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Interview

고미영의 동반자 김재수 산악 대장

“미영씨가 힘들어할 때 업고라도 하산할 테니 걱정하지 말라고 했는데…”

  • 이혜민│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behappy@donga.com│

고미영의 동반자 김재수 산악 대장

1/5
  • ● 누구나 산을 오를 수 있지만 아무나 히말라야 등반을 할 수 있는 건 아니다
  • ● ‘한 발은 고통이고 한 발은 희망이다’ 계속 그렇게 주문을 걸고 간다
  • ● 나하고 같이 간 대원이 또 문제가 있으면 힘들어 못 산다
  • ● 나는 나 자신의 삶을 위해 히말라야에 간다
고미영의 동반자 김재수 산악 대장
부산 구포역, 나무처럼 길쭉한 두 다리가 위태로이 서 있다. 얼마 전 사망한 산악인 고미영의 동반자(同伴者·어떤 행동을 할 때 짝이 되어 함께 하는 사람) 김재수 산악대장은 담배를 손에 쥔 채 비 내리는 하늘을 바라보고 있다. 김광석의 노래가 흐르는 그의 차에 오르자 어색한 분위기를 깨려는 듯 그가 먼저 아이들 얘기를 꺼낸다.

필리핀에서 돌아와 아빠 사업을 돕고 있는 큰아이, 의대 다니는 둘째, 고등학교 다니는 막내…. 그의 아파트에 도착하자 세 아이의 사진과 함께 눈 덮인 산 사진이 손님을 반긴다. 좋은 추억부터 꺼내 보면 마음이 편해질까 싶어 등산 계기부터 물었다. 줄담배를 피우던 그가 경상도 말투로 나직하게 말했다.

▼ 산에는 언제부터 가셨습니까.

“열일곱 살 때, 누님이 권하셨어요. 성인은 스스로를 책임질 수 있는 사람인데, 그렇게 되려면 취미를 잘 만들어야 한다고. 처음엔 별 재미가 없더라고요. 힘만 들고. 그러다 자그마한 산에서 새벽에 텐트 밖으로 나와 해가 막 떠오르려는 순간을 봤어요. 산골짜기에 안개가 자욱한데 봉우리 사이로 햇살이 퍼지며 해가 떠오르는 그 광경이 가슴에 확 와 닿더라고요. 섬에 와 있는 것 같고. 이런 광경만 볼 수 있다면 등산을 취미로 삼아도 되겠다 싶어 그때부터 다녔죠. 산동네에서 자라 처음부터 잘 올랐습니다. 몸도 적당하고요. 30년 동안 175cm 61kg 허리 28인치 그대로니까요.”

▼ 전문 산악인이 되겠다는 꿈이 있었던 건 아니네요.



“당시에는 없었죠. 그러다 1977년 고상돈 선배님이 에베레스트를 등정했다는 소식을 듣곤, (부산) 보수동 헌책방 골목에서 일본의 ‘산과 계곡’, 미국의 ‘클라이밍’ 잡지를 사다 보면서 ‘나도 이런 거 해 보고 싶다’고 생각했습니다. 1989년에 해외여행이 자율화되자마자 에베레스트 베이스캠프에 갔는데 그때 나이가 스물 아홉입니다. 등반 퍼미션(허가서)을 얻으려면 3000달러 정도가 들어 하루에 20달러 하는 트레킹 퍼미션으로 산자락만 돌다 왔는데, 더없이 아름다운 산이었습니다.”

▼ 저는 안나푸르나 트레킹을 다녀와도 별 감흥이 없던데, 어떤 점이 좋으셨나요.

“안나푸르나는 처음에 모든 걸 보여주지만, 에베레스트는 한 발짝 들어갈 때마다 조금씩 보여줍니다. 그러다 마지막에 쫘악 하고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주죠. 그런데 처음 가서 그런지 고소증으로 부종도 생기고 구토도 심하게 했습니다. 그래서 한국으로 돌아온 뒤 매일 아침저녁으로 20㎞씩 뛰었습니다. 이듬해 부산오사카합동대 대원으로 참가해 에베레스트 정상을 다녀왔지요. 그런데 내 얘기만 합니까.”

▼ 에베레스트를 정복하셨군요.

“정복이 아니라 등정(登頂)입니다. 산악인은 그런 표현 안 씁니다. 산꼭대기에 잠시 머물다 오는데 어떻게 정복이란 표현을 씁니까. 오를 등, 봉우리 정자를 씁니다.”

▼ 네, 다시 질문 드리겠습니다. 에베레스트 등정이 쉬운 건가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이니 쉽지는 않아요. 그런데 그렇게 갔다 오고 보니 허무하더라고요. 내가 고작 이걸 하려고 그 노력을 했나 싶고. 그래도 뭔가 더 있을 것 같아 다음해에는 대한산악연맹 원정대 대원으로 시샤팡마 정상에 올랐습니다.”

▼ 그 뒤부터는 허무하지 않으셨나요?

“예. 숙명이라고 할까, 운명이라고 할까. 히말라야를 계속 가야겠다는 열정이 생기더라고요. 당시 애가 둘이고, 비닐하우스 한 동은 사업체로 쓰고 나머지 한 동을 집으로 쓸 때인데도, 산에 대한 열망이 더 컸던 것 같아요. 세 번째로 갈 때는 제가 팀을 꾸렸습니다.”

▼ 대장을 맡아보니 어떠셨습니까.

“리더로서 자질이 부족했습니다. 올라가고자 하는 욕심 때문에 후배들을 올려 보내지 않고 제가 올라갔어요. 식량도 부족하고 여러 가지 문제로 인원 전체가 등정하기는 어렵거든요. 보통 1차, 2차, 3차로 나누는데, 1차 대원들이 다녀오면 부담되죠, 혹시 사고가 나진 않을까 하고. 그 뒤에는 금전적인 이유도 있고, 4,5개월씩 나가 있기도 그래서 혼자 짧게 다녔습니다.”

▼ 금전적인 문제요?

“대장으로 갈 때 자비 2000만원을 들였습니다. 선배님들은 기본 경비를 부담하셨지만 후배들한테는 경비 부담시키기가 어려워서…. 팀을 리드한다는 건 그 사람들을 책임진다는 건데. 그런데 너무 내 얘기만 하는 거 아닙니까.”

▼ 마저 여쭙겠습니다. 혼자 어디를 다니셨나요.

“러시아 쪽에서 두 번, 티베트 쪽에서 한 번 7000m급을 올라갔는데, 혼자 다니면 내 몸 상태에 맞게 움직일 수 있지만 불편한 점도 있더라고요. 위험에 빠질 때 누구의 도움도 받지 못한다는 거. 그 뒤로는 같이 다니면서 1년에 2개월가량은 산에서 살았습니다. 그러다 1999년에 가세르브룸에 갔을 때 대장인 제가 아닌 대원 2명을 정상에 보냈고 그 뒤로는 리더로서 명예를 얻었다고 봐야죠.”

1/5
이혜민│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behappy@donga.com│
목록 닫기

고미영의 동반자 김재수 산악 대장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