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면 KT 민영화에 대해 정통부가 그리고 있는 그림은 무엇일까.
정통부 관계자는 “직접 방안을 만들지 않는다는 것이 기본 입장”이라고 답했다. 원칙은 제시하되 주관 증권사가 개발한 방법에 의거해 매각을 진행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JP 모건·LG증권·현대증권·대신증권 등 국내외 4개 증권사가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돼 있다. 외국사를 포함시킨 것은, 선진 기법을 구사하는 데는 아무래도 외국사가 앞서며, 국내업체들과의 선의의 경쟁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서다. 3월중 주관사를 확정해, 4~5월 소유지배구조를 정하고, 5~6월 국내 매각 방법을 결정·시행한다는 것이 정통부의 계획이다.
정통부 관계자는 “기업간 지분 참여의 ‘황금률’을 도출해내기 위해 인위적인 조정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다. 특정사가 15%를 가져가는 것 또한 문제될 것이 없다. 다만 SK텔레콤, LG텔레콤 등 같은 통신서비스업체가 (15%를) 가져가는 것은 안된다. 공정거래법에도 위배될 뿐더러, 정통부가 추진중인 KT-SK-LG의 3강구도 재편에도 정면으로 배치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의 참여에 대해서는 “공정거래법상의 문제는 없다. 아이디어는 있으나 확정된 방침이라고는 할 수 없다”고 했다.
관련 업체라 할지라도 컨소시엄 구성을 통한 참여는 허용할 방침이다. 그러나 관련사업자가 컨소시엄의 최대주주가 되는 것은 위험하다는 지적이다. 경영 불참을 조건으로 업무 제휴를 통해 매각하는 방법도 고려대상이다. 이 관계자는 또 “15%는 몇몇 대기업이 나눠 가져가고 나머지 13% 정도는 EB 발행, 기관투자가 및 개인투자자의 참여 등으로 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EB를 발행하면 1조~2조원은 해결 가능하리라는 것이다. 소유지배구조에 관해서는 “민영화 이후에는 간섭하지 않을 것이고 또 간섭할 명분도 없다”고 강조했다.
정통부 관계자의 말에서도 알 수 있듯 주식매각 방법 및 소유지배구조에 대해서는 아직 확정된 안이 없다. 그러나 정통부, KT, 관련 업체 및 애널리스트들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크게 세 가지 시나리오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첫째는 특정사가 15%의 지분을 매입, 향후 1대주주로 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다. 둘째로는 여러 대기업이 골고루 지분을 나눠 갖는 상황을 상정할 수 있다. 셋째는, KT가 자사주 매입을 통해 물량 부담을 10% 정도 덜어내고 나머지를 매각하는 방식이다. 세 방안 모두 잔여분은 EB 발행 및 기관·일반 투자자의 참여로 해결하게 될 듯 하다.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