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해외 탄광 개척 · 로봇 채탄 기술로 성장동력 창출하겠다

대한석탄공사 이강후 사장

해외 탄광 개척 · 로봇 채탄 기술로 성장동력 창출하겠다

1/3
  • 한때 국가 경제를 견인하던 석탄은 어느덧 추억의 광물로 저만치 밀려났다.
  • 가스와 석유를 주요 에너지원 삼아 생활하다보니, 일상에서 석탄을 마주할 기회가 그만큼 줄었기 때문이다.
  • 지난해 창립 60주년을 맞은 대한석탄공사는 저탄소 녹색성장 시대에 발맞춰 석탄을 성장 잠재력을 갖춘 에너지로 부활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 석탄공사 이강후 사장을 만나 공사의 근황과 앞으로의 계획을 들어봤다.
해외 탄광 개척 · 로봇 채탄 기술로 성장동력 창출하겠다

● 1953년 강원 원주 출생<br>● 강원대 법학과 졸업<br> ● 고려대 대학원 박사(행정학)<br>● 산업자원부 무역조사실장<br>● 중소기업청 기획관리관<br>● 제17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전문위원<br>● 지식경제부 우정사업정보센터 센터장<br> ● 現 대한석탄공사 사장<br> ● 저서 : ‘한국의 벤처산업발전론’ ‘새로운 성장동력 대체에너지’

대한석탄공사 사장실에 들어서자마자 탁자 위 스마트폰이 눈에 들어왔다. 환갑을 앞둔 나이의 이강후(58) 사장이 직접 쓰는 물건이라고 했다. 스마트폰이 유독 낯설게 다가온 것은 이 사장의 나이도 나이거니와, 석탄의 낡은 이미지와 첨단 기기가 어울리지 않는다는 선입관 탓이었다.

“사람도, 기업도 경쟁력을 길러야죠. 전 스마트폰뿐 아니라 태블릿 PC도 사용합니다. 자판을 외워 문자도 굉장히 빨리 보낼 수 있고, 음원 사이트에서 좋아하는 음악을 다운로드해 듣기도 합니다.”

이 사장은 대한석탄공사가 60주년을 맞이한 지난해 4월 부임했다. 대한석탄공사는 60년 동안 약 1억8000만t의 무연탄을 생산해왔다. 지금은 강원 태백과 도계, 전남 화순의 3개 영업소에서 한 해 113만t의 무연탄을 생산하고 있다. 1988년을 기점으로 생산량이 감소세로 돌아서 20여 년 동안 10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경제발전의 버팀목 구실을 한 석탄산업이 쇠퇴 국면인데다, 공기업의 경영 합리화 요구가 거센 시기인지라 사장으로 부임하면서 부담이 컸을 것 같다.

“산업자원부 석탄산업과장을 하면서 석탄공사를 지켜봤고, 석탄산업에 대해 전문성도 키울 수 있었습니다. 부임해서 직접 부딪친 공사는 공기업 경영평가에서 하위를 기록한데다 직원들의 사기가 바닥에 떨어져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내부의 패배주의를 없애고 외부의 나쁜 인식을 바꾸는 게 최우선 과제였죠.”

꼴찌에서 2위로



▼ 사장으로 취임한 지 1년이 채 안 됐습니다. 그동안 방점을 찍고 추진해온 일은 무엇입니까?

“석탄공사의 주요 고객은 전국의 50여 연탄공장입니다. 취임 후 지난해 연말까지 연탄공장을 모두 순회했습니다. 고객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공장과 공사 간에 핫라인을 설치하는 등 적극적으로 소통하고자 노력했습니다. 연탄 성수기인 10월부터는 무연탄 수급상황실을 운영해 수급에 이상이 없도록 조치하기도 했습니다. 다행히 평가가 금세 달라졌습니다. 21개 공기업을 대상으로 한 고객만족도 조사에서 우리 공사가 만년 꼴찌였는데, 2010년에는 1위와 근소한 차이로 2등을 차지했습니다.”

▼ 조직 정비는 어떻게 했습니까? 조직을 바꾸는 건 쉬운 일이 아닙니다.

“석탄공사가 60년 된 공기업이기에 다소 보수적인 것이 사실입니다. 연공서열에 따라 평가받다보니, 긴장감이 떨어져 있기도 했습니다. 조직에 생동감을 불어넣으려면 인사제도를 손봐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지난해 12월 인사개혁을 단행해 직무 역량 중심의 선발 제도(Draft)를 도입했습니다. 1급이 맡던 간부 직위를 2급에서 선발하고, 1급 간부가 2급으로 내려가는 변화가 있었습니다. 파격적으로 4급 직원에게 실장을 맡기는 조치도 단행했습니다. 앞으로 인사평가에서 하위 5%에 든 저성과자에게는 역량을 강화할 기회를 제공한 후 미흡할 경우엔 퇴출할 방침입니다.”

▼ 직원들의 저항은 없습니까? 내부 소통은 어떻게 하고 있습니까?

“제가 와서 보니 우리 공사가 외부에서 생각하는 것처럼 방만한 공기업이 아니었습니다. 1차 산업에 종사하는 곳이어서 그런지, 사람들이 거짓이 없고 순수합니다. ‘성실한 직원들이 일하는 공기업’이라는 이미지를 단단히 심고자 매달 직원들에게 ‘청렴 메시지’를 보내고 있습니다. 직원들에게 강조하는 것은 ‘사장은 손님이고 직원이 주인’이라는 사실입니다. ‘저는 3년 임기를 마치면 떠나지만, 직원들은 계속 남아 있지 않나. 우리 공사는 국민의 기업이다’라는 말을 전하고 있습니다.”

▼ 석탄은 ‘낡았다’는 이미지를 갖고 있습니다. 젊은 세대는 석탄을 잘 모르죠. 석탄산업 현황은 어떻습니까?

“발전과 제철 분야에서 산업용 유연탄의 사용이 꾸준히 늘면서 연간 1억t의 석탄을 수입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중국, 일본 다음인 세계 3위의 석탄 수입국입니다. 석탄을 가진 나라는 에너지 보호 장벽을 높일 수가 있습니다. 국내 가정에서도 고유가로 인해 연탄 수요가 느는 추세입니다.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도 석탄산업은 여전히 중요합니다.”

1/3
김희연| 신동아 객원기자 foolfox@naver.com
목록 닫기

해외 탄광 개척 · 로봇 채탄 기술로 성장동력 창출하겠다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