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HEALTH | 척추관절학 개론

신경성형술로 수술 없이 치료

다리 시리고 저린 척추관협착증

  • 이상준 제일정형외과병원 원장 www.cheilos.com

신경성형술로 수술 없이 치료

1/2
신경성형술로 수술 없이 치료

제일정형외과병원의 신경성형술 시술.

서울 관악구에 사는 주부 유모(62) 씨는 2년 전부터 허리 통증에 시달렸다. 자녀들의 권유로 허리에 좋다는 수영도 해봤지만 증세는 나아지지 않았다. 오래 걸으면 허리가 뻐근하고 양다리가 저리기까지 했다. 다리가 시리고 저린 증세는 더욱 심해져 한여름에도 양말을 신고 두꺼운 이불을 덮어야 잠들 수 있었다. 5분만 걸어도 양쪽 엉덩이부터 종아리까지 저리다 못해 터질 듯한 통증이 느껴져 집앞 슈퍼마켓을 오갈 때에도 손자가 쓰던 낡은 유모차에 의지해 걸을 정도였다.

혈액순환장애를 의심한 유 씨는 심혈관내과를 찾았지만, 혈액순환엔 이상이 없으니 정형외과에서 검사를 받아보라는 말을 들었다. 정형외과에서 진단한 결과는 척추관협착증. 허릿병은 무조건 수술해야만 하는 걸로 알던 그는 병원 측이 아직 수술할 정도는 아니라며 권한 신경성형술을 받고는 시술 당일 귀가해 2년 전 건강할 때의 일상생활로 돌아갔다.

허벅지에서 발바닥까지 통증

요즘 거리를 걷다보면 아이를 태우지 않은 유모차를 밀고 다니는 어르신을 많이 본다. 유모차에 의지해서 걷는다고 할 수 있는데, 2~3분을 가다 쉬다 반복한다. 이들 대다수가 척추관협착증으로 고생한다고 봐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는 비록 척추관협착증이 허리에 원인이 있어서 생긴 병이긴 하지만, 허리 통증보다는 허벅지, 종아리, 발목, 발바닥 등 다리 쪽에 통증이 생기는 경우가 많아 보행장애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척추관협착증은 뇌로부터 팔다리까지 신경(척수)이 지나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허리 통증을 유발하거나 다리에 여러 복합적인 신경 증상을 일으킨다. 즉, 척추 신경이 지나는 통로가 좁아져 신경으로 가는 혈액의 순환이 줄어들고 피가 통하지 않아 신경에 손상을 일으키는 전형적인 퇴행성 질환이다.



최근 4년간 환자가 2배나 증가해 한 해 100만 명 이상이 치료받을 정도로 많은 사람이 이 질환으로 고생한다. 고령화로 퇴행성 척추질환 환자가 느는 것과 함께 젊은 층에서 장시간 잘못된 자세를 지속하는 경우가 많아 퇴행성 변화가 빨리 찾아오기 때문이다. 20~30대 환자도 매년 5%씩 늘어 이젠 젊은이들도 안심할 수 없는 질환이 됐다.

척추관협착증의 주요 증상은 허리 통증과 함께 다리가 무거워지는 느낌이 드는 것인데, 주로 오랫동안 가만히 서 있거나 보통 속도로 걸을 때 나타나고, 약간 아픈 느낌과 더불어 다리에 힘이 없어진다. 이런 증상은 날이 갈수록 점차 자주 생기고 심해져 100m, 50m만 걸어도 마치 피가 제대로 통하지 않는 것처럼 다리가 저리게 된다.

증세가 심해지면 엉덩이, 허벅지, 발바닥에까지 통증이 느껴지고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신경에 손상을 주게 된다. 감각을 느끼게 하는 부위에 손상을 일으키면 발이 늘 시리거나, 어떤 경우엔 늘 뜨겁거나 따가운 증상이 나타난다. 운동신경에 손상을 일으키면 다리가 가늘어지거나 대소변 장애를 초래할 수도 있다. 또한 신경이 눌린 현상이 심해지면 허리나 엉덩이보다 다리 쪽에 통증이 생기는 경우도 많아 흔히 다릿병으로 오인되곤 한다.

이는 척추관이 좁아지는 원인에서 비롯되는데, 척추의 퇴행성 변화가 시작되면 척추 디스크의 수분 함량이 낮아져 미세한 균열이 생기고 척추뼈가 흔들리게 된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디스크의 높이가 낮아져 척추뼈 간격이 좁아지고, 척추에 작은 뼈조각들이 자라게 된다. 이로 인해 인체 각 기관으로 뻗어나가는 척추 신경의 구멍이 막히고 신경이 눌리면서 퇴행성 척추관협착증이 생긴다.

단순히 신경만 눌려 통증이 나타나는 것뿐 아니라 신경으로 가는 혈관도 막혀 신경이 붓고, 이는 다시 신경 혈관의 혈액순환장애를 일으켜 신경을 더 붓게 만들어 신경 통로를 막히게 한다. 이런 악순환은 신경에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는데, 이 경우엔 엄지발가락이나 발목이 올라가지 않아 신발이 자꾸 벗겨지거나 배변장애 등 신경마비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신경마비 증상 때문에 노인 환자 중에선 뇌졸중(중풍)이나 파킨슨병으로 오인해 척추질환과 관련 없는 치료를 받다 증세가 더 악화될 수도 있다. 따라서 증상만 보고 섣부른 판단을 하지 말고 내과, 정형외과 등 증상과 관련 있는 분야의 종합적 검진을 받아야 한다.

흔히들 척추 디스크는 수술하지 않는 병이고 척추관협착증은 수술해야 하는 병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질환에 따라 수술과 비수술로 나뉘는 건 아니다. 척추질환의 90%는 수술하지 않아도 치료가 가능하므로 수술 부담감을 가질 필요는 없다.

1/2
이상준 제일정형외과병원 원장 www.cheilos.com
목록 닫기

신경성형술로 수술 없이 치료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