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CC의 알마티 지역본부 내부. 창구는 맞춤 상담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11월5일 오후 카자흐스탄의 경제 수도 알마티 시내에는 때 아닌 가을비가 내렸다. 쌀쌀한 겨울 날씨를 예상하고 잔뜩 움츠러들었던 기자의 마음이 조금이나마 풀어졌다. 중심가의 센터크레디트은행(BCC·Bank Center Credit) 알마티 지역본부에서 만난 우라늄 생산업체 켄 달라.KZ사 재무책임자 아브잘 아키메자노프씨 얘기를 듣고 있자니 문득 한국인이라는 자부심도 생겨났다.
고객 예금 몰리는 BCC
아브잘씨 얘기대로라면 이곳에서 국민은행은 선진 은행의 상징이나 마찬가지인 셈이다. 외환위기 직후 우리나라 은행들이 선진 일류 은행의 자본을 유치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섰던 이유를 이곳에서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아브잘씨는 “한국이 원자력발전소를 가동하는 만큼 BCC를 통해 한국 진출을 모색하고 싶다”는 뜻도 밝혔다. 켄 달라.KZ사는 BCC의 주요 기업 고객 700여 곳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업체로, 우라늄을 생산해 미국 프랑스 러시아 등으로 수출하고 있다.
알마티 지역본부 말리크 누그마노프 본부장은 “국민은행의 투자 이후 개인 및 법인 고객의 예금이 늘고 있다”고 자랑했다. 평생 모은 자산을 떼이지 않기 위해 모두 우량은행으로 몰렸던 외환위기 직후 우리나라 상황을 상기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대목이다. 그는 또 “카자흐스탄에 진출한 삼성건설, 우림건설 등도 BCC와 거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역본부는 우리나라 은행의 대형 지점에 해당한다. 지역본부는 산하에 소규모 지점을 거느리고 있다. BCC의 지역본부와 지점은 각각 20개, 140개다. 알마티 지역본부의 산하 지점은 42개. BCC 내에선 가장 큰 지역본부다. 누그마노프 본부장은 “산하 지점까지 포함해 950명의 직원이 법인 고객 1만명, 카드 고객 20만명을 관리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알마티 지역본부의 부실은 중소기업 여신보다는 가계 여신에서 발생하고 있다. 전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이 대출금을 제대로 상환하지 못한 데 따라 생긴 현상이다. 누그마노프 본부장은 “BCC 규정상 모든 여신은 담보를 설정하기 때문에 이를 처분하면 은행이 부담하는 손실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은행에 대한 현실적인 기대도 솔직히 털어놓았다. 그는 “국민은행의 투자 이전에는 BCC가 중급 은행이어서 직원들의 임금 수준이 다른 은행보다 낮더라도 별다른 불만이 없었지만 이제는 상당한 기대를 걸고 있다”고 조심스럽게 말했다.
카자흐스탄에서 은행의 안전성이 갑자기 부각된 것은 말할 것도 없이 글로벌 금융위기 때문이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금융위기 이후 실질적으로 지급 불능 상태에 빠진 은행에 유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BTA은행(2008년 말 기준 자산 1위)과 알리안스은행(자산 5위)을 국유화하고, KKB(자산 2위)와 할리크은행(자산 3위)에 대해서는 각각 공적자금 3억달러, 5억달러를 투입했다.
국민은행이 파견한 BCC 최동수 상임이사는 “지난해 8월 말 국민은행이 BCC 지분을 인수한 직후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져 당황스럽기도 했지만 지금은 BCC의 유동성과 건전성이 부각되면서 위기를 기회로 삼고 있다”고 설명했다. BCC는 올 6월 말 기준 알리안스은행을 제치고 자산 기준 5위 은행으로 올라섰다.
카자흐스탄의 메이저 은행이 어려움에 빠진 이유는 무리한 외형 성장 정책에있었다. 은행은 원래 고객이 예금한 돈을 재원으로 대출을 해주고 그에 따른 예대 마진을 수익원으로 삼는다. 그러나 카자흐스탄 은행들은 예금보다는 외국 은행에서 빌려온 외채를 재원으로 건설업체 등에 무차별 대출을 해줬다.
카자흐스탄 은행의 예대비율만 봐도 이들 은행의 무리한 확장 정책을 확인할 수 있다. 2008년 기준 카자흐스탄 상위 5개 은행의 예대비율은 평균 250%나 된다. 반면 BCC는 150.5%여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자금 조달 구조를 갖고 있다. ‘예금 범위 내 대출’을 원칙으로 하는 선진 은행에서는 100% 이하가 일반적이다.
카자흐스탄 은행의 예대비율은 한국의 일부 은행을 떠올리게 한다. 한국에서도 일부 은행이 은행채를 발행하거나 외채를 빌려 조달한 자금으로 대출 경쟁을 벌이다 금융위기 이후 한때 유동성 위기에 빠지기도 했다. 결국 우리 정부도 일부 은행의 외채에 대해 지급 보증을 해주거나 자본확충펀드를 통해 자본을 수혈해줌으로써 금융 불안을 잠재울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