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59년은 ‘대약진운동’이 절정에 달한 해다. 공업화 이전에 농업집단화부터 실현해야 한다는 마오쩌둥(毛澤東)의 주장에 따라 농촌을 인민공사로 재편한 이 운동이 실패로 귀결되고 자연재해까지 겹치면서 최소한 2000만명 이상이 굶어 죽은, 중국 현대사의 비극적 장면 중 하나다.
1969년은 홍위병을 앞세워 마오쩌둥의 노선에 반대하는 세력을 대대적으로 숙청한 ‘문화대혁명’이 절정에 달한 해다. 1979년은 당시 29세의 공원(工員)이던 웨이징성(魏京生)의 반(反)공산당 격문으로 유명한 ‘베이징(北京)의 봄’ 민주화운동 사건이 있었다. 그리고 주지하듯이, 1989년엔 중국 공산당을 집권 이래 최대 위기로 몰아넣은 톈안먼(天安門) 사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아홉수’의 싹을 잘라내고 싶었던 것일까. 1999년을 한 달 앞둔 1998년 11월30일 중국정부는 쉬원리(徐文立), 왕유차이(王有才), 천융민(秦永敏) 등 민주화운동가 10여 명을 일시에 체포구금했다. 쉬, 왕, 천은 이른바 ‘조당(組黨) 인사’로 1998년 6월 중국 최초의 야당인 ‘중국민주당’을 결성, 세계적으로 화제가 됐던 인물들이다.
이들에겐 구금 이후 가족 면회가 허용되지 않았고 변호인도 없는 상태에서 재판을 치러 11∼13년의 중형을 선고받았다. 죄명은 ‘국가전복기도 및 국가기밀누설죄.’ 재판은 채 한 달이 걸리지 않았으며 시종 삼엄한 경비속에서 취재진의 접근도 허용되지 않았다.
체포된 사람 중 쉬원리는 ‘체제전복세력’ 중국민주당의 주석(主席)으로 발표됐다. 중국 공산당의 입장에서 보면 ‘수괴(首魁)’인 셈이다. 그래서 쉬원리의 집은 체포 열흘 전 특별히 압수수색을 당했다. 중국민주당 관련문서는 물론 다수의 공산주의 비판 서적이 발각됐다. 구속을 각오한 쉬원리는 압수된 문건에 적힌 사람들에 대한 ‘정리작업’에 들어갔다. 전화와 인편을 통해 “빨리 몸을 피하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홍색 파쇼’의 저자, 쉬보
쉬원리의 메시지를 전달받은 사람 가운데 당시 37세의 청년이 있었다. 이름은 쉬보(徐波). 그는 가택수색이 있기 며칠 전 쉬원리에게 자신이 쓴 책의 원고를 맡겼다. 책 제목은 ‘홍색 파쇼(紅色法書斯).’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중국 공산당을 신랄하게 비판한 내용이다.
쉬원리는 그에게 전화를 걸어 “책에 이름이 쓰여 있지만 찾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니 그동안 중국을 떠나라”고 했다. 책 내용으로 볼 때 10년형은 족히 받을 것이라며 “당신은 젊으니 해외로 나가 중국의 인권상황을 세계에 알리라”는 말도 덧붙였다. 1998년 11월20일경이었다.
쉬보는 곧장 여권 발급신청을 했다. 중국에서 여권이 나오는 시간은 신청 후 대략 한 달 정도. 그동안 공안당국의 수사망은 좁혀질 것이다. 하루 빨리 여권이 나와야 할 텐데…. 40일이 지나도 여권이 나오지 않자 혹시 당국에서 자신을 이미 파악한 게 아닌가 걱정됐지만, 해를 넘겨 1999년 1월10일 기다리던 여권이 나왔다. 여권을 받자마자 급하게 짐을 챙긴 쉬보는 홍콩(香港)행 비행기에 올랐다. 가족에겐 잠깐 여행을 다녀오겠다는 말을 남겼다.
홍콩행 비행기 안에서 쉬보는 생각했다. 어느 나라로 갈까? 미국이나 유럽으로 가는 게 중국의 인권상황을 알리면서 해외에서 중국 민주화운동을 전개하기에 유리하다. 더구나 미국엔 중국 민주화운동의 대부(代父) 웨이징성 선생이 있다.
1979년 베이징의 봄 사건 이후 18년간 복역한 웨이징성은 현재 미국에 망명해 ‘해외중국민주연합(Overseas Chi nese Democracy Coalition, OCDC)’을 이끌고 있다. 유럽에도 민주화운동을 하다 망명한 사람이 많고, OCDC 지부도 몇 곳 있다.
그러나 미국과 유럽은 비자를 얻기 어렵다. 일단 제3국으로 가 망명을 신청한 다음 미국으로 가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렇다면 미국이나 유럽으로 갈 발판이 될 제3국으로 어디가 좋을까? 망명신청을 잘 받아들이는 나라여야 한다. 문득 호주가 난민 인정에 관대하다는 뉴스가 떠올랐다. 호주로 가자.
홍콩에 도착한 후 호주로 가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중국은 여행 법규상 개인의 독자적인 해외여행이 까다롭다. 집단으로 여행하는 팀에 끼어 해외로 나가는 게 수월하다. 10명이 채워져야 1개 팀이 된다. 그런데 이틀을 기다려도 호주 여행단은 10명이 채워지지 않았다. 거리에서 공안원을 보면 자기를 체포하러 오는 것 같아 불안하기만 했다. 내일이라도 당장 잡혀갈 판에 인원이 채워지길 기다린다는 게 무모해 보였다. 더구나 계절은 여행 비수기인 겨울이었다.
‘하루라도 빨리 중국을 떠나야 한다. 그렇다면 어느 나라로 갈 것인가?’
그때 쉬보의 눈에 띈 것이 한국으로 떠나는 여행단이었다. 여행사 깃발을 앞세우고 노란색 모자를 똑같이 쓴 모습이 활기차 보였다.
한국! 쉬보의 머릿속에 한국에 대한 영상이 흘러갔다. 민주화운동을 하다 박해받고 쫓기듯 미국으로 건너가 그곳에서도 민주화운동을 계속한 사람이 대통령으로 있는 나라, 전쟁으로 폐허가 된 땅 위에 반세기 만에 기적적인 경제성장과 정치민주화까지 이뤄낸 나라! 반세기동안 공산주의 국가와 대치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어느 나라보다 자유민주주의 정신이 투철한 나라일 것이란 생각도 들었다.
그렇다, 한국이다!
공항 내 여행사에 한국 여행 신청을 했다. 한국 여행단은 몇 시간 지나지 않아 인원이 채워졌다. 쉬보는 망설임 없이 한국행 비행기에 올랐다.
1999년 1월27일 쉬보의 중국 집은 가택수색을 당했다. 쉬원리의 집에서 발견된 불온서적 ‘홍색 파쇼’의 저자를 드디어 찾아낸 것. 그러나 쉬보는 이미 한국에 있었다. 며칠만 늦었으면 꼼짝없이 잡혀갈 뻔했다.
1월13일 쉬보는 김포공항에 발을 디뎠다. 그리고 여행단에 끼어 서울 시내를 관광했다. 한국의 발전상은 역시 놀라웠다. 사람들이 바쁘게 움직이고 한밤중에도 환히 밝혀진 도시의 모습에서 ‘역동성’을 느낄 수 있었다. 이제 기회를 봐서 대열을 빠져나와 망명 신청만 하면 된다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