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곤지곤지, 잼잼, 도리도리만 잘해도 건강하게 산다

기공학 박사 1호 김기갑 교수의 氣 건강론

곤지곤지, 잼잼, 도리도리만 잘해도 건강하게 산다

1/6
  • 기공이라면 ‘도사님’부터 연상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그러나 인천 재능대학 김기갑 교수는 이런 선입견을 버리고 수련을 거듭하면 누구든지 기공의 체화(體化)가 가능하다고 역설하는 기 전문가다. ‘기공 전도사’로 나선 그에게서 마음만큼 몸이 따라주지 않는 중년을 위한 기공 건강법을 들어보았다.
”손가락을 다쳐 피가 흐르면 어떻게 합니까? 상처에 약을 바르고 정성스레 치료하죠? 그런데 기(氣)가 제대로 흐르지 않는다든가 손상을 입는 것에 대해선 왜 그리도 무심합니까?”

‘국내 기공학(氣功學) 박사 1호’로 불리는 인천 재능대학 김기갑(41) 교수는 기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불쑥 이렇게 물었다. 그의 질문에서 피와 마찬가지로 우리 몸에 흐르는 중요한 에너지인 기에 대해 일반의 인식이 너무도 부족하다는 안타까움과 섭섭함이 함께 묻어났다.

힘이 없을 때 우리는 흔히 ‘기운(氣運)이 없다’고 한다. 또 갑자기 쓰러지는 경우를 기절(氣絶)한다고 표현한다. ‘기(氣)가 막힌다’는 표현도 자주 들을 수 있고, “젊은 사람이 왜 그리 기력(氣力)이 없냐?”는 핀잔 아닌 핀잔을 듣기도 한다. 우울하고 언짢으면 기분(氣分)이 좋지 않다고 이야기하고, 어떤 환경이나 자리에 감도는 느낌을 분위기(雰圍氣)라고 칭한다.

천기(天氣), 용기(勇氣), 객기(客氣), 광기(狂氣), 열기(熱氣), 독기(毒氣), 호연지기(浩然之氣), 기상(氣像), 기질(氣質), 기품(氣品), 기량(氣量)…. 우리 생활 속엔 이렇게 기(氣)가 들어가는 낱말이나 표현이 숱하게 많다.

김교수는 이것들을 하나하나 열거하며 “이처럼 기는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가운데 생활 곳곳에 이미 ‘존재하는 것’으로 자리잡아왔는데, 사람들은 눈에 보이는 것에만 관심을 두다보니 그 존재를 부인하고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다”고 강조했다. 기를 다스리는 것이야말로 건강을 보존하고 증진하는 중요한 과제라는 게 그의 지론이다.



기공은 ‘기’에 ‘공’을 들이는 행위

국어사전에서는 기를 ‘활동의 근원이 되는 힘’(두산동아 국어사전)으로 정의한다. 그러나 물리학, 고대철학, 동양의학에서 사용하는 기의 개념은 제각기 차이가 있다. 기공에선 대체로 ‘신체에 흐르면서 운동계, 내장계, 호르몬계, 정신계 등의 활동에 영향을 주는 생명 에너지’를 기(氣)라고 부른다.

그렇다면 ‘공(功)’은 무엇일까. 기공에서 공이란 시간을 들여 한 가지 일에 정성을 쏟는 행위, 거듭 훈련해 터득한 기능을 일컫는다. 쉽게 말하면 우리 몸에 흐르는 생명 에너지인 ‘기’에 ‘공’을 들이는 모든 행위를 ‘기공’이라 정의할 수 있다. 중국 무술을 흔히 ‘쿵후(功夫)’라고 하는데 여기엔 ‘공을 터득하는 것’이란 뜻이 담겨 있다.

“피가 머리로 쏠리는 등 그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면 바로잡아주어야 하듯, 기도 이치에 맞지 않게 한 곳에 쏠려 있든가 막혀 있으면 바로잡아줘야 합니다. 이것이 기공입니다.”

김교수는 이러한 기공의 필요성을, 상허하실(上虛下實)의 체형을 예로 들어 설명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인간의 이상적 체형을 ‘상허하실’이라 적고 있다. ‘위는 비워두고 아래는 실하게 한다’는 뜻의 이 말은 ‘몸의 상체는 비워두고 하체는 견고하게 다져놓아야 한다’는 가르침이다. 즉 기의 70% 가량은 하체로 내려와 있고 30%는 상체에 머물러 있는 피라미드형이 돼야 중심 잡힌 몸이 된다는 말이다.

그러나 김교수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성인의 과반수 이상이 이와는 반대로 상실하허(上實下虛)의 체형을 갖고 있다. 운동량이 절대 부족한 현대인의 경우 전반적으로 하체는 기가 부실한 데 비해 상체에는 과도한 업무와 스트레스 등으로 기가 몰려 있어, 사람들이 대부분 ‘거꾸로 선 피라미드형’의 체내 기 분포도를 갖고 있다고 김교수는 그림을 그려가며 설명했다.

“흔히 ‘상기(上氣)됐다’는 표현을 쓰는데 이 역시 ‘기가 위로 몰려있다’는 뜻입니다. 어떤 경우에 상기됐다고 말합니까? 흥분하여 얼굴이 화끈 달아올라 붉어졌을 때 상기된 상태라고 하지 않습니까? 이는 피가 몰린 게 아니라 기가 올라왔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기를 아래로 내려주었을 때 기 흐름이 정상으로 돌아오면서 머리가 맑아지고 온 몸이 개운해집니다. 현대인들의 경우 대부분 자신은 의식하지 못하고 있지만, 이렇게 상기된 상태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상기된 상태를 푸는 것은 경직된 근육질 운동으론 불가능하며 자칫 더 크게 다치는 경우마저 있습니다. 자기 몸의 이치에 맞는 유연한 운동인 기공을 해줘야 근원적인 치유가 가능합니다.”

기공에는 체조, 호흡, 명상 등 여러가지 수련법이 있다. 김교수는 ‘기에 공을 들이는’ 대중적인 방법으로 이른바 ‘스포츠 기공’을 주창한 사람이다. 그는 “기공이란 세상과 담을 쌓고 산속에 들어가 수염 기르면서 도 닦는 게 아니다”고 누누이 강조했다. ‘생활체육’이란 것이다.

1/6
곽대중 < 자유기고가 >
목록 닫기

곤지곤지, 잼잼, 도리도리만 잘해도 건강하게 산다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