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88년 나의 연세대 석사학위 수여식에 참석한 아버지 윤병철과 어머니 김숙.
그러나 이 모든 것도 우리들의 아버지, 그리고 그분들의 세대가 살아온 삶과 비교해보면 별것 아닌 것처럼 느껴진다. 요즘 우리의 삶이 희로애락이 짧게 교차되는 ‘시트콤’ 같다면 아버지 세대의 삶은 장강처럼 유유히 흘러온 ‘대하드라마’였기 때문이다.
아버지의 이름은 윤병철(尹炳哲)이다. 본관은 파평(坡平)이고 1921년 충남 당진에서 출생하였다. 할아버지는 몰락한 선비였다. 어머니의 이름은 김숙(金淑)이고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1920년생이다. 우리 형제는 7남매인데 내 위로 형이 세 명, 아래로 여동생이 세 명 있다.
나는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에 태어나 전후의 폐허와 가난, 그리고 무질서를 모두 체험하였고 산업화 과정을 거쳐 최첨단 디지털 시대의 혜택까지 누리고 있다. 물론 나의 부모는 혹독했던 식민지 시대와 끊임없이 생사의 갈림길을 오갔던 전쟁을 뚫고 나온 분들이다.
나이 숫자만큼 회초리 들어
인간은 인간의 영향을 받으며 살아가게 되어 있다. 특히 부모는 유전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자식에게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몇 년 전 나는 내가 살아온 이야기를 책으로 쓰면서 내 인생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사람이 바로 어머니라고 쓴 적이 있다.
아버지와 어머니는 외모나 성격, 생활태도 면에서 크게 달랐다. 어머니는 체구가 크고 성격이 활달해서 사교적이며 유머감각이 있는 분이었다. 반면 아버지는 체구가 아담하고 성격이 깐깐하며 완고한 데다 사람 사귀는 것과는 거리가 먼 분이었다.
평생 봉급생활자로 살아오면서 7남매를 키워왔으니 가정형편은 그리 넉넉하지 못했다. 게다가 교조적이고 엄격한 성격 때문에 우리 형제들은 아버지 눈치를 많이 보며 살지 않을 수 없었다.
형제들 중 누구 한 사람이 잘못하기라도 하면 모두가 아버지 앞에서 종아리를 걷고 나이 숫자만큼 회초리를 맞곤 했다. 형제들에게 연대책임을 물은 것이다. 이 정도로 엄한 아버지였기 때문에 다정다감하게 대화할 일은 거의 없었다.
이런 집안 분위기에서도 우리 남매들이 신나고 재미있게 살아갈 수 있었던 것은 전적으로 어머니 덕분이었다. 어머니의 유머와 재치, 칭찬과 위로가 집안 분위기를 훈훈하게 만들곤 하였다. 어머니가 우리들에게 늘 하시던 말씀 중에 이런 것이 있다.
“너희들이 어렸을 적에 웬 도인이 우리집을 찾아왔기에 쌀을 퍼주었더니 그 도인 말씀이 ‘앞으로 자식들 중 한 명은 반드시 왕이 될 테니 잘 기르라’는 것이었다. 그러니 나는 힘들어도 자식들이 잘될 거라는 희망이 있기 때문에 다 참을 수 있어. 그런데 너희들 중에 누가 왕이 될까?”
나는 이 이야기를 수백 번도 넘게 들으며 자랐다. 어머니의 이 말씀은 우리 형제들에게는 희망의 메시지이기도 했다. ‘엄부자모(嚴父慈母)’라는 말 그대로 아버지한테 야단맞고 어머니로부터 위안받으면서 자라온 것이다. 어머니는 10년 전 75세를 일기로 돌아가셨고 그 때 나는 울면서 어머니에 대한 글을 쓴 적이 있다.
지금도 무섭고 어려운 아버지
우리 형제들은 지금도 아버지를 무서워한다. 어려워한다고도 할 수 있다. 다소간 심리적 거리감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주변에서는 내가 어머니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나는 조금씩 나이가 들면서 아버지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버릇이 생겼다. 특히 어머니가 돌아가신 뒤 혼자 사시는 아버지를 볼 때마다 마치 대하드라마의 비극적 주인공을 보는 것 같은 착각에 빠지곤 한다.
아버지는 시골에서 농업학교를 마친 후 시험을 치러 군청 공무원이 되었다. 선비정신을 강조해온 할아버지의 영향 때문이었다. 관존민비 사상이 여전히 남아 있고 아직 유교사상이 의식을 지배하던 시절이라 박봉의 말단 공무원이었음에도 아버지는 공직에 큰 자부심을 갖고 있었다. 그러던 중에 6·25 전쟁이 터지면서 집안을 발칵 뒤집어놓는 일이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