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1월호

지식커뮤니티 Book치고 ; 장강명의 ‘산 자들’을 읽고

마분지로 만든 배

회색지대의 노동소설

  • 송지민 웅진씽크빅 도서개발실 연구원·Book치고 2기

    .

    입력2019-10-31 14:08:2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 책은 찰(察)이다. 남을 관찰(觀察)하고, 나를 성찰(省察)하며, 세상을 통찰(洞察)하는 도구여서다. 찰과 찰이 모여 지식과 교양을 잉태한다. 덕분에 찰나의 ‘책 수다’가 묘한 지적 쾌감을 제공한다. 정작 살다보면 이 쾌감을 충족하기가 녹록지 않다. 이에 창간 88주년을 맞는 국내 최고 권위의 시사 종합지 ‘신동아’가 ‘지식커뮤니티 Book치고’를 만들었다. 회원들은 한 시즌(4개월)간 월 1회 씩 책 한 권을 고재석 기자와 함께 읽는다. [편집자 주]
     ‘그녀는 자신들이 마분지로 만든 배를 타고 강을 건너고 있다고 생각했다. 무사히 강기슭에 이를 가능성은 거의 없었다.’ 

    장강명의 ‘산 자들’ 중 ‘현수동 빵집 삼국지’에서 ‘힐스테이트 빵집’의 할머니가 생각한 자신의 처지다. 나는 이 책에 나온 모든 주인공의 처지를 위의 문장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월 165만 원으로 존재가치가 매겨지는 아르바이트생, 이윤을 내지 못해 존재 자체가 사라진 사외보, 동네에서 의자 뺏기 싸움을 하는 빵집들, 한 번의 실수로 시험에서 낙방한 아나운서 지망생 등. 이네들의 이야기는 지금 내 옆에서 벌어지는 현실 그 자체다. 

    소설에는 주인공이 있다. 그에 이입해 응원 혹은 분노하거나 기쁨을 느끼기 마련이다. 이 소설을 읽을 때는 그럴 수 없었다. 대체 주인공은 누구인가. 나는 누구에게 감정을 이입해야 하는가. 섣불리 판단할 수 없었다. 

    ‘알바생 자르기’에서 회사에 소속감이 없으니 성실한 근태를 보이지 않는 아르바이트 생도 이해가 됐고, 그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과장(은영) 입장도 이해가 됐다. ‘현수동 빵집 삼국지’에서 다른 가게를 헐뜯는 세 빵집의 입장이 모두 이해됐다. 책의 모든 등장인물은 개개인의 팍팍한 삶을 빚어낸 사회구조의 희생자이자 ‘자본주의, 신자유주의, 승자독식주의’를 전면에 내세운 시스템의 을인 셈이다. 이들이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당장의 생존을 위해 내 앞의 다른 을(乙)을 공격하니 안타까웠다. 마치 영화 ‘기생충’에서 기택(송강호 분)네 가족과 문광(이정은 분)네 가족이 지하실에서 벌인 개싸움을 볼 때처럼. 

    당장의 전투에서 승리한들 생존 전쟁이 끝난 것은 아니다. 마분지 배를 강철 배로 바꾸지 않는 이상 고단한 현실 속으로 계속 가라앉을 뿐이다. 올라탄 배를 강철로 바꾸기 위해서는 먹고살기 어렵게 만드는 구조를 되돌아보는 수밖에 없다. 



    ‘내 삶이 벼랑 끝으로 내몰린 게 내 탓인가? 나의 경쟁자 때문인가? 내가 살고 있는 판이 잘못 짜인 것은 아닐까? 같이 잘살기 위해서는 무엇을 시도해야 하는가?’ 이와 같은 질문을 계속 던지고 답을 찾기 위한 노력에 나서야 한다. 

    노력이 실천으로 연결되려면 내 이웃과 주변에 대한 이해와 공감이 선행돼야 할 것이다. 장강명의 말처럼 ‘공감 없는 이해는 자주 잔인해지고, 이해가 결여된 공감은 공허해’지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산 자들’은 눈뜨고 있어도 보이지 않는 내 주변 삶에 시선을 건넬 수 있는 좋은 자극제가 됐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