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엥’
징이 울렸다. 모두가 내디디던 발걸음을 멈추고 제자리에 섰다. 일순간 고요가 찾아드나 싶더니, 어디선가 새들이 지저귀는 소리가 들렸다. ‘스윽’하며 나뭇잎 사이로 바람 지나는 소리도 들렸다. 걸음을 멈춰 서니 ‘가는귀’가 트이는 모양이다. 희미하게 들리던 숲의 소리는 차츰 또렷하게 들렸다. 나뭇가지와 나뭇잎 사이로 기다랗게 스며든 햇살과 퍼즐조각을 맞춰놓은 듯 드문드문 보이는 파란 하늘이 멋진 조화를 이뤘다. 앞서 가던 사람들 모두 걸음을 멈추고 제자리에 서 있다.
‘데엥, 데엥’
징이 두 번 울렸다. 다시 발걸음을 내디디기 시작한다. 명상센터 이름이 동요에 나오는 ‘깊은 산속 옹달샘’이라 그랬을까. 아니면 걷기 명상에 참여하는 동안 나도 모르는 사이에 동심의 세계로 돌아간 걸까. 징소리에 맞춰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걷기 명상은 어릴 적 즐겨 했던 ‘얼음땡’ 놀이를 연상시켰다. 한 번 치는 징소리는 ‘얼음’, 두 번 치는 것은 ‘땡’.
내 뒤에서 걷던 한 참가자는 내디디는 발걸음 하나하나에 정성을 쏟는다. 마치 수행자 같다. 오솔길을 따라 산등성이를 오르다보니 널찍한 ‘숲 속 음악당’이 눈앞에 펼쳐진다. 나무를 엮어 만든 무대와 비탈길에 나무를 덧대 임시로 만들어둔 좌석이 정감 있다.
걷기 명상이 진행되는 동안 징소리에 맞춰 가다 서다를 서너 차례 반복했다. 걷기 명상 출발 전에 고도원 이사장은 “가던 걸음을 멈춰 서면, 들리지 않던 소리가 들리고 보이지 않던 것이 보인다”고 했다. 직접 걸어보니 그 말뜻이 이해됐다. 앞만 보고 가느라 주변을 돌아볼 겨를이 없던 일상생활에 잠시 휴식을 주는 것, 멈춰 서는 것. 그래서 주변을 찬찬히 돌아보는 것. 그리고 스스로 자신을 돌아보는 것. 그것이 곧 명상이었다.
#옹달샘과 토끼
산등성이를 돌아 나오니 커다란 나무가 서 있고, 그 둘레를 원형으로 돌 수 있도록 샛길을 낸 광장이 나왔다. 앞서가던 고도원 이사장이 걸음을 멈추고 마이크를 잡았다. 고 이사장은 “두 팔을 활짝 벌리고 숲 속의 맑은 공기를 맘껏 들이마셔보라”고 했다. 함께 걷던 옆 사람과 포옹하며 인사도 나눴다. 처음 출발할 때보다 다들 표정이 밝아져 있다. 사우나에서 땀을 흠뻑 흘린 뒤 차가운 물을 끼얹을 때와 같은 개운한 느낌이었다. 걷기 명상은 스스로를 돌아보는 과정이었고, 참된 자아를 찾는 길이었다. 묵언수행 하듯 소리 없이 진행된 걷기 명상은 여기까지다. 숲 속 광장에서부터 걷기 명상 출발지 ‘천문’으로 돌아가는 길에는 동행한 참가자들과 가벼운 대화를 나눌 수 있었다.
▼ 어디서 오셨어요.
“부천에서 왔어요. 세 사람은 서울에서 왔고요.”
▼ 어떤 계기로 오셨어요?
“걷기 명상에 꼭 참여해보고 싶었어요. 얘기는 많이 들었는데, 참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에요.”
▼ 걷기 명상에 참가해보니 어떠셨어요.
“그(걷기 명상) 자체로 좋은 것 같아요. 좋은 곳에 와서 함께 걷고. 여기에 온 것만으로도 충분한 것 같아요. 오늘은 시간이 없어 걷기 명상에만 참가했는데, 아쉬워요. 다음에는 하루 명상이나 비채 명상(비움과 채움의 명상)에 참가해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