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산업 포커스

‘新에너지 혁명’ 불붙다

석유-원자력 보완재 부상한 美 셰일가스 붐

  • 강지남 기자│layra@donga.com

‘新에너지 혁명’ 불붙다

1/3
  • ● 천연가스 5분의 1 값… 미국 경기 회복 이끌어
  • ● 철강·조선엔 청신호, 석유화학은 기회이자 위기
  • ● 에너지원 다변화-수요 중심 에너지시장 기대
  • ● 석유공사, 직접 투자-현지 개발사 인수도 추진
‘新에너지 혁명’ 불붙다

이미지 출처 : www.dnb.com

“미국 제조업 살린 비아그라.” 지난 4월 미국 경제전문지 포춘은 셰일가스(Shale Gas) 붐에 대해 이같이 표현했다. 그도 그럴 것이 셰일가스 산업에서 2010년까지 60만 개 일자리가 생겨났고, 저렴해진 가스 값 덕분에 산업 경쟁력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일례로 미 철강회사 US스틸은 셰일가스 덕분에 마이너스였던 영업이익률을 플러스로 되돌려놓았다. 셰일가스 채굴에 쓰이는 강재(鋼材)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한 데다, 제품 생산에 다량 투입되는 에너지 값이 하락한 덕분이다. 싸게 만들어 비싼 가격에 많이 파니 호재가 아닐 수 없다.

셰일가스란 셰일암에서 채굴되는 천연가스를 가리킨다. 셰일암은 지표 2~4km 아래 진흙이 쌓여 형성되는데, 그 구조가 매우 촘촘해 마치 담요와 같다. 셰일가스는 이 안에 흡착되어 있거나 빈 틈 사이에 갇혀 있다. 최근 방한한 허천 텍사스대 석유지구시스템공학부 교수는 “사기 접시처럼 단단하고 치밀한 돌에 붙어 있는 가스”라고 설명했다. 허 교수는 세계 최대 정유회사 엑손모빌에서 30년 이상 근무한 석유화학 분야 석학이다.

이런 셰일가스는 그동안 존재만 알려졌지, 너무 깊고 단단한 암석에 갇혀 있어 꺼내 쓸 순 없었다. 하지만 수평시추기술, 수압파쇄기법 등 기술의 발달로 최근 개발되기 시작했다. 석유나 석탄에 비해 비교적 청정할 뿐 아니라 매장량도 방대해 인류가 125년간 소비할 수 있다는 ‘꿈의 에너지’가 드디어 문명사에 편입된 것이다.

원유와 달리 전 세계에 고루 분포했다지만 현재 셰일가스는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생산되고 있다. 11월 초 미국 오클라호마 주 셰일가스 채굴 현장을 다녀온 국가과학기술위원회(국과위)와 지식경제부(지경부) 관계자들은 1950, 60년대 때 원유를 뽑아내던 옛 광구에서 원유와 셰일가스를 함께 뽑아내는 현장을 보고 왔다. 배영찬 국과위 정책자문관(한양대 화학공학과 교수)은 “새 광구를 개발하기도 하지만, 기존 광구를 재활용해 원유와 셰일가스를 활발하게 채굴하는 모습이 인상 깊었다”며 “유전개발 전문업체인 미국 롱펠로에너지(Longfellow Energy) 말론 미첼 회장은 ‘성공 확률이 가장 높은 곳은 기존 유전’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옛 광구의 부활



‘新에너지 혁명’ 불붙다
미국은 이렇게 생산된 셰일가스 덕을 톡톡히 보고 있다. 미국의 산업체와 가정 에서는 2011년에 2008년 대비 20% 이상의 에너지 비용 감소 효과를 보았다고 한다. 올해 초 북미 지역 천연가스 가격은 MMBtu(25만kcal의 열량을 내는 가스량)당 2달러 대로 한국이나 일본의 5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오바마 정부의 의지, 그리고 산업 전반의 높은 관심과 투자로 미국 셰일가스 생산량은 앞으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미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2010년 기준으로 천연가스 총 생산량의 23%가량인 셰일가스 비중이 2035년에는 49%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발(發) 셰일가스 붐은 전 세계로 확산 중이다. 중국과 말레이시아는 국영기업 중심으로, 일본은 종합상사 중심으로 미국 셰일가스 자산 매입에 뛰어들었다. 글로벌 석유회사들도 미국 셰일가스 자산 지분 참여 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중국, 호주 등은 자국 내에서도 셰일가스를 채굴할 계획이다. 중국은 쓰촨성 등에 19개 셰일가스 탐사 개발구를 건설해 2020년까지 총 가스 생산의 8~12%를 셰일가스에서 충당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1/3
강지남 기자│layra@donga.com
목록 닫기

‘新에너지 혁명’ 불붙다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