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반기 이후 속속 모습을 드러내는 관계당국의 군수비리 수사는 열거하기도 벅찰 만큼 강도가 높다. 그러나 이제 시작일 뿐이다. 이미 공개된 사건 외에도 수사선상에는 ▲군 정보기관 단파 자동방탐장비 제안요청서 3급 비밀 유출 ▲군 정보기관 이전사업인 충성사업 비밀공사 설계도면 유출 ▲KHP(한국형헬기사업), KMH(한국형다목적헬기사업) 관련 대외비 자료 유출 ▲국군 통신부대 사업 담당자의 뇌물수수 ▲러시아제 무기도입 관련 문건 유출 ▲터키산 공군 전자전 훈련장비(EWTS) 도입 문건 유출 및 가격 조작 ▲해군 무인정찰기(UAV) 도입 관련 가격 조작 ▲육군 야간 표적지시기 및 대대급 교전용 훈련장비 납품 비리 등이 줄줄이 올라와 있다.

11월3일 이명박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열린 중장 보직 및 진급신고식에서 진급자들의 삼정도에 수치를 달아주고 있다.
한 청와대 관계자의 전언이다.
“2008년 7월, 촛불시위 대응과 관련해 청와대에서 주요 기관장을 질책하던 이명박 대통령이 임채진 검찰총장을 향해 ‘똑바로 하라’고 말한 것으로 알고 있다. 촛불집회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해 악화일로를 걷고 있던 상황에 대해 대통령의 꾸중이 이어지자 분위기는 ‘극도로 살벌해졌다.’ 이 자리에서 임 총장은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절의 군수비리에 관해 조사하겠다’고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이어진 조사는 주로 지난 정권시절 방산업체를 통해 조성된 비밀자금을 찾는데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국세청을 앞세운 F-15K 도입 관련 에이전트 회사에 대한 조사에서도 비자금 관련 사안은 나오지 않았고, 지난 정부에서 특혜를 받았다는 소문이 무성했던 무기상 조풍언씨에 대한 조사에서도 ‘물건’은 나오지 않았다. 서울중앙지검은 과거 보잉사·조풍언 씨 커넥션의 선상에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업체를 덮쳤고 수사는 국내 굴지의 대형 방산업체인 S사, L사, D사, 그리고 민간 안보연구소까지 이어졌지만, 끝내 비자금은 발견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