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때때로 아내와 부딪칠 때는, ‘아예 혼자 사는 게 속 편하지 않을까’ 생각하기도 한다. 특히 빨래 문제에서 그렇다. 나는 유전적(?)으로 후각이 발달해, 빨래가 제대로 건조되지 않았을 때 나는 ‘쿰쿰한 냄새’에 굉장히 민감하다. 아내에게 한 소리 하면 집사람은 “빨래 건조 정도는 대수롭지 않은 문제인데 왜 시비냐”는 투다. 올여름에는 유난히 비가 많이 와 빨래 건조가 까다로웠던 탓에 더욱 골치 아팠다.
절대조건보다 중요한 상대조건
평생 독신을 고집하지 않는다면 누구나 결혼 또는 동거를 생각한다. 장기 동거도 결혼과 비슷한 상황을 연출한다. 개인의 상황을 독신 또는 결혼이라는 두 가지로 나누고, 이때 사회적 계약인 ‘결혼’을 지극히 개인의 선택이라는 관점에서 한번 과학적으로 살펴보자.
미혼 남녀가 결혼하는 것은, 결국 결혼하는 것이 미혼으로 사는 것보다 더 큰 가치를 부여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일부일처제하에서는 각각 한 명의 이성과만 혼인 관계를 유지한다.
결혼을 상품 구매와 비교하면, 결혼과 비슷한 성격의 구매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까다롭다. 한번 구매하면 반품과 교환이 힘들고, 여러 동종 상품 중 하나만 사야 하며, 평생 구매할 기회가 많지도 않고, 구매 후 지속적으로 비용이 들어간다. 이처럼 중요한 선택이다 보니 많은 사람이 결혼이라는 선택에 공을 들인다.
결혼 상대를 고를 때 만족스러운 결혼생활을 위해서 꼭 염두에 두어야 할 점은 무엇일까? 배우자의 성격, 외모, 재력, 직업, 학력, 또는 체력…. 물론 절대적인 조건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상대조건이다. 다른 이와 비교했을 때 어느 정도냐 하는 것이다.
이 상대적인 조건은 바로 당신이 배우자를 누구와 비교하느냐에 달려 있다. 그런데 문제는 결혼 전 배우자 비교 대상과 결혼 후 비교 대상이 다르다는 것이다. 결혼 전에는 외모, 재력, 직업, 학력 등 조건(상품으로 간주할 때는 상품의 속성)을 기준으로 결혼 상대끼리 비교한다. 그런데 결혼 후에는 그 비교 대상이 남자의 경우에는 본인의 어머니(배우자의 시어머니), 여자의 경우에는 아버지(배우자의 장인)로 바뀐다.
결혼을 고려 중인 남성에게 묻겠다. 상황을 아주 단순하게 가정해보자. 모든 조건이 똑같은 두 여성이 있다. 이 중 한 여성의 아버지(미래 장인어른)는 퇴근 후 바로 귀가하고 주색잡기를 멀리하는 아주 가정적인 분이다. 이와 달리 다른 한 명의 아버지는 귀가 시간이 늦고 술을 사랑하며 몇 차례 외도로 미래 장모님의 속을 썩였다. 당신이라면 어떤 여성을 선택하겠는가?
자신의 이성 부모가 배우자 비교 대상
가정 학자 럭키(Luckey)는 1960년 “부모와 자식의 관계가 자식의 결혼 행복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혀냈다. 가정적인 아버지 밑에서 자란 딸과 결혼한 경우 신혼여행 직후부터 불행이 시작될 가능성이 크다. 그 이유는 아내가 자신 남편의 비교대상으로, 가정적인 친정아버지를 설정하기 때문이다. 신혼여행은 솜사탕처럼 달콤한 새로운 출발을 기념하는 시간이 아닌, 서로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고 그 실상에 실망하는 발견의 시간이 된다. 앤더슨과 설리반의 1993년 연구에 따르면, 소비자의 구매 만족도는 해당 상품에 대한 기대 수준, 상품을 사용하면서 주관적으로 지각한 품질의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 신랑이 자신의 아버지만큼 자상하게 해주지 못하는 순간부터 결혼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