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자동차 블로그 카홀릭의 멤버들.
3 야구 타임즈를 운영하는 김홍석(왼쪽)씨와 롯데 자이언츠 강민호 선수.

GM대우는 8월8일 서울 용산역 3층에 있는 GM대우 부스에서 신형 마티즈 사진 촬영행사를 열면서 국내의 내로라하는 자동차 관련 파워블로거 7명을 초청했다. 신형 마티즈가 영화 ‘트랜스포머 2’에 등장했다는 점에 착안해 영화 속의 메간 폭스처럼 옷을 입고 분장한 모델이 신형 마티즈 앞에서 포즈를 취했다. 이날 행사는 딱 7명만을 위한 행사였다. 블로거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이제 국내 기업들도 파워블로거에 대해서는 ‘각별한 배려’를 하고 있다.
행사에 초청된 7명 중 4명이 올해 5월에 모여서 만든 카홀릭은 자동차 관련 뉴스와 자동차 시승기 등을 게재하는 팀블로그다. 편집인으로 대표 블로거인 박낙호(35)씨를 포함해 2명은 전업 블로거, 나머지 2명은 회사를 다니면서 틈틈이 블로그 활동을 하고 있다.
2008년 1월 처음 블로그를 개설한 박낙호씨의 개인 블로그(caranddriving. net) 총 방문자수는 현재 694만에 달한다.
▼ 개인 블로그 활동을 1년 반 넘게 했는데, 블로그가 돈이 되나.
“잘 벌릴 때에는 한 달에 150만~200만원 벌기도 했다. 그런데 지금은 개인 블로그에서 한 달에 40만원 정도 번다. 블로그에 띄운 구글애즈 광고 등이 수익모델이다.”
▼ 개인 블로그 수입이 최근 줄었는데 이유는 뭔가.
“처음 블로그 활동을 할 때만 해도 자동차 관련해서 읽히는 글을 쓰는 사람이 많지 않았다. 그래서 다음 등 포털의 메인화면에 내 글이 노출되는 일이 잦았다. 그 때에는 보통 하루 방문자가 1만명을 넘었고, 인피니티 G35 시승기, 주행 도중 앞차가 사고를 냈을 때 피하는 요령을 쓴 글은 각각 조회수가 25만건이 넘는 대박이 터지기도 했다. 그런데 자동차 관련 블로거가 늘어나면서 포털 메인 화면에 노출되기가 쉽지 않은 편이다. 그래서 방문자수가 줄어 수익도 줄어든 것이다. 방문자수가 줄긴 했지만 지금도 매일 4000~ 5000명은 꾸준히 방문한다.”
▼ 팀블로그인 카홀릭에는 어떤 콘텐츠를 올리나.
“일단 매일 5건 안팎의 자동차 뉴스를 올린다. 여기에는 기업들이 발표한 보도자료를 근거로 작성한 기사도 있고, 독자적으로 취재해서 올린 기사도 잇다. 기타 사진과 동영상 등 관심을 끌 만한 뉴스, 자동차 시승기, 제품 리뷰 등을 올린다. 보통 하루에 올리는 콘텐츠 건수를 7건 정도로 정하고 있다. 콘텐츠의 품질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무조건 올리지는 않는다. 카홀릭은 출범한 지 석 달 정도 됐지만 벌써 방문자가 하루에 3000명이 넘는다.”
▼ 카홀릭 콘텐츠가 어떤 점에서 차별성을 갖나.
“시승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우리는 시승기를 쓸 때 정말 공을 들인다. 아반떼 하이브리드는 4500㎞를 운행했고, 볼보 XC60은 3000㎞를 운전해본 뒤 시승기를 썼다. 실제 운행에서 마주칠 수 있는 다양한 상태의 도로에서 자동차를 시험한다. 레저 개념이 강한 XC60 시승기를 쓰려고 실제로 해수욕장에서 모기장을 친 채 차 안에서 잠을 잔 적도 있다.”
▼ 기름값도 많이 나올 텐데, 자동차 회사로부터 별도의 연료비를 지원받나.
“대개 그렇듯이 시승차를 처음 픽업할 때 연료탱크를 채운 채 받는 게 전부다. 그래서 기름값이 많이 들어간다.”
▼ 이제 전업으로 블로그 활동을 하고 있다. 카홀릭의 수익모델은 뭔가.
“지금 당장은 의미가 있는 수익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이제 시작일 뿐이다. 일단 콘텐츠가 축적돼야 한다. 수익모델은 우선 콘텐츠 판매다. 9월부터 야후코리아에 콘텐츠를 공급하기로 했고, 점차 확대할 예정이다. 둘째는 광고유치다. 자동차 블로그는 특히 광고유치에 유리하다고 본다. 소비자가 자동차 구입에 앞서 시승기나 리뷰를 꼼꼼히 읽어보기 때문이다. 이들은 특히 장기간 시승한 뒤 쓴 글을 좋아한다.”
▼ 광고 등을 의식해 시승기나 리뷰 내용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것 아닌가.
“누리꾼들은 금방 안다. 만약 무리하게 제품을 홍보하는 글을 쓰면 바로 비판 댓글이 올라온다.”
▼ 전업 블로거로 나섰는데 불안하지 않나.
“그렇지 않다. 여기에서 최고가 되면 돈을 벌 수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자동차 블로거는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