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교 한국사 검정교과서 6종.
컴퓨터 프로그래머 출신 교열 전문가 황치영(67)씨가 올해 새로 선보인 고교 한국사 검정교과서 6종(삼화출판사, 비상교육, 법문사, 천재교육, 미래엔컬처그룹, 지학사)을 꼼꼼하게 분석하자 수많은 오류가 드러났다. 역사적 사실과 맞지 않는 내용뿐만 아니라 바뀐 명칭이나 외래어 표기법, 맞춤법이 어긋난 사례도 다수 발견됐다. 심지어 같은 교과서 내에서 통일되지 않은 용어 쓰기도 빈번히 나타났다. 그럼에도 교육과학기술부는 수수방관하고 있다.
황씨가 발견한 오류 중 대표적인 사례를 꼽아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그는 조선시대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經國大典)’에 관한 내용에서 오류를 찾았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1485년 1월1일부터 ‘경국대전’을 ‘시행’하도록 하라는 성종의 명이 있었다. 그런데 비상교육 출판사만 ‘1485년 시행’이라고 정확히 기술했고, 나머지 출판사는 연도가 틀리거나 ‘시행’을 ‘완성’이라고 잘못 표기했다.
“‘경국대전’은 법전이므로 그 법 내용을 백성이 따르는 것, 즉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485년 1월1일부터 시행하라고 했다면 그전에 완성돼 있었을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기 때문에 1485년에 ‘완성’됐다고 표기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그는 국보 제32호인 팔만대장경과 관련한 내용에서도 오류를 지적했다. 지학사 교과서에는 “팔만대장경은 이를 보관하고 있는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과 함께 1995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55쪽)”라고 씌어 있다. 하지만 그는 1995년에는 장경판전만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그는 ‘지정’되었다는 표현도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했다)되었고, 팔만대장경(판)은 2007년에 와서 ‘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고 한다.
‘경국대전’‘완성’이냐 ‘시행’이냐
비상교육 교과서에서 ‘야연사준도’라는 그림을 “김종서가 4군을 개척하고 함경도에 있을 때의 고사를 조선 후기에 그린 것(80쪽)”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4’군을 ‘6진’으로 수정해야 한다고 그는 지적했다. 세종 때 4군을 개척한 것은 최윤덕이고, 김종서가 개척한 것은 6진이라는 것이다.
역사적 사실과 관련된 것 이외에 새로 바뀐 명칭이나 외래어 표기법 등에 따라 바로잡아야 할 부분 또한 많았다. 원각사지십층석탑이나 불국사삼층석탑의 경우 ‘원각사지 10층 석탑’‘불국사 3층 석탑’처럼 숫자를 사용하고 띄어 썼는데, 숫자를 한글로 바꾸고 띄어 쓴 것을 붙여 써야 한다고 그는 주장했다. 문화재청에서 사용하는 대로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고구려 건국 지역을 언급하지 않은 삼화출판사를 제외한 5종 교과서에서 고구려 건국 지역을 모두 ‘동가강 유역’이라고 기술한 것에 대해서도 황씨는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보면 ‘비류수 위에 나라를 세우고 이름을 고구려라 하였다’라고 나와 있습니다. 비류수는 청나라 때 동가강으로 불리다 현재는 훈장강으로 이름이 바뀌었죠. 따라서 ‘동가강’이 아니라 고구려 시대 명칭인 ‘비류수’나 현재 명칭인 ‘훈장강’이라고 써야 옳습니다.”
그는 청나라 외교관으로 ‘조선책략’을 쓴 황준헌(黃遵憲)과 제1차 미·소 공동위원회 소련 측 대표인 시티코프(Shtykov)에 대한 잘못된 표기도 꼬집었다. 먼저 중국인 이름은 신해혁명(1911) 이전은 한자음으로, 이후는 중국 현지음으로 표기한다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황준헌’이라 표기하는 것이 맞는데, 6종 교과서 모두 ‘황쭌셴’으로 적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와 출판사 미온적 대응
다음으로 2005년 변경된 러시아어 표기법에 따르면 자음 앞 ‘sh’는 ‘시’로 표기해야 하므로 ‘Shtykov’는 ‘시티코프’라고 적어야 옳다. 그런데 시티코프를 언급한 4종 교과서 중 3종은 ‘스티코프’로, 1종은 ‘슈티코프’로 잘못 표기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시티코프가 비록 ‘외래어 표기 용례집’에 나오진 않지만, ‘푸시킨(Pushkin: 용례집에도 나오고 대다수가 맞게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과 읽는 원리가 같기 때문에 조금만 신경 쓴다면 올바르게 표기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이외에도 외래어 표기법에 의하면 중국 이름은 붙여 쓰는 것이 원칙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지키지 않고 띄어 쓴 경우도 있었다. 특히 법문사와 미래엔컬처그룹이 띄어 썼고, 지학사의 경우 띄어쓰기에 일관성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