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아이들 ‘컬처 쇼크’에 엄마 속마음만 타들어가고…

아이들 ‘컬처 쇼크’에 엄마 속마음만 타들어가고…

1/4
  • 나는 희찬이가 여전히 영어책보다 우리말 책을 열심히 읽는 것을 말리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영어든 한국어든 간에 책을 읽는다는 점 아니겠는가. 영국에서 살고 영국 학교에 다니고 있으니, 아이들은 결국 영어를 깨우칠 것이고 나보다 더 잘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나는 아이들이 이곳에서 영어보다도, 세계가 참으로 크고 넓으며 다양한 사람들이 사는 곳임을 깨닫기를 바란다.
아이들 ‘컬처 쇼크’에 엄마 속마음만 타들어가고…

필자의 자녀 희찬이(왼쪽)와 희원이. 희찬이가 입은 방수 점퍼는 가톨릭계 초등학교 교복이다.

3월10일로 아이들이 영국에 온 지 꼭 6개월이 지났다. 나는 그동안 은근히 ‘6개월 고지’를 넘어서기를 기다려왔다. 지난해 가을, 아홉 살과 다섯 살 두 아이를 데리고 영국에 유학 간다고 하자 주위 사람들, 특히 엄마들은 하나같이 부러움을 감추지 못했다. 요즘 아이들 영어 가르치기가 오죽 어려우면 그랬을까. 아무리 비싼 학원을 보내도, 매일매일 디즈니 만화영화 비디오를 틀어주어도 늘 제자리를 맴도는 것 같은 아이들 영어 실력에 조바심치지 않을 엄마가 어디 있을까. 그런 와중에 아이들 데리고 영어의 본고장인 영국으로 유학 간다고 하니, 남 눈에는 부럽게 비칠 수밖에 없었나보다.

글쎄, 지금의 내 처지를 보고서도 그때의 엄마들이 날 부러워할지는 잘 모르겠다. 다만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점 하나는 지난 6개월간 내가 아이들에게 가장 자주 느낀 감정은 ‘죄책감’이었다. 엄마가 새삼 늦은 나이에 공부한답시고 철모르는 아이들까지 이렇게 낯선 땅에서 생고생을 해야 하나 하는 마음 말이다. 그래서 더더욱 6개월 고지를 넘어서기를 기다렸는지도 모르겠다. 내가 유학을 준비할 때 선배 유학생들이 하나같이 해준 말이 있다. “아이들은 걱정하지 말고 공부할 당사자가 철저하게 영어공부 해와야 해, 아이들은 6개월만 지나면 금방 따라가. 걱정할 거 하나 없어”였다.

‘6개월 고지’의 이중성

잘 생각해보면 이 말에는 복선이 하나 깔려 있다. 바로 ‘6개월만 지나면’이라는 말이다. 즉 ‘6개월이 지나기 전까지는 아이들도 고생 좀 해야 한다’는 뜻이나 다름 없는 것이다. 그리고 정말 그랬다. 우리 아이들 역시 6개월이 지나는 현재까지 무진장 고생을 하고 있다. 이제야 나는 ‘영국 가면 아이들은 저절로 영어가 늘겠지’하는 생각이 참으로 순진했음을 깨닫고 있는 것이다.

어른이 낯선 언어와 낯선 환경에 놓이면 ‘컬처 쇼크’를 받는 것처럼, 아이들 역시 같은 컬처 쇼크를 받는다. 문제는 어른은 이런 쇼크에 나름 마음의 대비를 할 수 있지만, 아이들은 어떠한 대비도 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더구나 우리 아이들은 새로운 언어와 새로운 친구들에게 적응하기에는 너무도 어렸다. 흔히 조기유학은 초등학교 4학년 무렵이 가장 적당하다고 말하는데, 이 말은 최소한 열 살은 넘어야 외국학교에 적응하기 수월하다는 뜻일 것이다. 그런데 우리 아이들은 영국에 올 때 겨우 아홉 살과 다섯 살이었다. 아이들은 비행기를 탈 때까지 영국이 어디에 붙어 있는 나라인지, 비행기를 얼마나 오래 타야 하는지도 몰랐다.



특히 큰아이 희찬이가 몹시 힘들어했다. 희찬이는 한국에 있을 때부터 좋게 말하면 자기 세계가 뚜렷한 아이, 객관적으로 보자면 통제하기가 어려운 아이였다. 나는 ‘아이들은 걱정할 거 하나 없다’는 선배 유학생들의 충고를 무시하고 희찬이를 일곱 살 때부터 유명한 영어학원에 보냈다. 그래도 조금이나마 영어를 배워가야 새로운 학교에 잘 적응하지 않을까 하는 마음이었다. 더구나 만 일곱 살 3월에 공교육이 시작되는 한국과 달리, 영국은 만 다섯 살 9월(스코틀랜드는 8월)에 공교육이 시작되기 때문에 희찬이는 한국에서보다 더 높은 학년으로 영국 학교에 편입해야 하는 상황이었다(한국에서 2학년 1학기를 마치고 온 희찬이는 영국에서 4학년 1학기로 전학했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늘 희찬이에 대해 마음이 급했다. 최소한 영어로 읽고 쓸 정도는 익혀가야 할 것 같았다.

그러나 천성적으로 반항아인 이 녀석은 무려 1년 반이나 영어학원을 다니고도 그 흔한 ‘파닉스’ 하나 떼지 못했다. 희찬이가 얻은 것은 알파벳 스물여섯 자를 해독하는 정도에 불과했다. 아이는 흥미 없는 영어를 배우는 데 점점 더 넌더리를 냈고, 학원을 다닌 지 1년6개월 만에 “죽어도 영어학원은 더 못 다니겠다”고 선언했다. 나도 말 안 듣는 아이 때려가며 영어숙제 시키는 데 진력이 난 상태여서 두 손 두 발 다 들고 영어학원을 중단시켰다. 결국 희찬이는 친구들이 모두 영어학원에 다닐 때 자기가 좋아하는 미술학원을 열심히 다니며 초등학교 1,2학년 시절을 보냈다. 그리고 2학년 1학기를 마친 후, ‘저렇게 제멋대로인 녀석이 영국 학교에서 잘 지낼 수 있을까’하는 선생님들의 걱정 어린 시선을 받으면서 비행기에 올랐던 것이다.

1/4
전원경│작가 winniejeon@hotmail.com│
목록 닫기

아이들 ‘컬처 쇼크’에 엄마 속마음만 타들어가고…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