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런데 더욱 기가 막힌 것은 이른바 ‘민주’와 ‘자유’와 ‘진보’를 외치는 지식인들마저 이런 상황에 관해서는 입을 다물고 있다는 사실이다. 아니 입을 다물고만 있는 게 아니라 나를 욕하고들 있다. 그들에게는 ‘성에 대한 얘기를 꺼내는 것’ 자체가 타락이나 퇴폐나 범죄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지배 엘리트들이 그런 사고방식을 갖고 있는 형편이니 우리나라에서 합리적이고 민주적인 ‘문화발전’을 기대하는 것은 진정 요원한 일이다.
나는 지금까지 60년을 살아오면서 한국이 ‘문화적 후진국’이라는 사실을 뼈저리게 절감했다. 내가 대학선생이라서 다른 대학교수들을 접할 기회가 많은데, 최고의 두뇌를 가진 대학교수 엘리트 집단이라 해도 성 문제에 대해서만큼은 무식하고 비합리적이고 봉건적인 사고방식의 테두리를 못 벗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온몸으로 체감했다.
서구의 지식사회나 이웃나라 일본의 지식사회에 견주어볼 때 한국의 지식사회는 18세기 계몽주의 시대에조차 다다르지 못한 상태에 있다. 아니 성 문제뿐만 아니다. 다른 제반 문제에 대해서도 우리나라 지식사회는 조선조 시대의 수구적 봉건윤리에 그대로 머물러 있다. 이렇게 참담한 형편이니, 우리나라의 성범죄 발생률이 우리가 ‘변태 왕국’이라고 비웃는 일본의 열 배나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나는 ‘성에 대한 표현의 자유’가 한국의 문화적 발전에 지렛대 역할을 할 것이라고 굳게 확신하고 있다. 그래서 내가 죽기 전까지라도 그 방면의 발전에 좀 더 일조하고자 하는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내가 겪은 일들로 봐서는 내가 죽기 전에 한국의 문화 민주화가 이뤄질 공산이 전혀 없다. 그래서 나는 지금 몹시 절망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내가 죽기 전에 해놓고 싶은 일은, 앞서 말한 바 있는 ‘놀이적 섹스(유희적 섹스)’의 이론을 정립해 놓는 일이다. 지금까지의 성 이론은 역시 프로이트에 의존해 있는데, 프로이트의 성 이론은 100여 년 전에 확립된 것이라서 21세기가 된 지금에는 별로 실용성이 없다. 특히 ‘변태적 섹스’의 이론이 더 그런데, 나는 변태적 섹스를 인정하고 싶지 않고 그것을 ‘특이한 성 취향’이나 ‘개성적 성 취향’으로 본다.
다른 걸 예로 들 것도 없이, ‘동성애’ 문제만 봐도 그렇다. 이젠 동성애를 도착성욕이나 변태성욕의 결과로 인해 생겨난 것으로 보지 않고 있으며 성전환자(트랜스젠더)가 떳떳하게 기를 펴고 살 수 있고, 그들을 ‘성적 소수자’로 보아 사회적으로 보호하려는 분위기로 변해가고 있다. 또한 복장도착자(transvestite)도 마찬가지여서, 그들의 인권을 존중하려는 사회 분위기가 형성되고, 그들이 어엿한 직업인으로 사회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그밖에 SM(sadomasochism) 섹스가 성적 유희로 인식돼 세계 곳곳에 ‘SM 클럽’이 늘고 있고, 페티시즘 역시 ‘페티시(fetish) 카페’가 생겨날 정도로 보편화하고 있다. 최근에 송혜교씨가 여주인공으로 나온 ‘페티쉬’라는 영화가 국내에서 상영된 것만 보더라도 이젠 ‘변태성욕’이라는 말 자체가 사라져가고 있는 것이다. 나는 그런 여러 가지 특이한 성 취향을 한데 섞은 ‘다형도착(多形倒錯)’이 앞으로의 섹스 경향을 주도해나갈 것이라고 본다. 그래서 그런 ‘미래적 섹스’를 이론으로 정립해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