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최영철 기자의 건강萬事

누구도 말하지 않는 합성비타민의 진실

비타500은 과연 ‘착한’ 드링크인가?

  • 최영철 기자│ ftdog@donga.com

누구도 말하지 않는 합성비타민의 진실

1/3
누구도 말하지 않는 합성비타민의 진실

국민 여동생 문근영이 나오는 비타500 광고. 제약사의 영양제도 합성비타민을 쓰기는 마찬가지다.

‘왜 몸에 착한지 어떤 성분이 착한지 들여다보지 않아도 사람들은 잘 안다. 몸 생각하면 착한 드링크 비타 500.’

한때 박카스의 아성을 무너뜨리며 드링크류의 최강자 자리를 차지했던 광동제약 비타500의 TV CF 가을편의 내용이다. 국민 여동생 문근영이 ‘착한’ 표정으로 이런 대사를 읊는 동안 자막에는 ‘비타민 C 500mg, 비타민 B2 13mg, 무카페인, 무방부제 무색소 착한 드링크 비타 500’이란 문구가 스치듯 지나간다.

‘착한 드링크’라는 말은 광동제약이 TV광고에서 처음 쓴 말이다. 다른 비타민 음료가 대개 그렇듯 비타500도 건강기능식품이다. 식품으로서의 비타500은 과연 몸에 얼마나 착한 것일까. 광동제약은 ‘들여다보지 않아도 잘 안다’는 CF 문구와 달리 비타500의 어떤 점이 착한지 구체적으로 적시하지 않았다. 비타민이 들어가 있다는 사실만으로 착하다고 했을 리는 만무할 터. 비타500의 비타민C가 다른 비타민보다 더 좋다는 언급도 없다.

비타500이 착하다는 근거는 도대체 뭘까. 광동제약이 이에 대해 밝히지 않으니 일반적인 잣대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 그 답은 인공적 요소의 가미 여부다. 우리 땅에서 자란 순수 천연재료로 만든 음식에 ‘착한’이란 말을 붙이는 데 이의를 달 사람은 없다. ‘화학’ ‘인공’ ‘합성’이란 말만 들어가도 일단 고개를 가로젓는 게 국민 정서이기 때문이다. 세간의 화제인 채널A ‘이영돈 PD의 먹거리 X파일’이 선정하는 ‘착한 식당’의 첫 번째 기준도 화학조미료(MSG·글루탐산나트륨)를 쓰는지 여부다.

알고 보면 중국산 합성비타민



과연 비타500에는 인공적 요소가 전혀 가미되지 않았을까. 비타500에 들어간 비타민 C와 비타민 B2는 공장에서 생화학적으로 만들어낸 중국산 합성비타민이다. 합성비타민 C는 주로 감자나 옥수수 녹말에 박테리아(초산균)를 넣어 생성된 석유화합물을 다시 전기화학적으로 분해해 만든다. 이때 석유는 원유(原油)를 의미하는지는 않는다. 원유가 동식물이 썩어 만들어진 유기체라는 점, 화학식이 비슷하다는 점에선 유사성이 있지만 어쨌든 우리가 쓰는 석유와는 형상이 다르다.

합성비타민 C는 알고 보면 발견된 지 90년도 안 된 물질이다. 1928년 소의 부신피질로부터 추출됐는데 헝가리 출신 미국 생화학자인 알베르트 기요르기는 1937년 합성비타민 C를 만든 공로로 노벨상을 수상했다. 화학명은 아스코르빈산(C6H8O6). 발견 당시에는 잇몸과 코 등에서 피가 나는 괴혈병 치료제로 쓰였다. 결국 아스코르빈산은 세균과 전기화학적 방법을 이용해 탄소와 수소 산소를 천연비타민의 화학식처럼 결합시킨 인공물질일 뿐이다. 아스코르빈산은 물과 만나면 강한 산성을 띠기 때문에 빈속에 먹으면 위벽을 갉아먹거나 염증을 일으킨다. 비타민 C 영양제를 음식과 함께 먹으라고 권유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최근 들어서는 세균(에르위니아 헤르비콜라균)의 유전자를 조작해 만들어진 합성비타민 C가 개발돼 이목을 끌고 있다. 미국 제약업체들이 개발한 에르위니아균의 유전자 변이체는 며칠씩 걸리는 합성비타민 제조의 복잡한 단계를 단 2시간으로 단축함으로써 비타민 원료가격을 폭락시켰다. 이미 유럽지역에는 유전자 조작 아스코르빈산이 대거 유입되고 있지만 한국에선 확인할 길이 없다. 각 회사가 밝히길 원치 않기 때문이다. 식품과 약품 모두 유전자 조작 여부 등의 법상 표기 의무는 없다.

신체 에너지 대사와 뇌신경물질 효소에 관계해 임산부와 태아에게 좋다고 알려진 비타민 B2는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 질병(결막염)을 일으키거나 독성이 있을 수 있는 박테리아(고초균)에 포도당을 먹여 화학적으로 만들어낸 합성비타민이기 때문이다. 화학명은 리보플라빈. 제조사들은 고초균이 먹을 당분을 주로 박테리아 사료시장에서 구하는데 영국과 중국의 경우 이 사료를 음식물쓰레기 등에서 구하는 곳이 많다고 알려져 있다. 영국의 일부 비타민 B2 생산업체는 엄청나게 증가한 리보플라빈 소비량을 감당하지 못하자 고초균에 유전자조작을 단행해 생산량을 대폭 늘렸다. 고초균은 소화기관에 심각한 질병을 일으키는 2차 감염요소로 손꼽히고 있으며, 유전자 변이로 활동이 더 왕성해졌다면 이 고초균이 체내에 들어가 무슨 일을 벌일지는 아무도 알 수 없는 상황이다.

1/3
이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목록 닫기

누구도 말하지 않는 합성비타민의 진실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