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느 때부터인가 가수의 노랫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웅얼거리는가 싶더니 과거엔 보지도 듣지도 못한 선정적인 가사로 노래한다. 10년 전 가요와 지금 가요, 얼마나 어떻게 달라졌을까.
사진제공 스포츠동아
‘아임 소 핫/난 너무 예뻐요/아임 소 파인/난 너무 매력 있어’가 인상적인 원더걸스의 ‘소 핫’부터 샤이니의 ‘누난 너무 예뻐’ 2PM의 ‘10점 만점에 10점’, 손담비의 ‘미쳤어’, 바나나걸의 ‘키스 해죠’까지…. 요즘 대중을 사로잡는 가요의 필요조건은 튀는 제목과 노랫말이다.
여기서 중요한 건 가수의 노랫말이 노래로만 그치지 않는다는 사실. 대중가요는 이를 수용하는 사람들의 생각에 영향을 끼침과 동시에 그들의 가치관과 욕망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대중음악평론가 김작가씨는 “이런 가사들이 무리 없이 받아들여진다는 건 그만큼 요즘 세대의 연애관이 개인의 욕망을 더 중시한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10년 전 가요는 어땠을까. 1998년은 서태지 이후 아이돌 그룹들이 10대들의 인기를 독식하며 전성기를 누리던 해다. 1998년 H.O.T.와 S.E.S 핑클 젝스키스 베이비복스의 히트곡 노랫말과 최근 아이돌 그룹의 부활을 주도하고 있는 빅뱅 원더걸스 동방신기 등의 노랫말을 비교해봤다.
‘난 네 것’ → ‘넌 내 것’
10년 전 인기를 끌었던 가요의 노랫말을 들여다보자. ‘소망’ ‘영원’ ‘꿈’ ‘약속’ 등의 단어가 유독 많다는 걸 알 수 있다. 1998년 발표된 핑클의 ‘내 남자친구에게’(내 모든 걸 원한다면 너에게 줄게/기다려왔던 나의 사랑은 너를 위한 거야(중략) 내 모든 걸 원한다면 너에게 줄게/난 니 꺼야)와 S.E.S의 ‘아임 유어 걸’(너에겐 그 어떤 말보다 넌 내 거란 말이 듣고 싶어)이 대표적인 예. 핑클 S.E.S 등 1998년 인기를 끌었던 여성 아이돌 그룹의 노랫말 속에서 나는 누군가에게 의미 있는 존재가 되길 소망한다.
그러나 요즘 아이돌 가수의 노랫말 속엔 누군가를 소유하겠다는 욕망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 10년 전에 소망(wannabe)이었다면 현재는 소유욕(want you)으로 변한 것이다.
1990년대 아이돌 그룹인 핑클. 이들의 노랫말에는 내가 누군가에게 의미가 되고 싶다는 소망이 담겨 있다.
휘성의 ‘우린 미치지 않았어’라는 곡에서는 좀 더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표현이 등장한다. ‘난 네가 고른 옷을 태워서 내 맘대로 쓰레기통에 넣었어/이런 의미 없는 옷을 네가 입고 있을 때 왠지 모르게 난 참을 수 없었어/나만 봐주는 인형으로 만들고 나서/난 오직 너만의 주인처럼 놀고 싶어’
연인과의 정신적 교감보다 육체적 애정행위를 강조하는 경향은 종종 타인의 육체를 대상화, 사물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한다. 박진영이 작사 작곡하며 프로듀싱한 그룹 2PM의 ‘10점 만점에 10점’(그녀의 입술은 맛있어 입술은 맛있어/10점 만점에 10점/그녀의 다리는 멋져 다리는 멋져/10점 만점에 10점)에서는 여자의 신체 부위에 각각 점수를 매기는 가사로 여러 예능 프로그램에서 패러디됐다.
웹진 ‘음악취향 Y’의 칼럼니스트 최지호씨는 “10년 전 아이돌이 추상적인 가치를 에둘러 표현했다면 요즘에는 좀 더 구체적이고 날것의 언어로 욕망을 드러내거나 성적 행위를 묘사한다”고 말했다.
10년 전 10대에게 인기를 끌었던 노랫말은 겸손과 자기희생의 정서가 강했다. 하지만 요즘은 다르다. 자기주장을 당당하게 드러내는 것이 특징이다.
1998년 발표된 디바의 ‘왜 불러’를 들여다보자. ‘왜 불러 날 잡은 건 너의 실수야/나보다 좋은 여잔 얼마든지 있는데’라며 ‘내탓 정서’가 강했다면 2008년 발표된 태양의 ‘죄인’에서는 정반대의 상황이 벌어진다. ‘내가 잘못되면 너 때문인지 알아/날 망치게 한 원인 모두 다 너니까/다른 사람을 만나 불행해주겠니/기도해줄 테니’라는 가사에서는 이별의 원인을 상대에게 돌리는 것을 넘어 타인의 불행을 빌기도 한다.
애인이 변심해 바람을 피우는 상황에 대처하는 방식도 달라졌다. 1998년 인기를 끌었던 젝스키스의 ‘너를 보내며’가 모든 걸 단념하고 상대를 위해 떠나주겠다고 했다면(내가 아닌 사람과 함께 있는 널 봤어/모든 걸 이제 단념해야겠지/이제 사랑했던 널 위해 먼저 떠날게), 다비치의 ‘사랑과 전쟁’(두 번 다시 바람 피지 마/네가 매달려 만난 거잖아/어떻게 날 두고 다른 여잘 만날 수 있니/내게 더 정말 멋진 남자들/가끔은 내게 다가와 흔들릴 때도 있어)에는 상대에 대한 원망과 맞바람을 피울 수 있다는 암시가 들어 있다.
태양의 ‘나만 바라봐’(내가 바람 펴도 너는 절대 피지마 Baby/나는 너를 잊어도 넌 나를 잊지마 Lady/가끔 내가 연락이 없고 술을 마셔도/혹시 내가 다른 어떤 여자와/잠시 눈을 맞춰도 넌 나만 바라봐)는 내가 바람을 피워도 상대는 그래선 안 된다는 이기적인 노랫말로 인기를 끌기도 했다.
사회 비판 → 자기만족
1990년대 후반에 등장한 아이돌 그룹은 ‘서태지와 아이들’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당시 일부 가요의 노랫말은 개인적인 감정 묘사에서 벗어나 사회비판적인 방향으로 흘렀다.
H.O.T.의 데뷔곡은 학교폭력을 다룬 ‘전사의 후예’. 젝스키스도 한국 교육현실을 비판한 ‘학원별곡’으로 데뷔했다. 이들은 10대 외에 더 넓은 대중의 관심을 얻기 위해 사회적 메시지를 담으려고 시도했다. 1998년 발표된 H.O.T.의 ‘빛’은 실패를 딛고 희망과 구원을 이야기하는 곡. 손, 하늘, 어둠, 빛 등의 은유적인 표현이 자주 등장하는 것도 특징이다. 이 노래는 사랑의 실패뿐만 아니라 사업에 실패해 슬퍼만 하지 말고 다같이 함께 가자고 북돋우는 희망가다(앞으로 열릴 당신의 날들을 환하게 비춰줄 수 있는 빛이 되고 싶어/이제 고개를 들어요 눈부신 빛을 바라봐요).
H.O.T.의 ‘열 맞춰’(케케묵은 권위 명예와 돈과 욕심 많은 것들 바꿔야 해/자기 것만 알고 남은 짓밟고 다 내꺼 다 내꺼/1등 아니면 다 안 된다는 생각 2등부터 고개 들지도 마/이제 모든 굴레 벗어나고 싶어)도 1등을 위주로 모든 것을 재단하는 사회에 대한 비판정서를 담았다.
문화평론가 이영미씨는 “당시는 1990년대 이후 댄스가요를 주로 하는 기획 그룹들이 서태지와 아이들의 영향을 받아 사회비판적인 신세대의 반항 기조를 유지하려 노력하던 시기”라고 평했다.
반면 2008년 아이돌 그룹의 가사에는 사회성이 결여됐다는 것이 특징이다. 빅뱅이 2집 타이틀곡 ‘붉은 노을’을 발표하며 서해안 기름유출 사고를 당한 태안을 살리자는 메시지를 담았지만, 이는 일회성에 불과했고 효과도 미미했다. 상당수노래의 주제는 자기만족과 남녀 간의 애정문제로 귀결된다. 전형적인 공주병 환자가 주인공인 원더걸스의 ‘소 핫’이 대표적인 예다. (언제나 어디서나 날 따라 다니는 이 스포트라이트/어딜 가나 쫓아오지/식당 길거리 카페 나이트 도대체 얼마나 나일 들어야 이놈의 인기는 사그라들지 원/섹시한 내 눈은 고소영/아름다운 내 다리는 좀 하지원/어쩌면 좋아 모두 나를 좋아하는 것 같애 오노~)
영원한 사랑을 다짐하던 예전과 달리 뒤돌아보지 않고 냉소적인 특징은 빅뱅의 ‘하루하루’에도 드러나 있다.(네가 없인 단 하루도 못 살 것만 같았던 나/생각과는 다르게도 그럭저럭 혼자 잘 살아/돌아보지 말고 떠나가라/또 나를 찾지 말고 살아가라)
가사 왜 자극적인가
“이거 열아홉 살짜리들이 무슨 노래를 하는 거야?” KBS2 ‘개그콘서트’의 봉숭아학당 코너에 출연하는 왕비호가 2PM의 ‘10점 만점에 10점’과 원더걸스의 ‘소 핫’에 대해 던진 독설이다. 평균 연령 10대 후반의 가수들이 나이에 걸맞지 않은 되바라진 노랫말로 인기를 끌자 이에 대한 의견도 분분하다.
이러한 경향에 대해 대중음악평론가 임진모씨는 한마디로 “미제너레이션(Me-Generation)의 반영”이라고 분석했다. 자기 본위적인 정서를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현상이라는 것이다. 그는 “긍정적으로 보면 어려운 세상을 헤쳐 나가기 위한 자존감을 지키려는 욕구의 표현이지만 대중음악이 개인 일기장을 들여다보는 것으로 전락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선정적인 의자춤으로 2008년을 강타한 손담비.
문화심리학자 이정우씨는 “상처 받고 싶지 않아 쿨한 척하고 이기적인 척하는, 요즘 젊은 세대들이 보이는 관계 미숙의 현상이 노랫말에 그대로 드러난다”며 “현실 속에서 남녀 간에 대등한 관계가 성립되지 않자 마음속으로 상대방을 노예로 만들고 싶어하는 극단적인 욕구가 가사에 반영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흐름은 작사가들의 작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승전결의 이야기 구조에 시적인 표현을 중시했던 작법은 이제 옛날얘기다. 작사가들은 중독성 있는 멜로디에 어울리는 반복적인 어구를 삽입하다 보니 이전보다 노랫말이 노래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더 커졌다고 입을 모은다. 이는 작업방식의 변화로까지 이어졌다. 멜로디를 중심에 놓고 가사가 따라가던 방식이 아니라 노래 하나에 콘셉트를 설정해 신선하고 독특한 노랫말을 붙인다는 것이다.
SG워너비의 ‘내 사람’, 다비치의 ‘사랑과 전쟁’ 등의 노랫말을 쓴 작사가 안영민씨는 “줄거리 위주에서 솔직하고 귀에 남는 단어를 반복하다 보니 가사의 작법이 훨씬 쉬워진 것은 사실”이라며 “언어의 미학을 살리기보다 일상생활에 쓰이는 단어를 많이 쓰게 돼 예전보다 따라 부르기 쉬워진 반면 자극적으로 됐다”고 말했다.
선정적인 노랫말이 도마에 오른 것은 지난해 말부터다. ‘넌 나를 원해 넌 내게 빠져 넌 내게 미쳐 헤어날 수 없어/I got you. Under my skin’ 지난해 50만장이 넘게 팔려 최다 판매고를 올린 동방신기 4집 타이틀곡 ‘주문-MIROTIC’의 노랫말이다. 일본을 비롯해 국내에서 높은 인기를 누리는 아이돌 그룹의 노래답게 이 노래는 10대를 비롯한 젊은 층의 인기를 얻었다.
하지만 이 곡은 지난해 12월 말 보건복지가족부 산하 청소년보호위원회 음반심의위원회로부터 청소년 유해 매체물로 분류됐다. 청소년보호법 제10조는 ‘청소년에게 성적인 욕구를 자극하는 선정적인 것이나 음란한 것’을 청소년 유해매체물의 심의 기준으로 명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제작사인 SM엔터테인먼트는 서울행정법원에 집행정지신청 및 청소년 유해매체물 결정 고시처분 취소소송을 내 ‘19금(禁) 가요’ 문제는 사회적인 이슈로 번졌다.
유해매체 규정이 대안일까
SM 측은 소장에서 “처분 사유로 가사에 선정적인 표현이 있다는 이유만 제시하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이 선정적인지 명시되지 않았다”며 “‘너를 가졌어’ 등의 표현은 해당 부분만 놓고 보면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이성에게 다가가 자신을 사랑해 달라고 주문을 걸고 이를 통해 사랑을 얻게 된다는 것으로 현재의 청소년이 충분히 공감할 내용”이라고 주장했다. 이 곡에 대한 청소년위원회의 조처는 지난해 말부터 효력이 발생해 ‘19세 미만 판매금지’라는 스티커를 붙인 채 판매됐다. 이들의 ‘클린 버전’에는 문제가 된 가사 ‘언더 마이 스킨’이 ‘언더 마이 스카이’로 바뀌는 촌극이 빚어지기도 했다.
이뿐만 아니다. 비의 5집 타이틀곡인 ‘레이니즘(Rainism)’도 청소년보호위원회로부터 청소년 유해 매체물로 판정받았다. ‘떨리는 니 몸 안에 돌고 있는 나의 매직 스틱(Magic Stick)/더 이상 넘어갈 수 없는 한계를 느낀 보디 셰이크(Body Shake)/아이 메이크 잇 레이니즘 더 레이니즘(I Make It Rainism The Rainism) 내 몸을 느껴버렸어’라는 부분이 문제였던 것.
비, 동방신기의 노래가 방송 부적격 판정을 받은 데 이어 솔비의 ‘두잇두잇’, 다이나믹 듀오의 ‘트러스트 미’ ‘메이크업 섹스’ 등 국내외 음반에 수록된 11곡은 청소년보호법에 따라 ‘19세 미만 판매금지’라는 스티커를 붙이고 판매하게 됐다. 빅뱅의 승리(‘스트롱 베이비’)도 1월5일 KBS로부터 방송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 ‘스트롱 베이비’의 가사는 이렇다. ‘이제 시작이야 하나가 될 시간이야/내 발등에 너의 발이 내 몸 속에 너의 팔이/같이 춤을 추고 같이 불을 피죠/we′re so hottest in the world)
이러한 제재에 대한 대중의 생각은 엇갈린다. “비판의식도 없이 낯부끄러운 대중가요를 언제까지 용인해야 하냐”며 긍정적인 여론이 있는 반면, “정확한 잣대 없이 일방적인 제재만 할 경우 창의적인 창작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비판론이 분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