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동영상 UCC의 아킬레스건

동영상 UCC의 아킬레스건

1/2
동영상 UCC의 아킬레스건

2006년 12월 시사 주간지 ‘타임’에 실린 2006년의 인물, YOU.

2006년 12월 시사주간지‘타임’의 표지 모델은 ‘YOU’였다. 바로 우리 자신이 2006년 타임이 선택한 올해의 인물이었던 것이다. 우리 모두가 올해의 인물이 된 것은 ‘유투브’ 덕분이었다. 사용자가 제작한 동영상을 전 세계에 전파할 수 있는 채널을 보유한 유투브는 2006년 IT의 미래상이었고, 2007년에는 국내에서도 ‘다음’의 TV팟, 판도라TV, 앰엔캐스트 등 다양한 동영상 UCC 서비스들이 주목받았다. 하지만 2009년부터 이들 서비스는 천덕꾸러기 신세가 됐다. 잭팟을 기대했던 동영상 UCC가 돈은 벌어주지 못하고 서비스 운영에 들어가는 비용만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애물단지가 되었기 때문이다. 동영상 UCC가 주는 비즈니스적 가치와 미래를 예상해본다.

2006년 12월 타임은 2006년에 구글에 16억달러에 인수된 유투브를 만든 우리 모두를 올해의 인물로 선정했다. 유투브는 사용자가 동영상을 올리는 그릇을 제공하고, 이 그릇에 담긴 사용자들의 동영상이 인터넷을 통해 전세계인에게 전파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었다. 그런데 유투브는 3년이 지난 지금도 초기 투자금액과 비교해 영 초라한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2008년의 유투브 수익은 1억달러로 추정된다. 16억달러의 투자에 비하면 매출도 저조할 뿐 아니라 매년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돈 먹는 하마이자 미운 오리새끼?

유투브와 같은 동영상 UCC 서비스의 가장 큰 문제는 비용이 많이 든다는 데 있다. 실제 동영상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이 업로드하는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스토리지에 지속적으로 투자해야 한다. 또 동영상을 촬영하는 캠코더와 휴대전화의 성능이 날이 갈수록 좋아지기 때문에 동영상 파일의 용량이 커져 저장 공간도 많이 필요하다. 또 이렇게 업로드된 동영상을 전세계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인프라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든다. 이렇다보니 유투브의 한 해 운영비는 7억달러를 넘는다. 이 비용은 매년 상승하지만, 그에 걸맞게 매출이 증대되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사실 이보다 더 큰 문제는 저작권에 있다. 전세계 각지에서 올린 동영상들 중에는 개인이 제작한 영상이 아닌, 저작권자가 존재하는 동영상(드라마, 영화, 스포츠 등)이 상당수를 차지한다. 이처럼 저작권 보호를 받는 동영상을 유투브가 일일이 검색할 수는 없다. 저작권 문제가 발생한 동영상에 대한 저작권자의 저작권 침해 소송과 손해배상 청구가 줄을 잇고 있다. 실제 구글이 유투브를 인수한 후인 2007년 초, 비아컴은 유투브에 올라온 약 16만개 이상의 비디오 클립이 MTV 등의 저작권을 침해했다며 10억달러의 소송을 제기했다.



이런 사정은 글로벌 기업인 유투브뿐만 아니라 한국의 동영상 UCC 서비스 기업들도 마찬가지다. 그런 이유로 2009년 3월에 한국의 대표적인 동영상 UCC 사이트인 앰엔캐스트(MNCAST)가 서비스 중단을 선언했다. 그 외의 동영상 UCC 사이트도 사정은 비슷하다. 다음의 경우 TV팟 서비스의 노출을 첫 페이지에 공개하기를 자제하고, P2P 방식의 동영상 재생 서비스를 적용했다.

그렇다면 왜 동영상 UCC는 돈이 되지 않는 것일까? 왜 기업들은 사용자들이 올린 수많은 동영상 UCC에 광고를 게재하지 않을까? 사실 사용자들이 올린 동영상 모두가 눈길을 끄는 것은 아니다. 무수한 동영상 UCC 중 극히 일부의 동영상만이 주목받을 뿐, 대부분의 동영상은 나 혼자만 보고 즐기는 나홀로 동영상이 되기 일쑤다. 나홀로 동영상들은 광고를 싣는 의미 자체가 없을뿐더러 불필요하게 스토리지를 차지하고 운영비만 과중하게 낭비하는 주범이다.

게다가 동영상 UCC 대부분은 화질이나 구성, 내용이 열악하고 신변잡기나 엽기적인 내용이 많다. 이러한 동영상에 기업 광고를 게재하는 것은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거나 광고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방해가 된다. 아무리 조회수가 높은 동영상이라 할지라도 그 동영상의 내용이나 구성이 조잡하고 신변잡기적인 것이라면, 광고 이미지가 훼손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1/2
김지현│ IT 칼럼니스트 http://oojoo.co.kr│
목록 닫기

동영상 UCC의 아킬레스건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