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한국 액션 영화배우 열전 ⑩

라스트 액션 히어로 이대근

1970년대 패기 넘치는 영웅 신화의 주인공

  • 오승욱│영화감독 dookb@naver.com

라스트 액션 히어로 이대근

1/4
  • 스크린 속 그의 눈빛은 언제나 번뜩였다. 야수 같은 마음과 괴물 같은 힘,
  • 사내의 내면에서 아우성치는 원념이 샅샅이 드러나는 눈빛이었다.
  • 김두한, 김춘삼, 시라소니…. 한국 현대사의 신화적인 주먹이
  • 모두 그의 몸을 통해 부활했다. 1990년대 이후 수많은 배우가 액션 영화에
  • 출연했지만, 한 시대를 상징한 영웅은 그가 마지막이었다.
  • 한국 영화의 라스트 액션 히어로, 이대근을 추억한다.
라스트 액션 히어로  이대근

이대근의 이름을 제목으로 삼은 2007년 영화 ‘이대근, 이댁은’의 한 장면.

1975년2월의 어느 날. 동네 아이들 사이에서 소문이 돌고 돌았다. 영화 ‘실록 김두한’(김효천 감독·1974)이 끝내주게 재미있다고. 일주일간의 제3개봉관 상영일이 거의 막바지에 이르렀을 무렵, 나는 멀티플렉스 영화관으로 모양새를 바꾼 신촌로터리의 신영극장을 찾았다. 극장 매점에서 크라운 산도 과자를 하나 사고 자리에 앉아 영화가 시작되기를 기다렸다. 영화가 시작됐다. 당시 인기 있던 아역 배우가 소년 김두한으로 등장한다. 행복한 가정에서 사랑받고 자라던 소년 김두한은 영문도 모르고 쓰나미처럼 밀어닥친 불행에 의해 고아가 돼 거리를 떠돌다 종로 수표교 다리 밑의 거지왕초 허장강에게 거둬진다. 세월이 흐르고 햇살이 쨍한 겨울의 어느 날 아침. 멀리 보이는 수표교 아래서 거지들이 아침 준비를 하고 있다. 카메라가 가까이 다가가면 20대 초반의 청년이 보인다. 청년은 입김이 풀풀 나오는 추운 날씨에도 아랑곳없이 웃통을 벗어 맨살을 드러낸 채 운동을 하고 있다. 몇 해 전, 굶주린 배를 부여잡고 수표교 다리 밑으로 흘러들어온 고아 소년 김두한이 성장한 것이다.

짙은 눈썹과 부리부리한 눈에 곰처럼 두터운 가슴. 아직 애송이 티를 벗지는 못했지만 싱싱하다. 청년은 그를 눈여겨보던 건달 이대엽에 의해 출생의 비밀을 알게 된다. 자신이 왜 거리로 쫓겨나 이 수표교 다리까지 왔는지. 청년 김두한의 아버지는 청산리 대첩의 명장. 그는 바로 김좌진 장군의 아들이었던 것이다. 자신의 아버지와 불행의 근원이 일본 제국주의라는 것을 안 청년 김두한은 서서히 변화한다. “나는 수표교 다리 밑의 거지새끼가 아니라 장군의 아들이다.” 아직 나이는 어리지만 김두한은 과묵해지고, 매사에 신중해진다. 청년 김두한의 가슴속에 자신이 해야 할 일이 새겨진다. 비록 거지새끼지만, 아버지가 그랬듯 뭔가를 해야 한다고. 그래서 그는 가난하고 약한 사람을 괴롭히는 일본인 야쿠자들로부터 방패막이 될 것을 결심한다. 일본인 야쿠자와 일전을 치르면서 그의 싸움 실력이 보통이 아니란 것이 알려지고. 청년 김두한은 신마적과 종로를 놓고 패권을 다투는 우두머리가 된다. 하지만 검은 그림자가 그의 뒤를 따르기 시작한다. 일본 고등계 형사의 독사 같은 눈길이다.

영화의 클라이맥스. 일본인 야쿠자가 보낸 자객에 의해 수표교 다리 밑 생활 때부터 죽마고우였던 친구가 죽자 김두한의 분노는 폭발한다. 호랑이 같은 두 눈이 붉어지고, 훤한 이마에 핏줄이 곤두선다. 새로 단장한 하얀 양복을 입고 일본 야쿠자와 대결하기 위해 종로 거리를 걷는 김두한. 이쯤에서 영화를 보던 나는 두 손을 들어 박수를 쳤다. 당시 초등학교 고학년생이던 나는 영화를 보며 주인공이 악당에게 이기거나 뭔가 큰 결심을 위해 일어설 때 관객이 박수 치는 것을 아주 창피한 행동이라 깔보고 있었다. 게다가 유치한 한국 액션 영화를 보고 박수를 치다니. 당시 한국 영화를 보던 관객의 최고 쿨한 행동은 끝나기 10분 전쯤 “알았어. 라스트는 안 봐도 뻔하다고!”를 마음속으로 외치며 벌떡 일어나 극장 문을 박차고 나가는 것이었다. 그런 내가 청년 김두한이 일본인 악당과 대결하기 위해 거리로 나서는데 박수를 치다니. 이런 귀신이 곡할 노릇이 있나! 영화가 끝난 뒤 극장 문을 열고 나서면서 내가 외친 탄성은 “우와 재미있다!”였다. 이렇게 주인공에게 감정이입해서 한국 액션 영화를 본 경우가 그때까지 거의 없었다. ‘실록 김두한’은 ‘황야의 7인’이나 알랭 들롱의 프렌치 누아르, 이소룡과 왕우의 홍콩 액션 영화만큼의 몰입도가 있었다.

영웅의 탄생

당시 나는 한국 액션 영화를 보면서 주인공에게 몰입하는 경우가 별로 없었다. 할리우드 영화나 홍콩 영화와 비교할 때 몰입을 방해하는, 부족하고 민망한 장면이 끊임없이 튀어나왔기 때문이다, 당시 최고의 한국 액션 영화 중 하나였던 챠리 셸 주연의 태권도 영화들 역시 어디지 모르게 엉성하고, 홍콩 영화에서 본 듯한 줄거리가 나와 김이 새고, 더구나 주인공의 카리스마가 나를 압도하지는 않았지만 발차기가 좀 남다르게 멋있으니, 하며 보았다. 그런데 처음 본 저 배우. 이대근에게 나는 완전히 몰입했고, 영화 처음에는 애송이 같고 뭔가 불만족스럽던 그에게 점점 압도당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 이야기가 홍콩 영화나 할리우드 영화를 흉내 낸 것이 아니라 뭔가 새로웠다. 물론 ‘실록 김두한’이 대단히 잘 만든 걸작이라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복수가 주된 골격인 당시의 한국 액션 영화와는 달랐다. 주인공이 쏟아내는 격한 감정에 동화될 수 있는 독특하고 설득력 있는 이야기가 있었다.

1/4
오승욱│영화감독 dookb@naver.com
목록 닫기

라스트 액션 히어로 이대근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