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권말부록 | 2018 평창, 그리고 미래

“성공도 국민의 성공 실패도 국민의 실패”

Interview - 조양호 2018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장

  • 엄상현 기자 | gangpen@donga.com

“성공도 국민의 성공 실패도 국민의 실패”

2/2
“성공도 국민의 성공 실패도 국민의 실패”
▼ 동계올림픽 개최지로서 강원도 평창의 매력은 어떤 것입니까.

“군(郡) 전체가 하나의 거대한 관광단지로 볼 수 있을 정도로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췄죠. 그래서 ‘한국의 알프스’라고 부르는 것 아닙니까. IOC나 국제경기연맹 인사들도 극찬합니다. 문제는 교통과 숙박시설, 음식점 서비스 등에서 경쟁력을 얼마나 갖추느냐죠.”

▼ 지금 상황에서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를 수 있을까요.

“먼저, ‘흑자 올림픽’에 대한 정의부터 다시 해야 합니다. 1988년 서울올림픽 때는 조직위가 부동산으로 잔뜩 돈을 벌었는데, 말이 후원이지 사실상 기업들로부터 강제로 뺏은 거죠. 그 돈으로 실컷 쓰다 남으니까 흑자라고 한 겁니다. 그건 아니지 않습니까. 우리가 이야기하는 흑자 올림픽이라는 것은 올림픽을 치르고 10년, 20년 이후를 보면서 그 유산이 투자 가치가 있었느냐를 따지는 것이거든요.

평창올림픽 예산 13조 원 중에서 조직위 운영자금은 2조 원 정도이고 대부분 강원도 개발을 위한 예산인데, 장기적으로 지역 균형 발전의 효과가 얼마나 나는지를 봐야 해요. 지금까지는 강원도에 관광객이 많았지만 앞으로는 불편하면 우리나라 사람들도 안 갑니다. 일본이나 동남아, 유럽 등 해외로 나가죠. 이제 전 세계가 경쟁체제에 돌입했어요. 이번 올림픽을 통해 스포츠 시설은 물론 호텔 및 숙박, 서비스, 위생시설 등의 기반을 닦아 내국인뿐 아니라 외국인이 강원도를 찾아오도록 만드는 게 흑자 올림픽이라고 저는 봅니다.”



▼ 그런 걸 언제쯤 평가할 수 있을까요.

“2018년 3월 올림픽 직후에 수지타산을 따지면 안 됩니다. 그때는 적자일 게 뻔하거든요. 최소한 2020년이 지나야지 어느 정도 평가가 가능할 거라고 봐요.”



“대한민국을 보여줘야”

▼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야 합니까.

“위생 상태는 둘째치고, 지금 강원도 음식점 메뉴판을 보면 다 우리말로만 돼 있고, 아무런 설명도 없어요. 종업원이 외국어를 잘하는 것도 아니고. 그래서 지금 강원도와 협의 중입니다. 음식을 사진으로 찍어 각국 언어로 다 설명해주고, 대화가 안 되더라도 소통할 수 있도록 각국 언어로 카드를 만들어서 사용하는 방법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위생 점검 기준 수준도 좀 더 올리고 ‘추천 식당’을 선정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에요. 강원도가 성공하면 전국적으로 다 그렇게 하도록 해야죠.”

▼ 정부가 기치로 내세운 것이 ‘문화올림픽’입니다.

“평창만 보여주면 안 돼요. 대한민국을 보여줘야죠. 뭘 보여줘야 하느냐는 다 같이 고민해야 할 부분이에요. 우리가 보여주고 싶은 문화가 아니라, 외국인이 관심 갖는 한국 문화를 찾아 보여줘야 합니다. 그래야 그 문화가 공감을 얻을 수 있고 그 외국인에게 전파될 수 있거든요.

우리 문화는 굉장히 풍부해요. 제가 한·불 수교 130주년 기념(‘한·불 교류의 해’ 양국 공동조직위원회) 한국 측 위원장인데, 양국에서 200개 넘는 이벤트가 진행 중이에요. 프랑스 각 지역에서 우리나라 문화행사를 100개 이상 하거든요. 전부 프랑스 쪽 전문가들이 직접 보고 골라간 거예요. 우리 문화 전문가와 외국 문화 전문가들이 협력해 전 세계 누구나 공감하는 문화를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평창올림픽 관전법

▼ 조직위원장을 맡은 지 1년 3개월이 지났는데, 가장 힘들었던 일을 꼽는다면?

“올림픽 준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방법을 찾아 해결하면 돼요. 문제는 평창올림픽 유치 당시와 비교할 때 국민의 관심이 무척 저조하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방법을 고민 중이에요. 사실 올림픽 때도 가장 걱정되는 게, 우리 선수들이 금메달을 못 따면 국민의 관심이 낮아지지 않을까 하는 거예요. 그러면 흥행에 크게 실패할 수도 있거든요. 우리 선수가 출전하지 않아도 국민이 즐길 수 있도록 컬링이라든지 생소한 동계올림픽 종목 ‘관전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장애인올림픽(패럴림픽)도 매우 중요합니다. 스포츠 선진국이 되려면 장애인올림픽이 성공해야 하는데, 지금까지 우리는 실패했어요. 인천아시아경기대회 때도 그랬고. 그건 조직위만으로 되는 일이 아니에요. 우리 국민의 의식구조가 바뀌어야 하는 거죠. 그건 국민의 책임이 큽니다. 성공도 국민의 성공이고, 실패도 국민의 실패예요. 스포츠 강국에서 스포츠 선진국으로 나아갈 수 있는 계기로 삼아야 합니다.”

▼ 성공적인 올림픽을 위해 지금 이 시점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평창올림픽은 강원도 체전이 아닙니다. 지역이기주의를 버려야 해요. 강원도는 불평할 게 아니라 감사해야 해요. 경제적으로 수지타산을 따지면 고속철도가 강릉까지 깔릴 수 없는데 올림픽 때문에 그게 가능해진 거잖아요. 그러면 어떻게 협력할 것이냐를 먼저 생각해야지, 왜 강원도 사람에게 공사를 맡기지 않느냐를 따질 게 아니거든요. 철도청도 그래요. 올림픽을 위해 공사를 먼저 해주고 나서 따질 걸 따져야 하는데, 국가적인 행사라는 의식이나 이해가 굉장히 부족한 것 같아요.

조직위에 다 맡겨놓고 ‘뭐가 잘못됐다’ 훈수만 둘 게 아니라 뭔가 작품을 만들 수 있도록 다 같이 노력해야 해요. 너무 부정적인 분위기로 흐르다보니 다른 지역에서는 관심이 없는 것도 큰 문제인데, 그걸 바꾸는 게 앞으로 조직위가 해야 할 일입니다. 언론의 협조가 필요합니다.”

신동아 2015년 11월호

2/2
엄상현 기자 | gangpen@donga.com
목록 닫기

“성공도 국민의 성공 실패도 국민의 실패”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