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말보로 vs 스티리아

여름 저녁 만찬을 위한 최고의 와인

말보로 vs 스티리아

1/3
  • 소비뇽 블랑은 여름철 무더위를 한잔에 날려주는 새콤하고 상큼한 와인으로 손꼽힌다. ‘반지의 제왕’의 나라 뉴질랜드의 말보로와 유럽 문화의 중심지인 오스트리아 그라츠의 스티리아는 이 소비뇽 블랑의 대표적인 산지다.
  • 상큼한 소비뇽 블랑의 맛은 엇비슷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말보로와 스티리아는 뉴질랜드와 오스트리아의 물리적 거리만큼이나 판이한 와인이다.
말보로 vs 스티리아

오스트리아 스티리아 치렉 포도밭.

소비뇽 블랑은 언제 어디서나 어울리는 맛의 와인이다. 그렇다면 현명한 소비자는 뉴질랜드의 말보로와 오스트리아의 스티리아, 이 두 가지 소비뇽 블랑 중 어느 것을 택할까.

투명하고 순수한 소비뇽 블랑의 매력은 특유의 새콤함과 상큼함에 있다. 소비뇽 블랑의 원산지는 프랑스 루아르 지역이지만, 대량 생산으로 가격이 저렴한 뉴질랜드 말보로 지역이 그 대안으로 꼽힌다. 그러나 최근 들어 오스트리아의 스티리아가 새로운 소비뇽 블랑의 산지로 떠오르고 있다. 소비뇽 블랑의 굳건한 1인자는 역시 루아르 지역이다. 2인자 자리를 놓고 세계시장에서 경쟁을 벌이는 말보로와 스티리아의 현 주소를 찾아가본다. 과연 말보로가 절대왕좌를 차지할 것인가, 아니면 스티리아가 루아르의 정통성을 물려받을 것인가.

왜 소비뇽 블랑인가

소비뇽 블랑은 어떤 청포도일까. 1910년판 ‘포도품종학’의 공저자인 미셸 카조-카자레(Michel Cazeaux-Cazalet)는 소비뇽 블랑의 특징을 아래와 같이 정리했다. “소비뇽 블랑의 아로마는 아주 독특해서 다른 품종과 혼동될 수가 없다. 그것은 바닐라의 아로마와 뮈스카 포도의 아로마와 비교된다. 소비뇽 블랑으로 만든 와인은 단일한 맛을 가진다.”

소비자가 열광하는 이유는 소비뇽 블랑의 다채로운 맛에 있다. 보르도 대학의 드니 뒤부르디외(Denis Dubourdieu) 교수는 “소비뇽 블랑의 맛은 자몽, 유칼립투스, 패션프루츠, 토마토 잎, 구즈베리, 구아바, 흰 복숭아, 아스파라거스 수프, 아카시아 꽃을 연상시킨다. 병에서 몇 년 숙성되면 좀 더 고급스러운 맛이 나는데 약간 연기 냄새가 나며, 부싯돌 느낌이 있고, 어떨 때에는 트뤼플 향내가 있다”고 한 세미나에서 발표했다. 좀 쉽게 표현하자면 소비뇽 블랑의 맛은 풀맛이요, 잔디나 풀을 벤 후에 풍기는 식물성 향이다. 시퍼런 풋사과의 상큼함도 있고, 자몽이나 귤의 신맛도 있다. 오크 숙성한 소비뇽 블랑은 특유의 바닐라 향기가 버무려져 풍성한 질감 가운데 크림 같은 기름진 맛도 난다.



프랑스 와인에는 프랑스의 인문학적 요소가 깃들어 있지만, 신생국가들의 와인은 그렇지 않다. 뉴질랜드산 와인에는 이 나라가 자랑하는 천혜의 자연환경이 통째로 녹아있다. 아무도 건드리지 않은 자연의 원초성, 뉴질랜드의 개성은 이러한 자연에서 나온다. 뉴질랜드의 국조(國鳥)는 ‘키-위-’하고 운다는 키위새다. 오직 뉴질랜드에만 산다는 키위새의 이름을 따라 우리는 뉴질랜드 사람들을 키위라고 부른다. 특이한 동식물 군락을 잉태한 지리학적 특징은 와인까지 개성 강하게 만들었다. 오늘날 수많은 와인 가운데 총체적으로 봐서 뉴질랜드 와인만큼 확실한 이미지를 지닌 종류는 없다. 뉴질랜드 와인은 한마디로 특유의 신맛이 활기를 띠는 와인이다.

뉴질랜드는 영화 ‘반지의 제왕’으로 우리에게 다가왔지만, 따지고 보면 일찌감치 소비뇽 블랑으로 전세계에 확실하게 알려졌다. 그리고 소비뇽 블랑은 다른 곳이 아닌 말보로 지역에서 맨 먼저 재배됐다. 강력한 담배 브랜드 말보로처럼 말보로 지역은 소비자를 소비뇽 블랑에 중독되게 만들었다. 와인전문가 오즈 클라크(Oz Clarke)는 “뉴질랜드 소비뇽 블랑은 이전의 어떤 와인도 하지 못한 일을 해냈다. 그것은 전세계에 충격을 주면서 등장한 것이다”라고 말했다.

소비자를 중독시키는 맛, 말보로

뉴질랜드 와인 경작지의 절반이 말보로에 있다. 가장 큰 규모의 와인 산지인 말보로는 뉴질랜드 남섬의 북동쪽 끄트머리에 위치한다. 그 일대는 우리의 다도해 국립공원과 상하 대칭된다.

뉴질랜드 와인의 역사는 일천하지만 그 성과는 괄목할 만하다. 뉴질랜드 와인을 일찍부터 영국시장에 수입 유통한 존 애버리(John Avery MW)는 “뉴질랜드의 와인산업이 1970년대에 개시된 것은 경제적인 이유에서 찾을 수 있다. 1973년 영국이 유럽경제공동체에 가입함으로써 더 이상 영국과의 전통적인 교역 조건을 유지할 수 없게 된 뉴질랜드는 농업에서 타개책이 필요했다. 이에 뉴질랜드 정부는 와인산업으로 돌파구를 마련하려 했던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청운의 꿈을 품고 달려온 이민자들이 30년쯤 전부터 와인의 불모지를 본격적으로 개간하기 시작했다. 말보로에 처음 소비뇽 블랑을 심은 양조장은 거대 양조회사 몬태나(Montana)다. 미국 시장에서는 브란콧이라는 이름으로 팔린다. 미국의 몬태나주와 이름이 같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다른 이름을 지은 것이다. 몬태나의 최초 빈티지는 1979년. 그러나 정작 말보로 소비뇽 블랑의 우수성을 만방에 알린 이는 몬태나가 아니라 클라우디 베이 양조장이었다. 1985년 빈티지가 출시되면서부터 소비자는 말보로의 소비뇽 블랑을 뉴질랜드의 와인으로 인식하게끔 되었고, 클라우디 베이는 금방 베스트셀러가 되었으며 사반세기가 흐른 지금도 이 추세는 유지되고 있다.

말보로의 강력한 대안, 스티리아

뉴질랜드의 포도 재배 환경은 남다르다. 일조량이 풍부하고, 밤낮의 일교차가 크며, 가을비가 별로 없고, 배수가 잘되는 충적토에 자리 잡고 있다. 오늘날 뉴질랜드 와인은 날지 못하는 키위를 대신해 전세계를 날아다니는 효자 수출품이 되었다.

잰시스 로빈슨이 신참기자로 근무했던 월간지 ‘와인 앤 스피리트(Wine&Spirit)’가 2008년 보도한 바에 따르면, 말보로는 와인업계 종사자에게 질문한 원산지 인지도 평가에서 8위를 차지했다. 이는 샴페인, 보르도, 부르고뉴, 리오하, 캘리포니아, 코트뒤론, 샤블리 다음 가는 결과로 이탈리아의 모든 원산지를 능가하는 대단한 힘을 보인 것이다. 그 유명한 키얀티는 이 평가에서 말보로 다음 순위인 9위에 올랐다.

유럽 중심에 위치한 오스트리아는 화이트 와인의 수준이 세계적이다. 하지만 이는 와인전문가의 세계에나 통할 뿐, 일반 소비자는 오스트리아 와인을 거의 알지 못한다. 한국에서 오스트리아 와인을 수입하는 곳은 겨우 두 군데밖에 없다. 영국 와인전문 월간지 ‘디캔터’의 에이미 위스로키(Amy Wislocki)는 “세계의 와인 음용자들 대부분이 오스트리아 와인의 기쁨을 발견하지 못하는 것은 슬픈 일이다”라고 썼다.

1/3
조정용│와인평론가 고려대 강사 cliffcho@hanmail.net│
목록 닫기

말보로 vs 스티리아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