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월2일 열린우리당 전당대회에서 새로 선출된 당의장 문희상 의원(가운데)과 상임중앙위원들이 두 손을 들고 대의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왼쪽부터 한명숙, 유시민, 장영달, 염동연 의원.
열린우리당의 새 지도부가 구성되자 정치권 안팎에서는 전대 결과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쏟아져 나왔다. ‘친노 직계의 부상’ ‘정동영(DY) 통일부 장관의 승리’ ‘김근태(GT) 보건복지부 장관의 저력확인’ ‘유시민 당선에 따른 대권구도의 변화’….
盧, 염동연에게 “의장대행 되셨네요”
무엇보다 이번 전대에서 드러난 가장 큰 특징은 피아(彼我)가 명확해졌다는 사실이다. 또한 계파간 분화현상이 더욱 뚜렷해졌다.
친노직계의 부상
노무현 대통령 초대 비서실장 출신인 문희상 의장과 노 대통령의 측근인 염동연 의원이 나란히 1~2위를 차지한 것은 친노직계 그룹이 당의 중심세력으로 전면에 부상했다고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친노 그룹의 부상은 전대 이전에 어느 정도 예상된 결과. 친노 그룹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온 DY계가 문희상 의장과 염동연 의원을 적극 지원했기 때문이다. 또한 DY와 GT가 입각하면서 빚어진 힘의 공백도 친노 그룹의 부상에 일정한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이번 선거결과를 두고 ‘친DY계의 승리’보다 ‘친노직계의 부상’이라는 해석에 더 무게가 실리는 것은 DY계의 지원 외에 또 다른 어떤 힘이 이번 전대과정에 작용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예선 때부터 약체로 분류된 염 의원은 각 후보 캠프의 여론조사에서도 크게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지만, 전대 직전 문희상 의장과 공조하면서 예상을 깨고 2위로 급부상했다.
‘대세론’을 바탕으로 타 후보진영의 ‘러브콜’이 쇄도했던 문희상 의장이 굳이 염동연 의원과의 공조를 선택한 배경은 무엇일까.
일각에서는 ‘DY의 구상 때문이 아니겠냐’는 답을 제시하고 있지만, 그건 ‘친DY계의 승리’로 해석하는 당 관계자들의 이야기다.
이와 관련해 일부 당 관계자들은 최근 열린우리당 의원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노 대통령의 발언을 주목하고 있다. 4월6일 청와대에서 열린 노 대통령과 열린우리당 새 지도부 상견례 자리에서 노 대통령은 염동연 의원에게 “의장 대행이 되셨네요”라는 의미심장한 덕담을 건넸다고 한다.
지금까지 임기를 제대로 채운 여당 의장이 드물다는 점에서 노 대통령의 덕담은 어찌 보면 가벼운 농담으로 넘길 수도 있다. 그러나 오는 2007년 대선까지 향후 정치일정을 고려하면 노 대통령의 발언은 복잡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문희상 신임 의장의 임기는 오는 2007년으로 예정된 대선후보 당내 경선까지지만, 오는 10월 국회의원 재·보선이나 내년 6월 지방선거가 끝난 뒤 그 결과에 따라 염동연 의원이 의장직을 승계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노 대통령도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다는 의미다.
임기가 만 3년 가까이 남은 노 대통령으로서는 잠재적인 대권 후보로 분류되는 김두관 전 행자부 장관이나 유시민 의원이 미리 의장직을 승계해 당을 관리하면서 대선 정국이 앞당겨지는 상황을 피하고 싶었을지 모른다. 이 때문에 노 대통령도 친노직계가 1~2위를 나눠갖는 구도를 가장 선호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친노직계 그룹에 정권 재창출을 위한 ‘당의 관리자’ 책임을 맡기되, 당내 대권경쟁의 조기 점화를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도모하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또한 친노직계 그룹이 내년까지 당 운영을 맡음으로써 노 대통령은 차기 대권주자 결정 과정에도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됐다는 분석도 있다. 대통령의 측근인 이기명씨와 명계남씨가 주도하는 노사모의 분파 국민참여연대가 전대 전날 송영길, 한명숙 의원과 함께 염동연 의원을 지지후보로 선정한 것은 이런 맥락에서 나온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염동연 통해 광주·전남 지지기반 확보
DY의 손익계산
이번 전대를 유력한 차기 대권주자인 DY와 GT의 대리전이라는 시각에서 분석한다면 DY가 ‘남는 장사’를 했다는 계산이 일반적이다. DY가 이번 전대에서 1~2위를 차지한 문희상 의장과 염동연 의원을 지원함으로써 대권경쟁에서 확실한 우세를 점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것이다.
특히 DY는 친노직계의 좌장인 문 의장과의 친분을 강화함으로써 향후 대권행보에서 열린우리당 내 최대 지분을 갖고 있는 친노세력의 도움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