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름 오르다’ 이성복 지음/ 현대문학<br>‘강석경의 경주산책’ 강석경 지음/ 열림원
이성복의 ‘오름 오르다’는 제주도에서 활동하는 사진작가 고남수의 흑백사진 ‘오름’ 스물네 컷에 부친 에세이 묶음이다. 고남수의 사진에 박힌 오름들은 추상적 도형에 가깝고 미세 혈관처럼 뻗은 하얀 길들은 오름과 오름 사이를 “내포의 바다”로 만든다. 오름 주변에 배치된 하얀 길들은 “죽음을 넘어설 뿐만 아니라 죽음을 거느리고 빛을 향해 헤엄치거나 날아가는” 것으로 상상된다. 그것은 “평평한 몸체를 아래위로 흔들면서 헤엄쳐 가는 도다리나 가오리의 느린 몸짓”(107쪽)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하얀 길들에 의해 생긴 그 내포의 바다는 “벌레 먹은 한 장의 나뭇잎”으로 바뀌고, 나뭇잎의 돌기 많은 굴곡은 다시 “고대 왕릉에서 출토된 금관의 나뭇잎 장식”이 된다. 그리하여 “사슴 뿔처럼 날렵한 그 문양은 퇴색한 금관 주위로 흔들리는 곡옥(曲玉)의 희미한 음향을 들려주면서, 그것을 둘러싼 시커먼 오름들의 형상을 빛이 들지 않는 고분의 내부”로 바꾸어버린다. 그와 더불어 “내포의 바다 여기저기 떠 있는 섬처럼 보이던 지형지물은 오래 돌보지 않은 야산의 무덤들처럼 화면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흘러드는 석양빛을 받고 있다”(106쪽). 이처럼 오름의 둥은 자주 무덤의 둥과 겹쳐지며 관람자로 하여금 삶과 죽음을 끌어안고 있는 우주의 질서에 대해 명상하게 한다.
오름의 분화구, 비어 있는 중심
오름은 기생 화산에서 솟구쳐 나온 용암이 굳어서 생겨난 독특한 지형지물인데,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선들은 여체의 관능성과 겹쳐진다. 오름의 능선들은 움푹 팬 여인의 등허리를 떠올리게 한다. 더 나아가 굽이진 능선은 한껏 가랑이를 벌린 여인으로, 또는 “퍼질러 누워 붕긋한 배와 처진 가슴을 드러내놓고 잠자는 중년 여인”(52쪽)으로 그 상상을 확장해간다. 이때 오름의 곡선들은 몸의 고단함과 겹쳐져서 “저도 몰래 살덩어리가 만드는 곡선, 아무도 달랠 수 없고 저도 어쩌지 못하는 하염없는 곡선”(53쪽)으로 뻗어나간다. 오름은 차안과 피안의 경계에 걸쳐 있는 단순하며 하염없는 곡선을 지닌 여성의 몸이다. 결핍의 몸, 상처 많은 몸. 그래서 오름의 중심은 비어 있다. “스스로 오름의 정상이기를 포기하고 자신의 내면 속으로 침잠하는 오름의 분화구는 비어 있는 중심이기에 그것은 자기 내부에 또 다른 비어 있는 중심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86쪽). 여성이 생명을 잉태하기 위해 비어 있는 자궁을 갖고 있듯이 오름도 또 다른 비어 있는 중심을 잉태하는 비어 있는 중심을 끌어안고 있는 것이다.
사진이 드러내 보이는 오름의 이미지들은 언어 이전의 현전이다. 검은 빛으로 뒤덮인 것은 오름이고, 화면 상단을 지나가는 곡선은 오름의 능선을 보여준다. 그 위에 떠 있는 잿빛은 하늘이다. 화면 거의 전체를 뒤덮은 검은 빛의 표면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날카로운 못 같은 물건에 긁힌 것처럼 희끗희끗한 선들이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다. 가는 선들의 현존은 너무 희미해서 잘 보이지도 않는다. 그것은 바람에 불려가는 풀이거나 작은 나뭇가지들일지도 모른다. 놀라운 것은 시인이 2차원의 프레임 속에 갇힌 풍경, 검게 인화된 오름의 사진에서 “검은 무게와 검은 부피에서 벗어나 바람에 불리는 풀들의 아우성과 간혹 재빨리 지나가는 새들의 외마디 울음소리”(17쪽)를 들을 때다.
고분은 영원한 회귀의 흔적
‘강석경의 경주산책’은 숲과 능과 오솔길에 대한 걷기의 기록이자, 한 장소에 대한 지극한 사랑의 기록이다. 그래서 글에는 햇빛, 바람, 나무들을 통해 느끼는 자연의 순환에 대한 단상들이 불연속적으로 끼여든다. 기저에 깔린 정서는 생멸하는 것들의 덧없음, 상실과 허무의 느낌들이다. 작가는 “나는 어디로부터 와서 어디로 가고 있는 것일까”(35쪽) 하는 소박한 의문을 품고 산책에 나서는데, 그 사유는 비약과 상상을 낳는다. 만삭의 임산부와 같이 고도(古都)의 도심에 솟아 있는 둥근 능들은 1000년 이상의 세월이 지나면서 자연의 일부로 귀속한다. 작가는 그 고분들 앞에서 “늘 말발굽 소리와 초원에서 불어오는 바람소리”의 환청을 듣고 자신에게 “중앙아시아 초원의 유목민 피가 섞여 있다고” 상상하며 가슴이 뛴다(83쪽). 이처럼 작가의 사유와 상상은 시간과 현실과 논리를 뛰어넘어 근원으로 영겁 회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