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전의 충돌’ 토마스 소웰 지음/채계병 옮김/이카루스미디어/342쪽/1만8000원
“비전은 당혹스러울 정도로 복잡하게 뒤얽혀 있는 미로 속에서 우리를 인도해주는 지도와 같다. 지도처럼 우리가 목적지로 가는 몇 가지 중요한 길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여러 구체적인 특징을 단순화한다.”
어떤 사람이라도 세상의 모든 문제에 대해 해박할 수는 없다. 따라서 자신이 잘 아는 분야에 대해서는 갖고 있는 지식과 경험에 의존하겠지만, 그 밖의 복잡한 사회 현상을 이해하고 판단할 때에는 자신이 알게 모르게 갖고 있는 비전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다. 나는 이를 두고 사람은 저마다 두뇌 속에 ‘세상을 바라보는 창(窓)’을 갖고 있다는 표현을 즐겨 사용한다. 창이 어떤 모양인가에 따라서 세상이 다르게 보이는데, 이런 창을 두고 비전이란 용어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토마스 소웰의 분류에 따르면 비전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제약적 비전’이고 또 다른 하나는 ‘무제약적 비전’이다. 사회에 대한 비전은 우선 인간 본성에 대한 기본 가정의 차이에서 비롯되는데, 제약적 비전은 자신의 이익에 충실하게 행동하는 인간의 자기중심주의를 비난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인정한다. 그리고 인간의 이같은 본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제약적 비전과 무제약적 비전
이 분야에서 원조를 찾는다면 당연히 ‘국부론’의 저자 애덤 스미스를 들 수 있다. 애덤 스미스의 ‘도덕감정론’에 등장한 인간 본성에 대한 다음과 같은 정의야말로 ‘제약적 비전’의 기초를 이룬다.
“지진으로 거대한 중국이 모든 주민과 함께 갑자기 사라져버렸다고 가정할 때, 중국과 전혀 관련이 없는 유럽의 인간성 좋은 사람이 이 끔찍한 재난 소식을 듣고 어떻게 반응할지 생각해보기로 하자. 나는 우선 그가 중국인의 불행한 재난에 아주 강한 슬픔을 표현하고 삶의 불확실성에 대한 생각으로 매우 우울해질 것이며 한순간에 사라져버릴 수 있는 인간의 모든 노고의 허망함에 대해 생각하게 되리라 상상한다.
또한 그가 이론적인 사람이라면 중국의 재난이 유럽의 통상 및 일반적인 세계 무역과 사업에 미칠 영향과 관련해 많은 것을 논리적으로 생각하기 시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모든 고상한 철학을 끝내고 인도주의적인 감정을 일단 그럴 듯하게 표현하고 나면 마치 그런 사건은 일어나지 않았다는 듯 평온하게 자기 일을 다시 시작하거나 쾌락을 추구하고, 혹은 휴식을 취하거나 기분전환을 하려 할 것이다.”
반면 무제약적 비전은 인간이 자신의 이익보다 타인의 욕구를 먼저 생각할 수도 있다고 가정한다. 본성의 이타적(利他的)인 면을 인정한다는 점에서 무제약적 비전은 제약적 비전과 인간관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이 분야에서 대표적인 사람과 저서를 꼽자면 윌리엄 고드윈의 ‘정치적 정의에 관한 고찰’을 들 수 있다. 고드윈의 견해에 대해 토마스 소웰은 이렇게 적었다.
“고드윈은 ‘인간은 분명 다른 사람의 이익보다 자신의 이익을 우선시할 수 있다. 그러나 자기 이익에 대한 편애는 환경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데 기인하는 것이며 우리 본성의 불변의 법칙은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우리는 사물과 인간의 본성을 변화시킬 수 없다’는 버크의 견해와 대조적으로 ‘인간은 이제부터 만들어져 할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무제약적 비전은 ‘인간은 제도와 인센티브에 의해서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는 가정 위에 서 있다. 그런 까닭에 사회악 중에 해결하기 힘든 것은 없다고 믿는다. 이에 반해 제약적 비전은 어떤 제도나 강제조차 스스로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인간 본성을 바꾸어놓을 수 없기 때문에 사회악을 다루는 데 있어서는 이 같은 제약 조건을 인정하고,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