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최초공개

MIG-29기 평북 곽산·태천에서 생산중!

  • 최영재 <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 cyj@donga.com

MIG-29기 평북 곽산·태천에서 생산중!

1/3
  • 북한은 이미 90년대 초반부터 러시아와 합작으로 미그 29기 조립공장을 건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북한은 90~93년에 러시아로부터 미그 29기 부품을 들여와서 2대를 조립했다. 북한은 1993년 4월15일 김일성 주석 생일인 태양절에 자체기술로 조립생산한 미그 29기 2대의 시험비행에 성공했다.
F16에 필적하는 최신예 전투기 미그 29기 조립공장이 북한에서 가동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주한러시아대사관 소식통에 따르면 그 위치는 평안북도 곽산과 태천이다. 이곳은 북한의 전술 비행장이 있는 곳으로 한국으로 치면 대구나 수원 비행장 같은 곳이다. 전투기 조립공장은 활주로를 끼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대개 기존 전술비행장 옆에 짓는다.

지난해에 국내 주요 언론은 일제히 북한이 미그 29기 조립생산을 추진하고 있다는 기사를 내보낸 적이 있다. 2000년 11월25일 ‘조선일보’ 보도다.

“북한은 지난 7월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 이후 러시아측에 최신예 미사일과 미그 29기의 부품을 무상으로 지원해달라고 요청하고 있으나, 러시아측은 경화(달러) 결제를 요구하면서 이에 응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24일 알려졌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7월 푸틴 대통령의 방북시 북한은 최신예 미사일과 미그 29기의 북한 내 조립생산을 위해 부품의 무상 지원을 요청했으나 러시아측은 아무런 답을 하지 않은 것으로 안다’며 ‘이후 북한은 계속 무상 지원을 요구하고 있으나 러시아측은 경화(달러) 결제를 요구하고 있어 별다른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정부 관계자도 ‘러시아 푸틴 대통령의 방북 이후 북한이 미그 29기를 조립 생산하기로 했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확인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조립공장은 최근에 만든 것이 아니고, 90년대 초반부터 러시아와 합작으로 건설해 가동하던 것으로 밝혀졌다. 한·소 수교 시절 한국 정부와 구소련 간 군사협력을 담당하고, 구소련 지역 공화국 대사를 지낸 A씨는 “북한은 이미 90∼93년에 러시아로부터 미그 29기 부품을 들여와서 2대를 조립했다. 북한은 1993년 4월15일 김일성 주석 생일인 태양절에 자체 기술로 조립 생산한 미그 29기 2대의 시험비행에 성공했다”고 말했다.



북한은 80년대 말에 이미 미그 29기를 22대 가량 보유하고 있었다. 이 22대는 모두 1989년에 구소련으로부터 완제품 형태로 수입한 것이었다. 미그 29기는 대당 가격이 1억달러(약 1200억원)에 이르며 중고품일 경우에도 5000만달러를 웃도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이렇게 비싼 전투기를 이 정도로 수입할 수 있었던 것은 사회주의 국가끼리 우대 가격이 적용됐기 때문이다. 그나마도 차관 형태로 들여오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미그 29기 조립생산은 1993년 이후 일단락되었다. 러시아가 구소련 시절과는 달리 완제품이든 부품이든 현금 결제를 요구하고 나섰기 때문이었다. 이는 러시아의 경제난 때문이기도 했지만, 한·소 수교에 따른 부담도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북한의 미그 29기 조립생산은 주춤했고 조립 공장도 당연히 가동을 멈추었다.

북한이 미그 29기 2대를 조립 생산했다는 사실은 부품만 있으면 언제든지 완제품을 만들 수 있다는 뜻이다. 장성 출신이기도 한 A씨는 “두 대를 조립했다는 것은 대량 생산하지는 못하지만 부품만 있으면 얼마든지 완제품을 만들 능력이 있다는 뜻이다. 조금만 자금 여유가 생겨 부품을 들여올 수 있다면 북한은 지금이라도 미그 29기 완제품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1/3
최영재 <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 cyj@donga.com
목록 닫기

MIG-29기 평북 곽산·태천에서 생산중!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