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기독교가 기독교 착취 그러나 이슬람은 관대했다

십자군이 초래한 기독교 분열

기독교가 기독교 착취 그러나 이슬람은 관대했다

1/5
  • 4차 십자군은 콘스탄티노플을 공격함으로써 기독교인이 기독교 문명을 파괴하고 기독교인을 약탈하는 역사를 만들었다. 기독교를 지키기 위해 만들었다는 십자군이 반대의 길로 달려간 데는 이익을 노린 각 지역의 모략이 있었다.
기독교가 기독교 착취 그러나 이슬람은 관대했다

1963년 교황 바오로 6세(오른쪽)와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가 만나 악수하고 있다.

앞의 사진은 1963년 로마 가톨릭교회를 대표하는 교황 바오로 6세와 동방정교회를 대표하는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總大主敎·Patriarch)의 만남을 찍은 역사적인 것이다. 두 세력 대표가 만난 것은 900여 년 만의 일이었다. 양측은 같은 기독교도에서 갈라진 후 왜 만나지 않았을까.

1054년 교황 사절단은 동·서 로마 교회, 즉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정교회의 통합을 위해 콘스탄티노플을 방문했다. 그러나 우위권을 놓고 양쪽 모두 양보하지 않아 교황의 사절 훔베르트는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 체룰라리우스에게 파문 선고를 내렸다.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 역시 파문으로 맞섰는데, 이것이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정교회가 공식적으로 갈라선 분기점이었다.

황제권 위의 교황권

이는 오랜 기간 잠재한 갈등이 수면으로 드러난 사건이었다. 갈등의 핵심 원인은 로마 교황이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에 대해 우위권을 주장한 데 있다. 기독교는 313년 밀라노 칙령으로 로마 제국에서 하나의 종교로 인정받게 됐다. 그 후 기독교는 로마의 행정조직과 똑같은 교회 조직을 갖게 됐다. 신도 위에 사제, 사제 위에 주교, 주교 위에 대주교와 총대주교가 있는 구조였다.

기독교는 이러한 조직으로 4세기와 5세기에 걸쳐 그 세력을 확대해나갔다. 4세기경엔 로마, 예루살렘,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콘스탄티노플의 5개 도시에 총대주교가 있었다. 그런데 5세기 중엽 로마 총대주교(교황)인 레오 1세가 “로마 교황이 가장 우월한 지위를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예수가 베드로를 전체 교회의 우두머리로 지명했고, 로마 교황은 베드로의 후계자이니 가장 우월하다고 한 것이다.



그 근거로 마태오 복음서 16장 18~19절에 “잘 들어라. 너는 베드로이다.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울 터인즉, 죽음의 힘도 감히 그것을 누르지 못할 것이다. 또 나는 너에게 하늘나라의 열쇠를 주겠다.…”(공동번역성서 마태오 복음서)라고 돼 있는 구절을 내세웠다.

이 구절에서 ‘반석’은 라틴어로 ‘petro’(돌 또는 반석)라고 돼 있는데, 이를 고유명사로 보면 대문자로 시작하는 ‘Petro’가 되어 베드로(Petrus)를 가리킨다. 한마디로 예수는 중의법을 구사해 베드로가 교회의 책임자임을 암시한 것이다.

이러한 베드로가 로마의 주교였으니 로마 교황은 계승자로 권능을 이어받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로마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순교했고, 제국의 수도라는 점도 로마 교황의 우위권 근거로 작용했다.

하지만 총대주교는 관할구역을 갖고 있기에, 총대주교 사이에서 우위권 구분은 큰 의미가 없어 보였다. 그러다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면서부터 사정이 달라졌다. 5명의 총대주교 중 로마 교황만이 서로마에 있고 나머지는 동로마에 있으니, 로마 교황만 게르만족의 위협에 시달리게 됐다. 서로마 멸망 직후부터 7세기까지는 동로마 제국의 황제가 로마 교황을 보호해줬다.

726년 성상파괴령을 계기로 로마 교황과 동로마 황제는 갈라서고 말았다. 로마 교황은 새로운 보호자를 물색하다가 프랑크 왕국의 실권자였던 샤를 마르텔과 그 후계자들을 만났다. 800년 크리스마스 때 교황은 프랑크 왕국의 왕궁이 있던 아헨(Aachen)을 방문해 샤를 마르텔의 손자인 카롤루스에게 ‘서로마 황제’ 대관식을 해줬다. 그가 바로 카롤루스 대제, 샤를마뉴였다.

교황과 프랑크족의 결합은 절정에 올랐다. 프랑크족은 게르만족의 한 분파였으므로 카롤루스 대제가 서로마 황제에 오른 것은 야만족이 로마의 황제가 된 것을 의미했다.

이로써 로마 제국은 뚜렷하게 다른 성격을 지닌 두 제국으로 나뉘게 됐다. 서로마 제국에는 게르만족이 침입해 주인이 돼, 로마 가톨릭과 결합해 새로운 세계를 만들었다. 이 세계에서는 교황이 황제 대관식을 해줬으니 교황권이 황제권보다 위에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완전한 결별

동로마 제국은 게르만의 침입을 물리치고 로마의 명맥을 이어갔다. 하지만 그리스 문명의 성격을 많이 받아들여 비잔티움 제국으로 불렸다. 기독교를 공인할 때 총대주교는 황제 아래에 있었는데 동로마제국은 이 전통을 이어나갔다. 서유럽과 반대가 된 것이다. 이러한 차이들이 쌓여 9세기 초 로마 제국권은 두 세계로 완전히 분열됐다.

그럼에도 옛 서로마 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비잔티움 제국의 동방정교회는 통합 노력을 기울였다. 비잔티움 제국에서는 성상파괴와 성상유지를 반복하다가 성상유지로 돌아섰으니, 동·서 로마 교회의 분리를 가져온 요인은 사라졌다고 할 수 있었다. 지속적인 노력 끝에 11세기 중반 교황 사절단이 콘스탄티노플을 방문했다. 하지만 로마 교황의 우위권에 대한 의견차이로 상호 파문을 주고받으며 결정적으로 분리되었다.

1/5
박용진|서울대 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 parktoan@gmail.com
목록 닫기

기독교가 기독교 착취 그러나 이슬람은 관대했다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