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사동 생태공원의 현재 모습(작은 사진)과 봄 이후 초록이 넘치는 풍경을 예상한 그래픽.
서울시가 최근 추진하고 있는 한강 생태공간화 프로젝트는 이렇듯 제 모습을 잃은 한강의 자연성을 회복하기 위한 작업이다. 관점에 따라서는 이를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 전체에서 핵심 중의 핵심 부분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한강이 지닌 ‘자연’으로서의 가치는 다른 어떤 것과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하기 때문이다.
한강 생태공간화 프로젝트는 콘크리트로 발라 만든 인공 호안(護岸)을 녹화하는 사업을 비롯해 강서습지 생태공원, 암사생태공원, 여의도샛강 생태공원, 한강으로 연결되는 12개 지천의 생태 복원, 자연형 침수공간 조성, 지천 합류부 생태개선 사업 등 총 7개 사업에 941억원을 투입하는 작업이다. 그러나 이들 7개 사업이 각각 따로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 유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영향을 끼치며 ‘자연성’의 본질에 접근하는 것이 그 요체다. 그 가운데서도 특히 인공호안 녹화사업과 생태공원, 지천생태 복원 및 지천합류부 생태개선 사업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삭막한 콘크리트 강변을 풀냄새로 채우며
1980년대 이후 이뤄진 한강 개발의 핵심은 홍수 때마다 쓸려나가는 흙 대신 탄탄한 콘크리트로 강변을 뒤덮는 작업이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한강의 풍경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많은 이의 눈에 삭막함으로 비친 것도 꽤 오래된 일이다. 최근 진행되고 있는 호안 녹화사업은 이 한강변에 꽃과 나무의 푸른 생기를 더하는 작업이다. 지금의 인공호안의 수리(水理)적 특성을 철저히 분석해 이를 단계적으로 자연형 호안으로 전환하는 사업으로, 2009년 12월까지 공사를 마무리한다는 목표로 진행 중이다.
잠시 짚고 넘어가자. 사전을 찾아보면 ‘호안’이란 ‘하안(河岸)이나 해안(海岸)에서 둑을 보호해 유수에 의한 물가선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비탈면에 시설하는 공작물’을 말한다. 환경분야 전문가들은 현재 한강의 인공호안은 생태적인 기능이 극히 저조하다는 지적을 여러 차례 해왔다. 수분이 필요한 식물이 살 수 없고, 그 서식처가 돼줘야 할 물이 고이는 지역도 형성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지금의 인공호안은 한강의 평소 수위보다 9~12m 높은 위치에 옹벽을 쌓아 만든 것이라 강과 단절된 상태다.
이들 호안에 흙을 덮어 키 작은 나무와 벌개미취, 부채붓꽃, 비비추와 같은 자생초화류를 심어 생태녹지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 2006년 11월부터 진행되고 있는 녹화작업의 첫 단계다. 이를 통해 한강의 물고기와 물속 식물들이 살아갈 수 있는 자리를 만들어주는 것이다. 당연히 한강을 이용하는 시민들도 강에 접근하기가 쉬워진다. 한강 호안의 86%를 차지하는 콘크리트 호안 72km 중 유속이 빨라 풀이 자랄 수 없거나 선착장 같은 곳을 제외한 62km를 자연형 호안으로 개선해 한강을 생태하천으로 만드는 이 작업에는 총 214억원이 투입되어 단계별로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