 있다는 기사를 자주 볼 수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개미는 주식시장이 누구에게나 공정한 기회가 주어지는 시장이라 생각하지만 이는 애당초 잘못된 것이다. 세력과 개미는 주식시장에서 동등한 게임을 벌일 수 없다. 개미는 숫자도 많고 합치면 거래 규모도 크지만 단결해 힘을 발휘할 수 없다.

각기 흩어져 있는 개미는 시장 분위기를 따라가는 군중심리에 의해 움직이는 본성이 있다. 시장 분위기는 세력이 주도한다. 세력은 주가 방향을 선도한다. 세력이 주가 방향을 선도할 수 있는 것은 정보를 장악하고 자금력이 있기 때문이다. 정보는 돈이다. 정보를 소유하고 조작하는 자가 수익을 얻는 곳이 주식시장이다.

세력이 사면 주가는 오르고 세력이 팔면 주가는 내린다. 하루 거래대금이 몇조원인 거래소는 외국인이 삼성전자를 2000억원 정도 매도하면 쑥대밭이 돼버린다. 개미는 시장과 주가의 움직임을 주도하지 못하고 흐름을 감으로 따라갈 수밖에 없다.

1/6
고승덕 < 변호사 >
목록 닫기

“개미여, 펀더멘털 무시하고 파동 분석법으로 무장하라”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