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이벌 꺾어 기쁨 두 배”

“헤어스타일이 변해 그렇게 보이는 모양이다. 외국 생활을 하다보니 마음에 드는 미용실 찾기가 어렵다. 그래서 머리를 길렀는데, 주위의 반응이 좋아 계속 기르고 있다. 보톡스? 성형수술? 얼굴에 손 안 댔다. 100% 자연산이다, 하하.”
▼ 2011-2012시즌 유럽배구연맹(CEV) 챔피언스리그에서 페네르바체의 우승을 주도하며 MVP로 뽑혔고, 2013-2014시즌 CEV컵 대회에선 우승과 MVP를 거머쥐었다. 2014-2015시즌에는 리그 우승과 MVP를 차지했다. 터키 배구를 완전히 평정한 셈이다.
“무엇보다 페네르바체의 라이벌인 바키프방카를 물리치고 슈퍼컵 우승을 차지했다는 데 큰 의미를 둔다. 우리가 그 팀 탓에 우승하지 못한 적이 많아 기쁨이 두 배 더 컸다. 페네르바체 구단 관계자들, 감독, 선수들은 나를 외국인 선수가 아닌 자국 선수처럼 대한다. 그 점에서 다른 외국인 선수와 차이가 있는 것 같다. 지금은 한국에 와 있는 게 어색하고 터키에 머무는 게 마음 편할 만큼 그곳 생활에 적응했다.”
▼ 터키에서 오래 생활하다보니 한국을 거쳐 간 외국인 선수들을 리그에서 종종 만난다고 들었다.
“흥국생명에서 뛰던 엘리사 바실레바 선수가 지금 바키프방카에서 활약하고 있다. 바실레바와 슈퍼컵에서 맞붙기도 했다. GS칼텍스에서 활약한 베티, 흥국생명과 인연을 맺은 예르코바 미아 등을 터키 리그에서 다시 만났다. V리그 여자부에서 최고의 외국인 선수로 꼽힌 KGC인삼공사 출신의 몬타뇨는 지난 시즌부터 페네르바체 유니폼을 입고 한솥밥을 먹는다. 몬타뇨는 나보다 더 한국을 그리워한다. 김치찌개 먹고 싶다고 노래를 부르고, 박삼용 전 감독에 대한 그리움을 토로한다. 나도 터키에선 외국인 선수 신분이다보니 한국에서 뛰는 외국인 선수가 얼마나 힘들게 생활하는지 알게 됐다. 한국에 있을 때 외국인 선수를 좀 더 잘 챙겼어야 했다. 이렇게 외국에서 오래 생활하게 될지 누가 알았겠나.”
▼ 터키 리그는 어떤 무대인가. 리그와 잘 맞는 것 같다.
“터키 리그는 유럽에서 손꼽히는 수준 높은 리그다. 운동량이 많아 힘들긴 하지만 그것말고는 120% 만족한다. 외국인 선수한테는 모든 게 ‘스페셜’이다. 터키는 주식이 빵이 아니고 밥이다. 돈 많이 주기로 소문난 러시아 리그는 날씨가 추워 생활하기 어렵지만 터키는 의식주 문화가 우리와 비슷하다.”
▼ 아시아권 출신이라는 이유로 차별받거나 무시당한 경험은 없나.
“러시아 리그는 동양 선수에 대한 차별이 심하다고 하던데, 터키는 그렇지 않았다. 페네르바체는 내게 팀 이상의 의미가 있다. 일본에서 진로를 모색할 때 유럽으로 진출할 수 있게끔 손을 내밀어줬고, 흥국생명과 이적 문제로 오랫동안 갈등을 빚을 때도 나를 지지하고 격려하며 기다려줬다. 김연경이란 선수를 그 자체로 인정하는 그들에게 감동했다.”
▼ 페네르바체와의 계약 기간이 내년 5월까지인 것으로 안다. 터키 리그에 남을 생각인가.
“지금 그 문제로 고민에 빠져 있다. 사실 이번 슈퍼컵 우승으로 내가 터키 리그에서 4년을 뛰며 이룰 건 다 이뤘다. 9월부터 시작하는 리그가 페네르바체와의 계약 마지막 시즌이다. 어떤 선택을 해야 할지 깊이 생각해봐야 한다. 아직은 답을 못 얻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