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B는 1월10일 크리스토퍼 힐 미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를 만나 영어로 많은 얘기를 나눴다.
2월10일 청와대 수석비서관 인선 기자회견에서도 예의 영어가 튀어나왔다. 어느 기자가 “best of the best(최고 중의 최고)로 선정했느냐”고 묻자 MB는 “best of the best는 몰라도 doing their best(최선을 다함)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역대 대통령 가운데 영어 잘하는 이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미국 프린스턴대 박사 출신인 이승만 전 대통령이나 영국 에든버러대 고고학과를 나온 윤보선 전 대통령, 외교관 출신의 최규하 전 대통령이 영어를 잘했지만 오래전 일이다. 감옥에서 영어를 독학하고 미국에서 망명생활을 한 김대중 전 대통령도 외신과 영어 인터뷰가 가능한 실력을 갖춘 것으로 알려졌지만 그가 영어로 대화하는 광경은 거의 노출되지 않았다. 그래서 새 대통령의 잦은 영어 사용이 새삼스럽게 눈길을 끈다.
MB는 외빈들과 만날 때도 인사와 화기애애한 분위기 조성용(breaking the ice) 대화는 통역 없이 영어로 한다. 다음은 1월10일 크리스토퍼 힐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 차관보를 만났을 때 두 사람이 첫머리에 나눈 대화다.
이명박 : Oh, how are you(잘 있었소)?
힐 : Nice to see you again. You´re looking very well. Congratulations(다시 만나 반갑습니다. 건강해 보입니다. 축하드려요).
이명박 : Thank you, you´re welcome. You´re working hard. huh(고맙소, 뭐 그렇지요. 그런데 너무 열심히 일하는 것 같군요, 그죠)? (웃음)
힐 : I´m trying. You made me an honorable citizen of Seoul. I´m very proud of that(노력하고 있습니다. 대통령께서 저를 명예 서울시민으로 만들어주셨죠. 아주 자랑스럽습니다).
이명박 : Thank you(고맙소).
힐 : And my daughter also want to convey her wishes, her best greetings. Because you gave her an award for being one of the most biggest users of your ice skating rink(그리고 제 딸도 안부를 전해달라고 했습니다. 대통령께서 제 딸에게 시청 앞 스케이트장을 이용할 수 있게 해주셨으니까요.’
이명박 : Where´s she, your daughter? In the States?(따님은 지금 어디 있어요? 미국에)?
힐 : Yes, she´s in the States, she finished her degree in Wellesley and now she´s working in Boston and she´s still ice skating.(예, 미국에 있습니다. 웰리슬리대에서 학위를 마치고 지금 보스턴에서 일해요. 거기서도 스케이팅을 즐깁니다). (웃음)
1월15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주한 외국투자기업 신년인사회에서 MB가 영어로 연설한 동영상이 한 뉴스 사이트(http://news.joins.com/article/aid/2008/01/16/3048025.html)에 올라 있다. 이 동영상을 본 네티즌들이 여러 건의 댓글을 달았다. 대부분은 극단적인 찬반 양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