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인터뷰

안병영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무차별 특목고 설립 반대 교육기회 평등화 실현할 터”

  • 글: 김현미 동아일보 신동아 차장 khmzip@donga.com

안병영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무차별 특목고 설립 반대 교육기회 평등화 실현할 터”

1/5
  • ● EBS 수능강의 참여한 학교는 예외 없이 좋은 성과 거둬
  • ● 0교시 보충수업, 10시 이후 자율학습 하지 말아야
  • ● 수준별은 개별화, 우열반과 다르다
  • ● 당분간 특목고, 자립형사립고 확대 계획 없어
  • ● 선(先)지원 후(後)추첨 등으로 평준화 보완
  • ● 교육자치 공감하나 입시과열 우려
  • ● 8월 중 중장기 인적자원 수급계획 발표
안병영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무차별 특목고 설립 반대 교육기회 평등화 실현할 터”
박수 받는 등장은 아니었다. 대통령과 임기를 같이 하겠다던 교육부총리가 입각 9개월 만에 물러나고 참여정부 두 번째 교육부총리를 맞는 국민들의 심사가 그리 편할 리 없었던 까닭이다. 청와대는 안병영(安秉永·63) 교육부총리에 대해 “1995년부터 97년까지 교육부 장관을 맡아 교육개혁을 무난하게 추진한 경험이 있으며 원칙을 중시하고 합리적인 업무추진 경험을 살려 교육현장과 학부모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여 교육현안을 원만하게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발표했다.

참여정부 1년 만에 사분오열된 교육계는 당장 개혁성보다 중량감, 안정감이 절실했다. 그러나 신임 부총리는 김영삼 정부 시절 교육부 장관을 지내며 5·31교육개혁안의 골격을 세운 ‘시장주의자’로 알려져 있었다. 진보를 표방한 교육운동 진영은 안병영 부총리 체제의 출범을 시장주의 교육개혁의 신호탄으로 보고 시시각각 비판의 날을 세웠다. 결코 호의적이지 않은 시선 속에 사교육비 대책, 평준화 논란, 대학입시 개혁 등 해묵은 과제를 떠안고 안병영호(號)가 출항한 지 4개월. ‘2·17사교육비경감대책’의 일환으로 4월1일 시작된 EBS 수능방송이 뜨거운 관심 속에 순항을 계속하자 잠시 숨고르기에 들어간 안병영 부총리와 만났다.

-고교생의 75%가 EBS 수능을 시청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는데 교육부가 기대했던 것 이상 아닙니까.

“당초 80% 조금 넘는 선이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조금 기대가 과했던 것 같고 지금 수준에도 만족합니다.”

-어느 대목에서 성공임을 예감했습니까.



“수능방송 시작 사나흘 전 기자들에게 이야기했어요. 인터넷 대란은 없으니 기다리지 말아라, 경우에 따라 소란은 있다, 그러나 일시적일 것이다라고요. 그러나 소란조차 없었습니다. 고건 총리께서 ‘교육부는 여러 사람의 우려를 겸허하게 받아들여서 다 챙겼다’는 말씀을 하셨는데 정말 그렇게 했습니다. 주위에서 걱정하신 만큼 전국 2100여개 고등학교를 샅샅이 챙기고 점검했습니다. 동시 폭증에 대비해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했고요. 4월1일 이틀 전부터는 내심 웬만큼 됐다고 생각했죠.”

평소의 안 부총리답지 않게 조심스러운 전망 대신 확실한 기대감을 표시했다. 그만큼 EBS 수능방송의 출발은 순조로웠다. 그러나 문제는 이제부터다. 수험생과 학부모들의 관심은 온통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EBS 수능방송에서 얼마나 출제되느냐에 쏠려 있다.

단기효과 아닌 e러닝의 시작

-당장은 EBS 수능이 사교육비 경감효과를 가져온 것이 사실이나 이는 방송과 수능을 연계했기 때문이라는 비판도 만만치 않습니다. EBS 수능 강사조차 ‘방송강의가 찍어주기 식이 되면 교육의 본질을 해치는 것’이라고 하지 않습니까.

“기본적으로 학교교육을 정상적으로, 열심히 받으면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을 거라는 말밖에 할 수 없습니다. 물론 수능시험과 EBS 강의는 꽤 연계가 되리라고 생각해요. 왜냐하면 출제기관인 교육과정평가원과 EBS가 기획단계부터 출제까지 연계돼서 움직였기 때문에 제법 반영되리라 생각합니다.

그러나(이 대목에서 안 부총리는 목소리에 힘을 실었다) 거듭 말씀드립니다만, EBS 수능은 선발기능만을 위해 존재하는 게 아니라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정상화하는 데도 기여하기 때문에, 수능이 아니라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됐다고 보는 게 더 정확합니다. 교육부가 드릴 수 있는 말은 교과서와 핵심영역 중심으로 내겠다는 건데, 물론 그 정도로 학부모와 학생들이 만족할 리 없겠습니다만, 그런 기본적인 공감대 위에서 평가원과 EBS가 협조하고 있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안 부총리의 ‘꽤’ ‘제법’이라는 표현으로는 반영정도를 가늠하기 어려웠다. 다시 물었다.

-국민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부분에서는 피해가시네요.

“별로 출제되지 않아도, 너무 많이 출제되어도 문제가 되겠죠(웃음). 저희 목표는 근본으로 돌아가는 겁니다. 학교 공부 열심히 하고 수능방송 들으면 좋은 결과가 나옵니다.”

1/5
글: 김현미 동아일보 신동아 차장 khmzip@donga.com
목록 닫기

안병영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무차별 특목고 설립 반대 교육기회 평등화 실현할 터”

댓글 창 닫기

2023/04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