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대기업 취직해도 20년 뒤에나 ‘본전’

자녀 사교육비 투자수익률은?

대기업 취직해도 20년 뒤에나 ‘본전’

1/2
대기업 취직해도 20년 뒤에나 ‘본전’
자식은 ‘정상재’인가. 경제학자들의 오랜 물음이다. 정상재란 소득이 증가할수록 수요가 늘어나는 재화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소득이 높아지면 쇠고기 수요가 늘고 돼지고기 수요가 줄어드는데, 이때 쇠고기는 정상재이고 돼지고기는 열등재에 해당한다.

자녀를 쇠고기나 돼지고기 같은 식재료와 동일선상에서 거론하는 경제학자들의 비인간적인 면모에 놀랄 수 있지만, 사실 우리도 일상적으로 자녀를 그런 수준에서 대하곤 한다. “결혼했나요?” “자녀는 있으신가요?” “몇 명인데요?” 하는 질문에는 상대방에 대한 경제력 테스트 의도가 숨어 있다. 특히 자녀가 몇 명이냐는 것은 경제력에 대한 간접적인 질문에 해당한다. “아들 둘에 딸 하나예요”란 대답에 거의 자동적으로 “부자시네요!”라고 반응한 경험이 한 번쯤은 있을 것이다. 이렇게 볼 때 현재 대한민국에서 자녀는 정상재임에 틀림없는 것 같다.

그런데 특기할 건 가계소득이 수십 년 전보다 분명 늘었음에도 출산율은 점차 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우리 모두가 잘 알 듯 초등학교 입학 후부터 부담해야 할 천문학적인 교육비 때문이다. 교육비는 우리 국민의 종족번식 욕구마저 힘없이 꺾어버려 세계에서 가장 낮은 출산율을 초래하기에 이르렀다.

과학고 사교육비 月 수백만 원?

대기업 취직해도 20년 뒤에나 ‘본전’
얼마 전 거래처 부장에게서 들은 얘기는 귀를 의심케 했다. 그 집 아이가 공부를 잘해 과학고에 입학했다는 소식을 듣고 축하 인사를 했다가 그의 남모를 걱정을 듣게 됐다. 아이의 교육비로 지출하는 돈이 한 달에 무려 몇 백만 원이란다. 국가가 운영하는 과학고는 공짜인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란다. 소정의 기숙사비를 제외하면 학교에 내는 돈은 그다지 많지 않지만, 금요일 저녁 학교에서 나오면 곧장 대치동으로 가 수학학원, 영어학원, 경시대회 준비를 위한 과학학원, 그리고 과학고 학생들만 모아 가르친다는 과학고 특별반까지 다닌다고 한다. 주말 내내 학원에 있으니 그 돈이 기백만 원이 된다는 것이다.



내가 ‘뭐 그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나’ 하는 기색을 보이자, 그는 “자네도 자식 크면 장담 못해” 하며 너무 놀라지 말라는 눈치를 줬다. 과학고의 장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라는 것이다. 학교에 왕따 문제도 없고, 재학생 대부분이 명문대나 의대에 진학해 장래 사회적 네트워크까지 탄탄해진다며 일장연설이 이어졌다. 그러면서도 그는 “노후 대비 용도로 마련한 연금이며 저축을 모조리 해지해야 할 판”이라며 한숨을 쉬었다. 그를 보며 요즘 유행하는 ‘에듀푸어(Edu Poor)’란 말이 떠올랐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가계적자에 시달리는 ‘에듀푸어’가 80만 가구가 넘는다고 한다. 심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흥미로운 것은 에듀푸어 가장(家長)의 전형적 유형이,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부르지만 실제로는 중산층의 평균소득에 약간 못 미치는 40대 대졸자’라는 점이다. 자신이 이루지 못한 일종의 한(恨)을 자녀교육을 통해 풀고자 하고, 자녀에게 높은 ‘스펙’을 물려주는 것을 부모의 도리로 여기는 계층이다. ‘말은 제주로 보내고 사람은 서울로 보내라’는 옛말이 있듯, 우리 민족의 높은 자녀 교육열이 경제성장의 원동력이 된 것을 부인할 수 없긴 하다.

문제는 이들의 노후다. 이제 ‘100세 시대’가 됐다. 버는 시간보다 쓰는 시간이 더 많아졌다. 돈을 많이 버는 시기에 저축하지 못하고 자녀 교육비로 몽땅 ‘탕진’하는 것은 엄청난 도박이다. 온갖 정성을 들여 자식에게 투자했지만 남는 게 하나도 없을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노후 대책 없는 부모는 자녀에게 원망을 사는 세상이다. 부모가 이렇게나 희생했는데 설마 자녀가 모른 척하겠나 하는 생각은 위험천만하다.

1/2
원재훈 │회계사 wjh2000p@hanmail.net
목록 닫기

대기업 취직해도 20년 뒤에나 ‘본전’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