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남편이 자기 부모가 이상하다는 것을 인정한다고 해서 그것이 모든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은 아니다. 앞서 남편과는 반대의 경우도 있다. 어떤 남편은 자기 부모를 싫어하지만 그 얘기를 아내로부터 듣는 것도 싫다. 남편이 성장과정에서 부모로부터 통제, 간섭, 학대를 받았다면 부모와 심리적 분리가 잘 안 된다. 머리로는 아내 말이 옳다는 것을 알아도, 가슴에서는 인정하고 싶지 않다. 누군가가 부모를 욕하면 자신을 욕하는 것 같지만, 그런 심리를 스스로는 부정한다. 그러다보니 아내가 자기 부모를 이상하다고 하면 자신을 무시한다는 자격지심이 든다.
더구나 부모가 뭐라고 할까 생각만 하면 가슴이 덜덜 떨리기에 아내가 잠자코 있어줬으면 하고 바란다. 그냥 조용히 있으면 되는데 시키는 대로 안 하고 문제를 일으키는 아내에게 짜증이 난다. 남편이 짜증을 내니 아내도 짜증이 난다. 그래서 아내가 남편을 들들 볶으면 과거에 자신을 괴롭힌 부모와 지금 자신을 괴롭히는 아내를 동일시하게 된다. 급기야 아내가 “이제 시댁에 안 가겠다”고 하면 분위기가 험악해진다. 아내는 버티고 부모는 닦달하고 머리가 터질 것 같다. 부모도 밉고 아내도 밉다.
자기 부모를 객관적으로 판단하기란 쉽지 않다. 실제로 부모가 다른 사람들과는 문제가 없는데 며느리하고만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 그런데 자식이 부모의 평소 대인관계를 파악하기란 쉽지 않다. 그냥 ‘좋은 부모님’이라고 믿는 쪽이 마음 편하다. 아내는 시부모로 인해 괴로운데 남편은 자기 부모가 멀쩡하다고 생각한다면 부부싸움을 피할 수 없다.
“결혼했으면 가족이 된 건데, 최소한 가족의 도리는 해야 하는 것 아니냐”라며, 시부모를 남으로 여기고 판단하는 아내가 이상하다는 남편도 있다. 이런 경우 아내는 시댁에 가면 시어머니와 남편으로부터 협공을 당하기에 더욱 괴롭다. 남편은 아내가 멀쩡한 부모를 이상한 사람으로 몬다고 하고, 아내는 이상한 시부모 때문에 힘들다고 하면서 계속 다투다 이혼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며느리의 ‘복수혈전’
남편이 미워지면 아내는 시댁에 가기 싫다. 시부모와 며느리는 엄밀히 따지면 남이다. 남편으로 맺어진 인연이다. 그런데 남편이 바람이 나거나, 엉뚱한 일을 벌이다 알거지가 되거나, 허구한 날 술을 마셔댄다면 시댁에 가는 것도 싫을 것이다. 행복하진 않지만 최소한 불행하진 않아야 명절 준비할 마음이 난다. 결혼생활이 불행해지면 주부로서 밥하고, 빨래하고, 청소하고, 자녀 키우는 것만도 벅차다. 남편의 부모, 형제 대하는 것까지 신경 쓸 여유가 없다.
물론 아내가 문제인 경우도 있다. 가을마다 발병하는 계절성 우울증 환자가 있다. 본인은 우울증을 인정하지 않는다. 자신이 우울증 환자가 아니라 명절 스트레스 피해자라고 생각한다. 몰상식한 시어머니 때문에 화가 나고, 잠도 안 오고, 밥도 안 넘어가서 치료 받는다고 생각한다. 시댁이 문제라서, 남편이 배려를 안 해줘서 아프다고 여기기에 힘들 때만 약을 먹고 조금 나아지면 치료를 중단한다. 재발을 막으려면 항우울제를 계속 먹어야 한다고 아무리 설명해도 소용없다. 시어머니가 바뀌지 않는 한 명절마다 증상이 또 생길 거라고 하면서 치료를 중단한다. 우울해서 명절이 스트레스로 느껴지는 것인데, 명절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스스로를 속이는 것이다. 가을만 되면 우울증이 재발한다.
정말 이기적인 며느리도 있다. 며느리를 미워해야 사는 시어머니가 있듯, 시어머니를 미워해야 사는 며느리도 있다. 어떤 며느리는 시댁에서 결혼을 반대했거나 혼수로 문제 삼은 것을 평생 잊지 않는다. 결혼할 때까지는 참았지만 결혼하고 나서 ‘복수’가 시작되는 것이다. 시댁에서 도움을 받으면 고마워하고 시댁에 더 잘해야 할 것 같다. 그런데 어떤 며느리는 신세졌다는 걸 인정하고 싶지 않다.
남에게 고마움을 느끼지 않으려면 남의 잘못을 찾아내야 한다. 그래서 남편이 생각하기에는 도무지 말도 안 되는 꼬투리를 잡는다. 시어머니의 대수롭지 않은 언행을 자신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때로는 시어머니의 말이나 행동을 부풀리기도 하고 거짓말도 덧붙인다. 남편이 그럴 리 없다고 하면 “나를 못 믿는 거냐”고 따지면서 남편을 마마보이로 몰아간다. 남편이 부모에게 잘하면 자신에게 소홀한 것이라고 받아들인다. 친정 모임에 남편이 빠지면 “우리 집을 무시하는 거냐”면서 난리를 친다. 그러면서 자신은 시댁에 못 가겠으니 명절에 가고 싶으면 남편 혼자 가라고 한다. 남편이 아이들을 데리고 가려고 하면 그것도 막는다. 시부모가 손자에게 자기에 대한 험담을 할 텐데 가정교육상 좋지 않다는 것이다. 시부모가 손자를 못 보게 하는 것으로 복수하고 싶은 심리도 작용한다.
다른 데서 보상 받자
시기심과 질투심이 강한 며느리는 형제들이 명절 비용을 분담하는 경우 똑같은 비율로 분담하면 잘사는 큰집이나 작은집보다 자기가 더 많이 부담하는 셈이라며 따진다. 자신이 큰며느리이고 형편이 나아도 이런저런 핑계를 대면서 억울하다고 한다. 음식을 나눠서 해올 때는 자기가 하는 음식이 제일 손이 많이 간다고 주장한다. 이런 며느리가 전업주부라면 직장 다니는 동서들이 늦게 오면 “뺀질댄다”고 짜증낸다. 이런 며느리가 직장여성이라면 자기는 일하느라 힘들어 죽겠다면서 전업주부인 동서가 일을 더 해야 하지 않냐고 주장한다. 자신이 전업주부이면 일하는 동서가 늦게 와서 봉투를 내밀면 액수가 적다고 투덜대고, 자신이 직장여성이면 일 좀 더했다는 이유로 내심 돈 바라는 전업주부 동서를 욕한다.
이런 며느리는 늘 자신이 차별받는다는 피해의식에 사로잡혀 있다. 시댁에서 시아주버니, 시동생, 시누이에게 집을 해주거나, 가게를 하는 데 돈을 보태주거나, 유학비용을 대주면 자기가 받은 것은 모두 잊고 난리를 친다.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