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단독공개 위성사진

南 여객기 직항 협상중인 北 삼지연 기지

구식 전투기, 노후 활주로… 정상가동 어려운 듯

  • 황일도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shamora@donga.com

南 여객기 직항 협상중인 北 삼지연 기지

2/2
南 여객기 직항 협상중인 北 삼지연 기지

③ 활주로 서쪽 3분의1 지점. 곳곳에 균열이 눈에 띈다.<br>④ 서쪽 주기장 부근 지하시설에서 MiG-17로 추정되는 항공기가 빠져 나오고 있다. (DigitalGlobe)

삼지연 공항은 직항기로 남북을 잇는 백두산 관광사업 루트로 지난해 가을부터 비공개 협상이 진행되고 있는 민·군 겸용 시설이다. 최근 남측 민간단체들은 이 공항 및 주변 시설 보수를 위해 아스팔트 2000t을 북측에 무상지원한 바 있다(‘신동아’ 2005년 2월호 ‘北 백두산 군사기지에 南 관광기 내린다’ 기사 참조).

사진에서는 활주로 주변 주기장 두 곳에 MiG-17과 MiG-19 전투기로 추정되는 항공기가 각각 20여대 서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기종은 원산지 러시아에서조차 이미 상당수가 폐기된 구형. MiG-17이 있는 서쪽 주기장 부근에는 지하격납시설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활주로의 상태는 해상도 1m 수준의 위성카메라에도 적잖은 균열이 포착될 만큼 심각하다. ‘신동아’ 2004년 12월호에 공개된 바 있는 평양 주변 북창기지 위성사진에 비해서도 훨씬 열악한 상태. 휴전선으로부터 멀리 있어 군사적 중요성이 떨어지는 만큼, 북한이 최근 박차를 가하고 있는 ‘백두산 개발사업’에도 불구하고 제때 수리하지 못한 듯하다.

南 여객기 직항 협상중인 北 삼지연 기지

⑤ 활주로 서쪽 끝에 있는 공항청사. 여객용 시설로 쓰인다.<br>⑥ 공군부대로 추정되는 활주로 남쪽의 건물들.(DigitalGlobe)



신동아 2005년 3월호

2/2
황일도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shamora@donga.com
목록 닫기

南 여객기 직항 협상중인 北 삼지연 기지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