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씨는 지난해 겨울 상황을 반전시킬 만한 절호의 기회를 잡았다. 금융계 지인의 소개로 특별한 전지훈련을 가기로 했다. 괌에서 3박5일 일정으로 무제한 라운드와 함께 필드레슨을 받기로 한 것이다. 훈련비용이 부담스럽긴 했지만, 앞으로 내기에서 이길 생각을 하니 감수할 만했다. 그는 비지땀을 흘리며 샷을 가다듬었다. 레슨프로와 함께 라운드를 하면서 배운 기술을 머릿속에 각인시켰다. 그동안 자신이 부족했던 점이 무엇이었는지 알 것 같았다.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습법도 배웠다.
괌에서 돌아온 김씨는 매일이다시피 골프연습장에 출근도장을 찍었다. 승리의 그날을 그리며 한겨울 강추위와 싸웠다. 드디어 D-day가 잡혔다. 날짜는 2011년 3월 중순, 골프장은 경기도 여주의 한 회원제 골프장. 멤버는 그에게 매번 수모를 안겼던 대학동문회 선후배였다. 김씨는 라운드 내내 미소가 떠나지 않았다.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쌀쌀한 날씨에도 불구하고 96타를 기록했다. 바지주머니는 지폐로 두둑해졌다. 동반자들이 놀란 눈으로 그를 쳐다봤다.
다시 시즌을 가늠하는 중요한 시기
골프장은 어느새 황금빛으로 물들었다. 골프시즌이 끝나가고 있음을 알리는 자연의 신호다. 마음은 항상 골프장에 가 있는 골퍼도 잠시 클럽을 놓을 시기다. 우리나라 겨울은 골프를 즐기기에 적절한 환경이 아니다. 마음먹은 대로 라운드를 운용하기가 쉽지 않아 즐거움이 반감된다. 더욱이 부상 위험이 벙커처럼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겨울은 골퍼에게 휴식기인 동시에 충전기다. 프로 골퍼는 지난 투어를 복기하고 다음 시즌을 준비한다. 부족한 부분은 채우고, 웨이트 트레이닝을 집중적으로 실시한다. 겨울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다가오는 시즌의 성적이 결판난다. 갑자기 성적이 좋아진 프로 골퍼는 지난 동계훈련 기간을 알차게 보냈을 가능성이 높다.
아마추어 골퍼에게도 겨울은 아주 중요한 계절이다. 칼의 날을 세울 수 있는 여유가 생기기 때문이다. 겨우내 실력을 쌓는 방법으로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골프연습장에서 꾸준히 샷을 가다듬는 게 첫 번째다. 이 기간에 좀 더 안정된 스윙을 익히기 위해 원 포인트 레슨을 받는 것도 괜찮다. 연습할 때 아무 생각 없이 클럽을 휘두르기보다 내가 자주 다녔던 골프장의 한 홀을 공략한다고 생각하며 샷을 날리는 게 좋다. 그러면 효과가 나타나고 연습이 흥미로워진다. 특히 체력 훈련은 필수다. 너무 거창하게 생각할 필요 없이 계단 오르내리기로 충분하다. 하체가 단단해지면 스윙이 안정되어 비거리가 늘어나고 정확성이 높아진다.
다음은 실전 감각을 유지하기 위해 조금은 따뜻한 남부지방이나 제주도로 ‘투어’를 떠나는 것이다. 봄이나 가을에 비해 라운드 환경은 열악한 반면 장점도 있다. 성수기와 비교해 부킹이 쉽고, 그린피가 저렴하다. 평소 동경해 마지않던 지역 명문 골프장의 잔디를 밟아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골프장 주변의 명소를 둘러보고 특산물을 맛볼 수 있는 것은 기분 좋은 덤이다.
골프는 없고 알파만 있다?
아무리 그래도 겨울의 꽃은 해외 전지훈련이다. 주머니 사정이 넉넉하고 시간의 여유가 허락하면 최선의 선택으로 만들 수 있다. 전지훈련의 장점은 샷의 구질만큼이나 많다. 하지만 장점은 언제든 단점으로 변할 수 있다. 약이라고 생각하고 먹은 것이 오히려 독이 되어 내상을 입힌다. 필리핀 클락 지역에서 수년째 국내 골퍼들을 유치하고 있는 한 관계자의 증언이다.
“골퍼 대부분은 도착하자마자 긴장부터 푼다. 이국적인 분위기에 취해 한껏 들떠 있게 마련이다. 여기저기서 몰려드는 유혹의 손길을 뿌리치기 쉽지 않다. 그 유혹에 빠지면 골프는 뒷전이다. 체류기간 내내 술과 여자에 빠져 지내는 골퍼를 여럿 봤다. 차라리 한국에서 놀지, 여긴 왜 왔는지 싶다. 해외로 나가는 이유가 골프+알파 때문이라고 하지만, 골프는 없고 알파만 있는 것 같다. 실력을 쌓으면서 색다른 골프를 즐기고 싶다면, 도시에서 떨어진 한적한 골프장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