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제자 복’ ‘술 복’ ‘화초 복’ 3복이 많았다고 생애를 행복해 했던 시조시인 가람 이병기 선생은 우리 시대의 마지막 선비 중 한 분. 익산 전주로 가는 행로에서 손쉽게 그이를 만날 수 있음은 ‘길 복’이 됨직도 하다.
호남고속도로 익산 인터체인지를 나와 시내를 향해 10여 분 달리면 여산으로 가는 갈림길을 만날 수 있다. 왕궁저수지를 거쳐 가는 그 길은 부드러운 구릉과 정겨운 동리가 이어져서 마음에 성가신 바가 없다. 갈림길에서 6㎞쯤, 그 정도 운전이면 된다. 여산이 아직 먼데 길가에 ‘가람 이병기 생가’라는 표지판이 나타난다. 여기가 논산군 여산면 원수리다.
마을 골목길을 조금 걷다보면 머지않아 단정하면서도 기품 있는 초가 채가 손님을 맞는다. 수우재(守愚齋). 가람의 집이다. ‘어리석음을 지키며 사는 집’이란 옥호(屋號)도 옛 선비들이 하던 통상의 작명법을 좇은 것이다. 1891년, 가람은 이 집에서 태어났고 1968년 이 집에서 눈을 감았다.
가람 이병기 생가의 난초 향
집 안으로 들면 먼저 ‘초가집도 이렇게 품위가 있을 수 있구나’ 놀랄 정도로 집의 모양새와 배치 그 가꿈이 남다르다. ‘一자형’의 사랑채, 그 옆의 고방채, 마당 안쪽의 기역자 안채 그리고 작은 연못을 두고 선 억새 지붕의 정자. 어느 것 하나 예쁘고 정갈스럽지 않은 것이 없다. ‘조선 말기 선비 집안의 집 모양을 따랐다’는 설명을 얻을 필요 없이 담백한 선비의 생활상을 그대로 엿볼 수 있는 아름다운 집이다. 크지 않으면서도 옹색한 바가 없고 꾸민 바 없으면서도 절로 꾸며진 집이기 때문이다. 맷돌이 놓인 조붓한 마당을 지나 안채를 돌아들면 윤기 나는 장독들이 햇살을 퉁기고 집을 두른 대밭의 댓잎들이 콩알 쏟아내듯 청명한 바람소리를 전한다. 연못가의 오래된 산수유와 배롱나무들도 옛 주인의 여유와 멋을 자랑하는 듯싶다.
잠시, 볕 좋은 사랑채 좁은 툇마루에 앉아 바람소리를 듣고 있노라면 어느 가을 밤 술 한 잔을 반주로 한 시인이 읊었을 시구마저 절로 떠오른다.
바람이 서늘도 하여 뜰 앞에 나섰더니
서산머리에 하늘은 구름을 벗어나고
산뜻한 초사흘 달이 별과 함께
나오더라
달은 넘어가고 별만 서로 반짝인다
저 별은 뉘 별이며 내 별 또한
어느 게오
잠자코 호올로 서서 별을 헤어 보노라
- 가람 이병기 시 ‘별’ 전문
이 시는 전주의 다가공원에 서 있는 시비에, 그리고 가람이 다닌 여산 남초등학교 교정에 세워진 시비에도 적혀 있다. 곱고 맑지 않은가. 자칫 유치할 수도 있는 바를 여백의 미와 의도적인 무심으로 헌칠하게 극복하는 솜씨가 놀랍다. 난초를 시로 제대로 읊자면 시인 자신이 난초의 향과 맑음을 지니지 않으면 안 된다는 말이 있다. 시가 곧 사람임은 가람의 여타 시조들을 통해서도 쉬 깨닫는 바다.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