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 시장은 구원투수 역할을 완벽하게 수행했다. 당 지도부에서 기대한 대로 오세훈 후보 개인이 가진 참신한 이미지가 서울시민에게 먹혔다. 당시 박근혜 대표 피습사건도 표심에 영향을 미쳐 그는 강금실 후보를 멀찌감치 따돌리고 민선 4기 서울시장이 됐다. 이후 17대 대통령선거와 18대 총선 등 정치적 격변기를 거쳐 다시 지방선거가 1년 앞으로 다가왔다. 오 시장은 이번엔 선발 등판을 준비하고 있다. ‘창의 시정(市政)’을 기치로 재임 중 일궈낸 업적들을 토대로 재선(再選) 도전에 나선 것이다.
‘본선’은 나중 일
그러나 그의 앞길은 만만치 않다. 한나라당 공천을 받는 것도 첩첩산중이다. 4~5명의 유력 정치인이 선발 자리를 넘보고 있다. 3선의 원희룡 의원, 재선의 공성진·정두언·나경원 의원 등이다. 소장파의 대표 격인 원 의원은 최근 친이-친박 계파 갈등으로 불거진 당 내분 사태를 잠재울 임무를 수행할 쇄신특위 위원장을 맡았다. 항상 외길 행보로 당내에서 세(勢)를 형성하지 못한 것이 최대 약점이었지만 이번에 입지를 강화할 수 기회를 잡은 셈이다. 한나라당 서울시당위원장을 역임한 공성진 의원은 권력 핵심 재진입을 시도하는 이재오 전 최고위원의 핵심측근이다. 정두언 의원은 지난해 6월 ‘권력 사유화’ 발언으로 칩거기를 보냈지만 얼마 전 이명박 대통령과 독대 이후 사실상 정치적 복권이 이뤄졌다. 나경원 의원은 4·29 재보궐선거에서 ‘선거의 여왕’ 박근혜 전 대표가 빠진 자리를 그나마 메우면서 ‘선거의 여인’으로 자리 잡았다.
이들 인사 외에 지난 선거에서 오 시장이 그랬듯 여차하면 ‘짠’하고 나타날 거물급 경쟁자도 있다. ‘MB(이명박 대통령)의 남자’로 통하는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대표적이다. 유 장관은 최근 서울시장 출마 문제와 관련해 “현실적으로 그런 일이 생기고, 분위기가 무르익고, 진지하게 검토할 일이 생기면 그때 가서 생각해도 늦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출마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는 뜻으로 들린다. 유 장관 측근인 선주성 정책보좌관은 “상황이 어떻게 될지 모르는데, 절대 출마 않겠다고 잘라 말할 수는 없다”고 했다. 다만 “미리 준비하는, 그런 것은 없다”는 것이다. 여권 내에선 유 장관의 출마 쪽에 무게를 두는 관측도 적지 않다.
오 시장 측은 겉으론 “누가 나오더라도 나오는 것 아니냐”며 크게 개의치 않는 다는 반응을 보이지만 속으론 적잖이 신경을 쓰는 모습이다. 특히 유 장관이 친이 진영의 ‘대표성’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토를 달았다. 오 시장의 한 핵심 참모의 말이다. “유 장관에겐 한계가 있다. 무엇보다 유 장관이 친이 의원들과 친할 일이 없다. 현직 장관이 경선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당협위원장들과 어떻게 교감을 나누겠느냐.”
다른 참모는 ‘자질론’을 거론했다. “유 장관은 서울시민과 국민에게 안정감을 주기 어렵다고 본다. 친이 진영이 지원할 것이라고 하는데, 지금은 친이도 다 갈려 있지 않으냐. 결집이 어려울 거다.”
이에 대해 유 장관의 선주성 보좌관은 “유 장관은 출마하더라도 정치적으로 접근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장관은 사석에서 ‘더 이상 명예를 얻을 것은 없다, 장관을 하면서 까먹었으면 까먹었지 새로 얻은 명예는 없다’는 말을 한다. 개인적 자부심과 삶의 가치를 중요시하지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결심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 직계인 권택기 의원은 “다양한 후보가 나오는 것은 환영할 일이다. 그중에서 경선을 통해서 좋은 후보를 뽑으면 되는 것 아니냐”고 했다. 다른 의원들도 이런 원칙적인 입장과 다르지 않을 듯하다.
결국 오 시장이 재선 가도를 달리기 위해선 쟁쟁한 내부 경쟁자부터 물리쳐야 한다. 야당 후보와 겨룰 본선 걱정은 나중의 일이다.
그런데 ‘오세훈 위기론’이 나도는 것은 비단 다른 야심가들의 등장 때문만은 아니다. 서울지역 한나라당 국회의원들 가운데 ‘안티 오세훈’ 그룹이 있다는, ‘창의 시정’은 혹독한 평가를 받을 것이라는, ‘이심(李心·이 대통령 의중)’이 떠났다는 소문들이 서울시 주변에 어슬렁거리고 있다.
서울시에 어슬렁거리는 소문들
서울지역구 한나라당 국회의원은 모두 40명이다. 야당 의원이 있는 8개 선거구엔 한나라당 원외 당원협의회 위원장들이 있다. 이들 48명은 한나라당 서울시장 후보 경선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각자 오 시장에 대한 호·불호가 있겠지만 상당수가 오 시장과의 사이에서 사건을 겪었다. 바로 지난해 4·9 총선 직후 불거진 ‘뉴타운 공약’ 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