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영국정치의 저력 보여준 6일간의 총선

영국정치의 저력 보여준 6일간의 총선

1/4
  • 아이슬란드 화산재가 유럽 상공에서 물러날 즈음, 영국은 선거 열기로 뜨겁게 달아올랐다. 3년 전 선거를 치르지 않고 총리직을 물려받았던 고든 브라운과 집안·학벌·인물 어느 하나 흠잡을 데 없는 보수당 당수 데이비드 캐머런, 식상한 양자택일 구도에 새 바람을 몰고 온 닉 클렉 자유민주당 당수가 경합을 벌인 선거는,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며 흥미진진하게 진행됐다. 한 달여 선거과정과 깔끔한 마무리는 영국의 오랜 의회주의 전통을 실감케 했다.
영국정치의 저력 보여준 6일간의 총선

영국 총리 겸 노동당 당수였던 고든 브라운. 최근 총선 패배 책임을 지고 공직에서 사퇴했다.

별다른 뉴스거리가 없어서 늘 심심한 영국 언론이 오랜만에 부산해졌다. 4월 내내 각종 사건 사고가 끊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우선 아이슬란드 화산 폭발 사건의 여파가 제법 심각했다. 화산재가 전 유럽 상공을 뒤덮는 바람에 유럽을 오가는 항공기 운항이 금지된 4월 셋째 주가 하필 영국의 부활절 휴가 막바지였기 때문이다. 아이슬란드 화산이 폭발했을 때는 적잖은 영국인이 스페인이나 북아프리카 등 남쪽으로 휴가 여행을 떠난 상태였다. 그리고 이들이 막 집으로 돌아올 무렵인 4월15일 목요일부터 유럽의 공항들이 일제히 폐쇄된 것이다. 그 결과로 부활절 휴가와 방학이 끝난 후에도 집으로 돌아오지 못한 직장인과 학생들이 속출했다. 특히 전통적으로 영국인들이 좋아하는 휴양지 스페인에 발이 묶인 사람이 많았다. 영국 정부는 군함 3척을 스페인으로 급파해 스페인에 모여 있는 아프간 파병 영국군과 민간인들을 대거 런던으로 실어오는 사상 초유의 ‘작전’을 펼쳤다.

영국의 뉴스, 특히 BBC 뉴스는 테러나 사망사고 같은 사건이 아니면 대체로 유쾌하게 보도하는 경향이 있다. 뉴스를 심각하게 보도하기보다 영국인 특유의 블랙유머를 섞어 보도하는 것이다. 그래서 수만 명의 영국인이 갈 곳을 잃고 해외의 공항과 거리를 떠돌고 있는 와중에도 BBC 뉴스 화면에서는 소풍이라도 다녀온 것처럼, 군함 뱃머리에 나란히 앉아 카메라를 향해 손을 흔드는 군인과 민간인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비행기 대신 렌터카와 배와 기차를 타고 3박4일 동안 영국으로 달려온 여행객은 “아이고, 영국인이 이 정도 어려움이야 극복 못하겠습니까?”하고 함박웃음을 터뜨리기도 했다.

사실 이 사상 초유의 항공 대란은 우리 집에도 약간의, 아니 적잖은 파장을 남기고 갔다. 영국에서 열리는 학회에 출장 왔다가 글래스고에 들른 남편이 그만 일주일이나 발이 묶여버린 것이다. 어쩔 수 없이 집에 머물러 있는 동안 남편은 한 시간에 한 번씩 공항 상황을 체크하며 초조해서 어쩔 줄 몰라 했지만, 아이들은 “화산이 한 달쯤 계속 터졌으면 좋겠다”며 그 상황을 즐겼다. 딸 희원이를 유치원에 데려다주는 남편을 본 희원이 친구 엄마들은 “어머, 희원이 아빠가 화산재 때문에 한국에 못 가고 희원이네 가족이랑 같이 있더군” “나도 희원이 아빠 봤어. 요즘 희원이 엄마가 그래서 좀 편하겠네” 하면서 유치원 문 앞에서 신나게 이야기꽃을 피웠다. 세계 어디나 아줌마들의 화젯거리는 비슷하다는 생각이 든다.

“바꿀 때가 됐다”

영국정치의 저력 보여준 6일간의 총선

영국의 신임 총리가 된 데이비드 캐머런 보수당 당수.

우여곡절 끝에 남편은 일주일 뒤 비행기표를 간신히 구해 한국으로 돌아가고, 독일과 스페인, 방콕과 모로코 휴양지에 발이 묶여 있던 영국인들도 하나 둘 돌아오면서 사상 초유의 항공 대란은 잠잠해졌다.



항공 대란이 잠잠해지기도 전, 영국은 선거 열기에 들썩이기 시작했다. 4월6일 고든 브라운 총리는 총리공관인 다우닝가 10번지에 모여든 노동당 내각 멤버들 앞에서, 한 달 후인 5월6일에 영국 총리선거를 실시하겠다고 선언했다. 진짜 선거운동 기간은 한 달에 불과했지만 이미 올해 초부터 영국은 총리선거 무드에 휩싸여 있었다. 그리고 BBC를 비롯한 대부분의 영국 언론이 주저 없이 차기 총리로 데이비드 캐머런 보수당 당수를 지목했다.

내각제인 영국의 총리 선출 방식은 매우 간단하다. 총 650석인 하원의원(MP·Member of Parliament) 선거를 실시해서, 하원의 과반수인 326석 이상을 차지한 정당이 집권 내각을 구성한다. 그리고 승리한 당의 당수가 총리가 되는 것이다. 우리 식으로 말하자면 대통령선거와 국회의원선거를 한 번에 해치우는 셈이다. 그리고 내각의 모든 멤버는 하원의원으로 구성된다. 자연히 권력은 내각에 집중된다. 재미있게도 집권당에 내분이 일어나 당수가 바뀌면 선거 없이 총리가 바뀔 수도 있다. 현 고든 브라운 총리가 바로 이런 경우다. 1997년 노동당의 대선 승리로 집권한 토니 블레어 총리 겸 노동당수가 2007년 노동당의 정책 실패에 책임을 지고 물러나면서, 정권의 2인자였던 고든 브라운 재무장관(Chancellor)이 당수 경선에서 승리해 총리 자리에 올랐다.

본격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되기 전, 아니 올해 초부터 영국의 여론은 ‘올해 안에 총리가 바뀔 것’이라는 쪽으로 움직이고 있었다. 나는 매일 저녁 10시부터 방영되는 BBC 뉴스를 빠짐없이 보는데, 뉴스를 보고 있으면 현 총리가 고든 브라운인지, 데이비드 캐머런인지 헛갈릴 정도로 영국 언론이 입을 모아 캐머런과 보수당을 지지했다. 여론이 보수당 쪽으로 움직인 이유는 두 가지다. 하나는 ‘바꿀 때’가 됐다는 점이다. 300년 이상 양당내각제를 유지해온 영국인의 균형감각은 한 정당이 오래 집권하면 본능적으로 다른 쪽 정당으로 기운다. 노동당은 1997년 이래 13년째 집권하고 있는 상황이다. 영국 유권자들의 ‘내각제 DNA’가 ‘이젠 바꿀 때’라는 여론으로 수렴된 건 어쩌면 당연한 이치다.

1/4
전원경│작가 winniejeon@hotmail.com│
목록 닫기

영국정치의 저력 보여준 6일간의 총선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