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前 국군정보사령관이 말하는 북파공작부대의 어제와 오늘

“독 오른 살쾡이의 눈빛… 훈련 참관하던 국회의원이 졸도했다”

  • 황일도│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shamora@donga.com│

前 국군정보사령관이 말하는 북파공작부대의 어제와 오늘

2/4
前 국군정보사령관이 말하는 북파공작부대의 어제와 오늘

오항균 전 정보사령관.

“여성계 지도자들의 독려에 따라 어린 여학생들이 첩보임무에 자원하는 경우가 꽤 있었다. 갈래머리를 잘라 파마를 하고 는 배를 타고 북한 후방지역으로 투입됐다. 원래는 백마산의 유격단체를 접촉하는 임무를 받았지만 이미 사실상 해체된 상태였고, 대신 인근 지역 지하에 은폐돼있던 대형 비행장 시설을 확인해 보고하는 등 다양한 작전에 참여했다. 무장이라고는 붙잡힐 경우 자폭할 수 있도록 쥐여준 수류탄 하나가 전부였다.”

동해와 서해, 육상과 공중으로 나뉜 이들은 중국군의 참전 사실 확인, 북한군 고위간부 납치, 주요 군사시설 파괴 같은 임무를 수행했다. 전쟁을 전후해 이들 첩보부대는 육군의 HID(Headquarters of Intelligence Detachment), 해군의 UDU(Underwater Demolition Unit), 공군의 AISU(Airforce Intelligence Service Unit)로 체제를 갖춰나가기 시작했다.

목장, 물색관, 왕사장

전쟁이 끝난 뒤 북파공작은 ‘무장공비’로 불렸던 북측의 침투에 대응하는 보복 공격 형태로 이뤄졌다. 쉽게 말해 북파부대는 한국 측의 무장공작원이었던 셈. 차이가 있다면 북한군의 무장공작이 후방침투 성격을 띠고 있었던 데 비해, 이들의 활동은 주로 휴전선 인근에 있는 북한군 연대·사단본부 등을 파괴하는 5~10명 단위의 임무가 많았다는 점이다.

이 시기부터 각 군 첩보부대는 안전가옥 형태의 훈련소를 여러 지역에 설치해 운영했다. 육군 HID의 경우 흔히 ‘목장’으로 불린 청계산 훈련소를 비롯해, 집 한 채와 텃밭이 전부인 안가가 인천, 논산, 춘천, 전곡, 인제 등 수십 개에 달했다. 해당 지역의 이름을 따서 ‘춘천대’ 등으로 불렸다. 대원이 생포되는 경우 전체 부대의 규모를 발설할 수 없도록 훈련소끼리도 거의 교류 없이 지냈다.



문제는 이들 중 상당수가 정식 군인이 아닌 민간인 신분(이른바 ‘민수’)이었다는 점이다. 군인을 투입했다가 생포될 경우 정전협정 위반으로 국제법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민간인들을 데려다 쓴 것. 내부적으로 군인 신분을 부여한 경우에도 군번이나 계급을 알려주지 않는 일이 많았다.

흔히 ‘물색관’으로 불린 첩보부대 관계자들은 기차역 같은 번화가에서 ‘몸이 좋은 젊은이’를 골라 “공무원 자리를 보장해준다”거나 “집을 몇 채 살 수 있는 큰 돈을 주겠다”며 섭외하는 게 당시의 일반적인 패턴이었다. 상상을 불허할 정도로 강도 높은 훈련과 보안 철저준수를 강조한 폐쇄성의 폐해도 컸다. 훈련 중에 사망하거나 북한지역에서 임무를 수행하다가 죽은 경우에도 유가족에게 제대로 통보되지 않는 일이 잦았다. 심지어 훈련 중에 중대범죄가 발생하면 자체적으로 즉결처분해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도 많았다. 북파공작부대가 인권유린의 대명사로 자리매김한 배경이었다.

이 무렵의 한 전역자는 “육신이 워낙 고단했기 때문에 일단 실컷 먹고 푹 자는 게 소원이었다”고 회고했다. 언제 전역하는지도 몰랐다가 ‘왕사장’으로 불리던 HID 대장 앞에 가서 ‘전역 후 보안엄수 서약서’를 쓰는 순간에야 비로소 알게 됐다는 것. 집 몇 채를 살수 있는 거금을 준다는 약속은 깨끗이 사라졌지만, 부대를 떠날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감지덕지했다는 이야기다.

수도꼭지를 잠가도…

앞서 말했듯 북한군 전방 군사시설 공격이 주를 이뤘던 북파공작은, 그러나 1968년 1·21사태로 급변한다. 북한 무장공작원 31명이 박정희 대통령을 암살하기 위해 휴전선을 넘어 서울까지 진출한 이 사건은 정권 핵심에 엄청난 충격을 주었고, 당시 김형욱 중앙정보부장은 각 군에 기존의 첩보부대와는 별도로 ‘후방에 침투해 김일성 주석 등 수뇌부 암살을 시도할’ 새로운 형태의 북파공작 기획을 지시한다. 이와 함께 육군 HID가 AIU (Army Intelligence Unit)로 개편되어 ‘설악개발단’이라는 위장명칭을 사용하는 등 편제가 정규화됐고, 해병대도 별도의 첩보부대를 창설했다(이 부대는 1975년 해군 첩보부대로 통합된다).

오 전 사령관에 따르면, 조천성 HID대장(당시 준장)이 훈련을 책임졌던 ‘새로운 형태의 부대’는 형식상 군별로 하나씩 만들어졌다. 1968년 4월 창설돼 ‘684부대’로 불렸던 실미도 부대는 공군 소속이었고, 선갑도 부대는 육군 소속, 장봉도 부대는 해군 소속이었다. 침투 용이성을 위해 북한 지역과 매우 가까운 서해 섬에 하나씩 자리한 형국이었다.

각 부대는 김신조 부대와 똑같이 31명으로 구성되어 총 93명에 달했다. 실미도 부대 대원들은 영화 줄거리와는 달리 전과자 출신이 아니었고, 북파공작부대를 통틀어 선갑도 부대만이 교도소에서 사면을 약속받고 차출된 이들로 구성됐다. 이렇듯 각 군이 비슷한 성격의 부대를 중복 편성한 데는 ‘충성경쟁’이 한몫했다는 게 같은 시기 AIU에 참여했던 특수임무수행자회 김희수 회장의 평가다.

그러나 1971년 8월 실미도 부대원들이 섬을 빠져나와 청와대로 향하던 중 서울 대방동에서 자폭하자, 놀란 중앙정보부와 각 군 수뇌부는 나머지 두 부대도 바로 해체했다. 그 과정에서 부대원들 일부가 ‘보안유지’를 위해 살해당하는 끔찍한 일도 벌어졌다. 여기에 이듬해 7·4남북공동성명이 발표됨에 따라 한국군의 북파공작 수행은 공식 중단을 맞게 된다. 그러나 퇴역자들 사이에서는 1990년대 초반까지 첩보수집이나 북한군 전방부대 공격을 위해 휴전선을 넘었다는 경험담이 적지 않다. 오 전 사령관은 “수도꼭지를 잠가도 단번에 물이 완전히 끊기는 것은 아니지 않으냐”고 에둘러 표현했다.

그렇다 해도 1972년을 기점으로 북파임무의 횟수가 크게 줄어든 것은 분명한 사실이었고, 군 내부에서도 ‘훈련에만 집중하고 있는’ 이들 부대를 계속 유지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는 비판이 거셌다. 이에 따라 1990년 국방부는 정보당국과의 협의를 거쳐 이들 부대를 배대웅 당시 중장이 사령관을 맡고 있던 국군정보사령부 산하로 통합한다. 물색관 제도가 사라지고 대신 알음알이로 지원병을 받는 형식으로 모집형태가 바뀐 것이나, 곳곳에 흩어져 있던 안가가 하나 둘씩 폐쇄되기 시작한 것도 이즈음의 일이다.

특수임무를 수행할 첩보부대의 규모는 날이 갈수록 줄어들었지만, 한국사회의 민주화가 진행됨에 따라 거꾸로 이들의 존재 자체는 숨길 수 없게 돼버렸다. 1999년 말 전직 북파공작원들과 그 유족들이 명예회복과 인권유린에 대한 진상규명, 보상 등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인 것. 여기에 김성호 의원 등 정치권의 실체공개가 이어지면서 2002년 정부는 관련 법률을 개정해 임시방편으로 위로보상금을 지급하기에 이르지만, 정부의 공식적인 인정과 적절한 예우를 요구하는 관련자들의 시위는 계속됐다. 오 전 사령관의 설명이다.

2/4
황일도│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shamora@donga.com│
목록 닫기

前 국군정보사령관이 말하는 북파공작부대의 어제와 오늘

댓글 창 닫기

2023/04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