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정 자체에 대한 평가만을 보면 호남지역, 20·30대 젊은층에서 찬성하는 사람이 많았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열린우리당 지지층에서는 67.8%가 찬성했지만 20.4%는 반대의사를 나타냈고, 한나라당 지지층에서는 54.2%가 반대했지만 찬성의견을 낸 사람도 32.3%나 됐다. 민노당 지지자들은 57.4%, 민주당 지지자들은 61.8%가 연정에 찬성한다고 답했다.
지지 정당과 연정 선호

흥미로운 점은 전체적으로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과의 연정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 구체적으로 한나라당 지지층은 62.7%가 한나라당과 연정해야 한다고 답했고, 민노당 지지층의 57.4%, 민주당 지지층의 54.7%가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과의 연정을 원한다고 답했다. 한편 열린우리당 지지층에서는 연정 상대로 한나라당(33.1%)과 민노당(33.2%)을 비슷한 비율로 꼽았고, 17.6%는 민주당을 선택했다.
종합적으로 분석해보면 결국 연정론에 대한 찬성 여론은 여당과 야당이 대화와 타협의 정치를 해달라는 요구나 마찬가지로 풀이할 수 있다.
청와대는 “연정 논의는 현행 헌법 내에서도 가능한 것으로, 개헌 문제로 연결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그러면서도 조기숙 대통령홍보수석비서관은 사견임을 전제로 내각책임제 개헌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혀 개헌론에 불을 지폈다. 야당 내에서도 개헌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세력이 적지 않기에 개헌론은 순식간에 ‘대형 화재’로 번지는 듯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