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7월호

신임 주한 미국대사 내정자 성 김

  • 글 / 황일도 기자 shamora@donga.com

    입력2011-06-23 13:39: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신임 주한 미국대사 내정자 성 김
    한국말을 잘한다. 전문용어만 영어로 바꿔 쓸 뿐 정책토론 수준의 대화에서도 막힘이 없다. 그러나 공개적인 자리에서는 영어만 사용한다. 그의 오랜 지인은 “민족적 정체성을 강조하는 게 하등 도움 될 것 없는 워싱턴 관료사회의 분위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미(渡美) 35년 만에 첫 한국계 주한 미국대사로 내정된 성 김(51·한국명 김성용) 국무부 대북특사 이야기다.

    1960년생인 김 내정자는 중학교 1학년 때 부친을 따라 미국으로 건너갔고, 로스쿨을 졸업한 뒤 검사로 공직생활을 시작했다. 외교관이 된 후에는 2003년부터 주한 미대사관 정치·군사담당 1등서기관으로 근무하며 한반도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뤘다. 그가 서울에 머물렀던 3년은 ‘궁합이 맞지 않았던’ 노무현 정부와 부시 행정부 사이의 힘겨루기가 정점으로 치닫던 시기. 주한미군기지 이전이나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같은 굵직한 동맹조정 이슈의 최전선에 그가 있었다.

    결국 이들 사안이 상당 부분 미국 측 의사대로 결론이 났음을 감안하면 ‘워싱턴의 눈으로 본 능력’은 이 무렵 이미 인정받은 셈이다. 당초 다른 국가로의 부임을 예상하고 있던 그가 돌연 국무부 본부 발령을 받고 한국과장으로 영전한 것도 그래서였을 것이다. 그는 2006년 서울을 떠나면서 기자에게 “(가장 민감한 시기에 가장 민감한 업무를 담당했던 것은) 참으로 공교로운 일”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신임 대사 임명을 앞두고 청와대와 안보라인 일각에는 “백악관에 직접 선이 닿는 중량급 인사가 필요하다”는 견해가 적지 않았다. 비공식 경로로 이 같은 뜻이 워싱턴에 전달됐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그러나 김 내정자 지명 소식이 전해지면서 그러한 기류는 싹 가셨다는 후문. 첫 한국계 미국대사를 바라보는 국내 여론도 환영 일색에 가깝다. 물론 그는 미국의 국익을 위해 일하는 전문 관료이고, 지금까지의 업무방식이 ‘본분’에서 한 치도 벗어난 적 없음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을 것이다. 언제나 ‘프로페셔널다운 태도’를 견지하는 그의 성격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He & She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